• 제목/요약/키워드: HL-1 세포주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초

큰비쑥(Artemisia fukudo)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Cytotoxicity of Artemisia fukudo Extracts Against HL-60 Cells)

  • 김길남;이정아;윤원종;김지영;송관필;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19-824
    • /
    • 2007
  • 본 연구는 큰비쑥를 80% EtOH로 추출하고 극성에 따른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혈핵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분획별에 따른 암세포 증식억제(cytotoxicity) 효과와 이러한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세포자연사(apoptosis)에 의해 일어나는 것인지, 몇 가지 apoptosis 유도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HL-60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전반적으로 모든 처리구에서 농도의존적인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가장 강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apoptosis 유도에 의한 세포사멸의 특징인 DNA 단편화 현상을 비롯하여 세포형태학적 변화 및 유동세포분석기를 통한 DNA content를 측정한 결과, 큰비쑥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는 apoptosis를 유도하여 세포자연사를 통해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간 골수성 백혈병 세포에서 Flt-3 수용체 리간드에 의한 CD11c 발현의 증가 (Up-regulation of CD11c Expression on Human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s by Flt-3 Ligand)

  • 서기;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690-1697
    • /
    • 2009
  • CD11c와 CD80 및 CD86과 같은 보조 수용체는 주로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 표지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KG-1, HL-60, NB4 및 THP-1 세포와 같은 여러 종류의 백혈병 세포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에 재조합 Flt-3 리간드를 처리하였을 때 수지상 세포의 표면 인자인 CD11c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KG-1 세포뿐만 아니라 NB4세포와 HL-60 세포에서도 Flt-3 수용체가 발현됨을 확인하였으나 THP-1 세포에서는 이들 수용체가 발현되지 않았다. KG-1 세포를 Flt-3 리간드나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와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를 섞은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세포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CD11c 발현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Flt-3 리간드를 처리한 KG-1세포에서는 GM-CSF와 TNF-$\alpha$를 처리한 세포에서와는 다르게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I 및 MHC-II의 발현은 증가되지 않았다. Flt-3 리간드는 HL-60 세포와 NB4 세포의 CD11c 발현도 증가시켰으나 THP-1 세포에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CD11c의 발현과 비교하여 CD11b의 발현은 Flt-3 리간드에 의하여 KG-1 세포에서는 약하게 증가하였으나 NB4 세포와 HL-60 세포에서는 증가되지 않았다. KG-1 세포를 Flt-3 리간드로 처리하였을 때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1/2 (ERK-1/2)와 p38-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38-MAPK)의 단백질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Flt-3 리간드에 의한 CD11c 발현의 증가는 MEK의 억제제인PD98059에 의하여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Flt-3 수용체 리간드의 처리에 의하여 $CD34^+$ myelomonocyte분화 단계인 KG-1 세포와 promyelocyte 분화 단계의 백혈병 세포에서 수지상 세포와 유사한 세포 형으로 분화된다는 것을 보였고 Flt-3 수용체 리간드에 의한 이들 백혈병 세포의 수지상 세포유사 세포로의 분화는 ERK-1/2의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2-Chloromethyl-1-Dihydroxyphosphinylpyrrolidine (2C-1DPP)에 의한 백혈병 세포주 HL-60의 분화유도 효과 (Effect of 2-Chloromethyl-1-Dihydroxyphosphinylpyrrolidine(2C-1DPP) on Differentiation Induction of Human Leukemia HL-60 Cells)

  • 김영미;주성민;박준호;오정미;이채호;김은철;전병훈;김원신;김원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40-945
    • /
    • 2007
  • We have examined the induction of HL-60 cell differentiation by treatment of 2-chloromethyl-1-dihydroxyphosphinyl pyrrolidine(2C-1DPP), which is derivative of piperidine and pyrrolidine by ${\alpha}-phosphoramidoakylation$ reaction. It was observed that HL-60 cell proliferation was dose- and time-dependently inhibited by treatment with 2C-1DPP. 2C-1DPP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change in NBT reduction and enhanced ATRA-induced NBT reduction. Treatment of 2C-1DPP to HL-60 cells increased only CD11b expression in the cells, and also increased markedly G0/G1 stage arrest of HL-60 cells. These results can suggest that 2C-1DPP induced the differentiation of HL-60 cells to granulocytes lineage and enhanced ATRA-induced differentiation. Moreover, DNA expression levels of p27 were up-regulated during 2C-1DPP-dependent HL-60 cell differenti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2C-1DPP have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in human leukemia.

숙주세포 침입을 위한 Anaplasma phagocytophilum의 주요 표면단백질 (Msp)-2과 PSGL-1 (CD162)과의 반응 (Anaplasma Phagocytophilum Major Surface Protein (Msp)-2 Directly Binds to Platelet Selectin Glycoprotein Ligand-1 (CD162) Prior to Cell Entry and Infection)

  • 박진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3
    • /
    • 2006
  • Anaplasma phagocytophilum의 주요 표면단백질인 Msp2 (p44)는 세균의 표면에 발현되는 주요한 항원 단백질이다. 본 실험에서는 A. phagocytophilum이 주요 숙주세포인 호중구나 HL-60 세포에 침입하는 데 있어, 세균의 주요 표면 단백질인 Msp2와 숙주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는 PSGL-1과의 반응 여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재조합 단백질인 Msp2나 순수하게 분리된 A. phagocytophilum이 PSGL-1/FucT IV 유전자가 형질전환되어 PSGL-1이 발현되는 BJAB 세포와는 결합하지만, 순수한 BJAB 세포와는 전현 반응하지 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1 & p<0.01). 또한, 순수하게 분리된 A. phagocytophilum과 형질전환된(PSGL-1/FucT IV) BJAB 세포와의 결합이 Msp2의 단-클론항체나 Msp2 재조합 단백질의 농도에 따라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 p<0.01). 따라서 A. phagocytophilum의 Msp2가 숙주세포인 호중구의 표면에 발현되는 PSGL-1과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부착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녹차 폴리페놀이 감마선조사에 의한 백혈병과 림프구모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Differential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 in the ${\gamma}-irradiation$ Induced Human Leukemic and Lymphoblastic Cell Damage)

  • 정환정;김은미;민정준;범희승;김영호;정영도;김창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08-316
    • /
    • 2003
  • 목적: 녹차 추출물(GTPP)은 암 예방과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외에 항산화제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암세포에 감마 방사선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경우 GTPP를 첨가함으로써 암세포 억제 증폭 효과와 정상세포에서의 방사선방호 효과가 함께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GTPP (EGCG > 45%, catechin 80% 포함)를 사람 백혈병 세포주인 HL60과 사람 림프구 모세포인 NC37에 방사선을 쪼이기 전에 미리 첨가한 후 실험을 하였다. 두 세포주에서 각각의 GTPP 농도와 방사선양에 따라서 생존능을 평가하여 GTPP 농도와 방사능 양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GTPP농도에 따른 NC37에서 방사선방호 효과와 HL60에서의 암세포 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과: NC37과 HL60 세포주에서 암세포 억제효과를 보이면서 정상세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사선 조사량은 1 Gy와 3 Gy정도이고, GTPP의 농도는 $10{\mu}g/ml$$20{\mu}g/ml$였다. NC37 세포주에서 GTPP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1 Gy와 3 Gy의 방사선을 각각 조사하였을 때 $10{\mu}g/ml$의 경우에는 3 Gy를 조사한 경우에만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1 Gy;P=0.126, 3 Gy;P=0.010), $20{\mu}g/ml$를 첨가한 경우는 1 Gy와 3 Gy를 조사한 군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1 Gy;P=0.946, 3 Gy;P=0.096). HL60 세포주에서는 방사선 조사량에 큰 상관없이 GTPP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암세포 성장이 크게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1\;Gy;\;10{\mu}g/ml;\;69.0{\pm}1.7%\;vs\;20{\mu}g/ml;\;42.4{\pm}1.3%,\;3\;Gy;\;10{\mu}g/ml;\;66.9{\pm}3.9%\;vs\;20{\mu}g/ml;\;44.2{\pm}1.6%$). 결론: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하여 내부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GTPP를 첨가함으로써 정상세포에서 방사선방호 효과와 암세포에서 성장 억제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생체 내 실험을 통한 녹차 추출물의 정상 세포에 대한 방사선방호 작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녹차 추출물을 제공하여 주신 태평양 녹차 연구소의 소정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인간백혈병(人間白血病) 세포주(細胞株)에서 지패산(芷貝散)의 작용(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nti-leukemic effects of JIPAESAN and its components on leukemic cells HL-60)

  • 황기명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43-155
    • /
    • 2002
  • In the hope of identifying anti-leukemic agents from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leukemic effects of the herbal medicine Jipaesan, which is composed of Angelica Dahurica and Fritillariae Verticillata. in acute promyeloid leukemia HL-60 cells. Jipaesan showed anti-proliferative effect through the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in HL -60 cells. Verticinone as a major differentiating agent and imperatorin as major apoptosis-inducing agent were isolated from the water extracts of F. Verticillata and A. Dahurica, respectively. Combined treatment of HL-60 cells with two major compounds showed synergy in the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Since the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and/or apoptosis has therapeutic values in curing acute leukemic diseases. Jipaesan could be useful as an anti-leukemic agent.

  • PDF

광적응된 은편모조류를 섭식한 해양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MR-MAL01의 흡광스펙트럼 (Absorbance Spectrum for Mesodinium rubrum MR-MAL01, a marine photosynthetic ciliate, fed on Photo-adapted Cryptophyte)

  • 김형섭;명금옥;조수근;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1호
    • /
    • pp.29-34
    • /
    • 2003
  • 한국 서해의 곰소만에서 분리한 온대 해역 산 초유의 M. rubrum MR-MAL01 배양체가 확보되어, M. rubrum의 입자성 먹이 섭식 현상이 보고되었다. 100$\mu$mo1 photons m$^{-2}$ s$^{-1}$의 고광도(HL) 및 10 $\mu$mo1 photons m$^{-2}$ s$^{-1}$의 저광도(LL)에서 광 적응된 미동정 은편모조류 종주 CR-MAL01를 섭식한 M. rubrum의 HL및 LL적응 배양체의 흡광스펙트림을 분석하였다. LL에 적응된 은편모조류를 섭식하고 LL에 적응한 M. rubrum은 섭식 이전의 먹이 세포 흡광특성인 542nm부근의 황갈색 파장 범위에서 뚜렷한 흡광피크를 나타낸 반면, HL에 적응된 은편모조류를 섭식하고 HL에 적응한 M. rubrum은 이러한 흡광 피크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M. rubrum세포가 자연환경에서 먹이로서 은편모조류 세포를 섭식하기 이전 이들의 광 적응 상태가 섭식 이후 M. rubrum의 광이용 효율 및 광흡수 특성 등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예상되는 해양 미소생물 생태계 내에서 이들 섭식자 및 먹이생물 종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담배 배양세포에서 인간 히스톤 단백질 H1.5의 발현 (Expression of a Human Histone H1.5 in Transgenic Tobacco Cultured Cells)

  • 김기연;권석윤;송재영;이행순;곽상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75-178
    • /
    • 2004
  • Collagen에 의해 유도되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인간 histone 단백질 Hl.5 (hHl.5)를 산화스트레스 유도성 SWPA2 프로모터에 연결하여 형질전환 담배(Nicotiana tabacum L. cv Bright Yellow-2) 배양세포주를 개발하였다. hH1.5 유전자는 Agrobacterium 매개 형질전환 방법으로 담배 BY-2 배양세포에 도입되었다. 형질전환 캘러스는 150mg/L kanamycin과 300mg/L claforan이 포함된 변형된 MS 선발배지에서 선발하여, PCR분석으로 hHl.5 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현탁배양세포에서 hH1.5 단백질의 발현은 northern 분석과 Western 분석으로 확인하였는데, 담배배양세포에서 재조합hHl.5 단백질 (42 kDa)은 인간의 것 (32 kDa)과는 다른 크기의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금후 재조합 hH1.5 단백질의 자세한 특성규명이 요구된다.

식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혈액암세포에 대한 저해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ve Effects on Human Leukemia Cells of Edible Mushrooms Extracts)

  • 김현정;배준태;이지원;황보미향;임효권;이인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0-85
    • /
    • 2005
  • 일상생활에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12종의 버섯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능 검색과 함께 인간유래의 혈액암 세포주 및 정상 임파구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향버섯, 번데기동충하초, 만가닥버섯, 아가리쿠스, 영지버섯, 표고버섯 메탄올 추출물에서 $30\~60\%$정도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고, 목이버섯, 그물버섯, 새송이버섯에서 $10\~30\%$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chinese hamster V79 cells에서 만가닥 버섯, 번데기동충하초, 향버섯 메탄올추출물의 경우 H2O2로 유도된 세포 독성에 대한 $39\~53\%$ 정도의 유의적인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인간유래 혈액암세포인 HL6O과 U937에 대해 향버섯, 만가닥버섯, 번데기동충하초, 아가리쿠스, 영지버섯 추출물들이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이 보였다. 특히 버섯 메탄올추출물 1.0 mg/mL 처리시 HL 60에 대해 향버섯이 $70.5\%$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U937에 대해서는 번데기동충하초가 $81.5\%$의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버섯 열수추출물들은 메탄올추출물보다 낮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모든 버섯추출물들은 인간의 정상 임파구세포에 대해 $9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번데기동충하초, 아가리쿠스, 만가닥버섯, 영지버섯, 향버섯 추출물은 항산화 할성 및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yclin-dependent Kinase저해 단백질 p16^{INK4A}의 인체 암세포에서의 세포사멸 유도 활성 (A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16^{INK4A}, Induces Apoptosis in The Human Cancer Cells.)

  • 김민경;이철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2-77
    • /
    • 2004
  • 본 연구진은 토양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 cyclin-dependent kinase 저해활성의 Toyocamycin을 분리하였으며 〔16〕, 화학적 전합성을 통하여 활성이 개선된 유도체인 신물질 MCS-5A를 합성하였다〔3〕. 이 MCS-5A를 이용한 항암 기전규명을 위한 연구를 통하여 ,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HL-60)에서 MCS-5A에 의해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p16$^{INK4A}$ 단백질의 발현증가가 암세포의 세포주기 억제와 동시에 HL-60 cell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data not shown). 그러나 HL-60 cell의 경우와는 달리 non small cell lung cancer cell(NSCLC)인 A549 cell(p16$^{INK4A}$ 결핍 세포주)에 MCS-5A를 처리할 경우에는 전혀 세포사멸이 유도되지 않았다. 따라서 MCS-5A에 의한 HL-60 cell에서의 세포사멸 유도는 발암억제 유전자인 P16$^{INK4A}$의 세포 내 발현 및 존재 여부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p16$^{INK4A}$.의 기존에 알려진 세포주기 억제를 유발하는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CKI)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p16$^{INK4A}$ 유전자가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는 새로운 기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를 시도하였다. 즉 $p^{INK4A}$ 결핍 세포주인 A549(-p16/+p53)와 H1299(-pl6/-p53) 그리고 p16$^{INK4A}$ 함유 세포주인 HeLa(+p16/+p53)세포에 외부로부터 p16$^{INK4A}$ 유전자를 도입시켜, 각 세포주에서의 세포사멸 유도 여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우선 wild-type p16$^{INK4A}$ 유전자를 가진 HeLa cell에서 총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 반응으로 cDNA를 만들고, PCR을 통해 p16$^{INK4A}$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pcDNA3.1/His is A vector에 p16$^{INK4A}$ 유전자를 끼워 넣고 competent cell (XL1-Blue)에 형질 전환하여 cloning한 후, p16$^{INK4A}$ clone을 다량으로 추출하였다. 위에 언급한 각각의 cell line에 p16$^{INK4A}$유전자를 농도(0, 1, 5, 10$\mu\textrm{g}$)별로 transfection 시킨 후, p16 단백질을 일정 시간 동안(12시간) 발현시킨 뒤, TUNEL등의 분석을 통해 세포사멸이 유도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Western blot 분석을 통하여 p16단백질과 세포사멸 유도 인자인 caspase 3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Western blot을 통해 transfection시킨 p16/INK4A/유전자의 농도에 따라 각각의 cell line에서 Pro-caspase 3의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TUNEL분석을 통해 A549및 HeLa cell에서 세포사멸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A549(-p16/+p53)와 HeLa cell(+p16/+p53)에서는 TUNEL 분석 및 Western blot을 통한 pro-caspase 3의 caspase 3로의 전환 등을 통해 세포사멸이 발생하였음을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나, 반면 H1299(-pl6/-p53) cell에서는 단지 Western blot을 통한 pro-caspase 3의 활성화만을 통해 간접적으로 세포사멸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p53이 결핍된 H1299(-pl6/-p53)세포주에서의 $^{INK4A}$ 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는 p53 비의존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발암억제 유전자인 $^{INK4A}$ 는 CKI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세포사별 유도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 기능은 발암 억제 유전자인 p53과는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세포사멸 유도 기전연구에서 $p16^{INK4A}$ 가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으며, 현재 본 연구실에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