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C-6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rediction of River Bed Variation using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예측)

  • An, Sang-Jin;Yoon, Seok-Hwan;Beack, Nam-D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6
    • /
    • pp.693-701
    • /
    • 2002
  • In this study, one dimensional sediment movement numerical model(HEC-6) and semi-two dimensional sediment movement numerical model(GSTARS 2.1) were applied to solve the change of channel geometry in Bocheong stream. GSTARS 2.1 model was applied for the three selected sediment transport formulas(Ackers and White's, Engelund and Hanson, Yang formula) from 1993 to 2000 measured data on each section. The simulation results of Ackers and White formula for long -term bed changes are good when compared to the measured data. The HEC-6 model was applied for the simulation of one dimensional sediment movement for the same period. Comparison of the long-term simulations by GSTARS 2.1 and HEC-6 models with measured data shows that simulations by both models are in fair agreement with measured data in overall trend of the river bed changes. Comparisons of simulated cross sectional bed-elevations with measured data shows that GSTARS 2.1 model gives better agreement with than simulated results bed changes on the HEC-6 model.

A Study on Prediction of Bed Changes in the Imjin River Using the HEC-6 Model (HEC-6 모형을 이용한 임진강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66-1570
    • /
    • 2006
  • 이 연구는 하상변동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임진강의 장기간 하상변동과 그에 따른 하천 수위 변화의 예측, 안정하상 검토, 하상변동이 계획홍수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하상준설이 수위 및 하상변동에 미치는 영향의 검토를 통해 해당 하천에서 하상변동 특성의 파악에 필요한 자료 및 중.장기 수방대책 수립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임진강 하상변동의 예측에 적절한 일차원 정상 하상변동모형으로 HEC-6 모형을 선정하였다. 모형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도 수행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적용영역 내에 위치한 각 수위표 지점의 수리.수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HEC-6 모형의 보정을 고정상 보정과 이동상 보정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고정상 보정에서는 설정한 조건에 적합한 Manning계수의 결정이 곤란하여 하천의 지형자료와 하상토 자료 등을 고려하여 구간별로 적정한 Manning 계수 값을 선정하였다. 이동상 보정을 통해 HEC-6 모형에서 사용하는 유사량 산정공식 중 하류경계에서 상류로 약 8 km 구간에 대한 하상상승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사량 공식인 Madden(1963)이 수정한 Laursen(1958) 공식을 선택하였다. 하천망 유사이동 수치모형인 HEC-6 모형을 사용하여 20년간의 장기하상변동을 수치모의하였다. 임진강의 최심하상고 변동량 예측결과 상류경계로부터 약 52 km까지는 하상저하가 지배적이며, 중 하류는 하상상승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구간에서 대체로 퇴적에 의한 하상상승이 예상되었다.

  • PDF

Dam Break Analysis with HEC-HMS and HEC-RAS (HEC-HMS와 HEC-RAS를 이용한 댐 붕괴 해석)

  • Hong, Seung-Jin;Kim, Soo-Jun;Kim, Hung-Soo;Kyung, Min-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4B
    • /
    • pp.347-356
    • /
    • 2009
  • This study simulates the dam break situation by a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of Soyang-River Dam using HEC-HMS model and HEC-RAS model and compares the simulated results.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flood event of the typhoon Rusa occurred in 2002 and using the mean areal precipitation of the Gangreung region and the moisture maximization method. The estimated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s were compared for the duration of 6, 12, 18, and 24 hrs and were used as input data for the HEC-HMS model. Moreover, the inflow data calculated by HEC-HMS were utilized as ones for HEC-RAS, and then unsteady flow analysis was conducted. The two models were used for the dam break analysis with the same conditions and the peak flow estimated by HEC-HM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HEC-RAS model. The applicability of two models was performed from the dam break analysis then we found that we could simulate more realistic peak flow by HEC-RAS than HEC-HMS. However, when we need more fast simulation results we could use HEC-HMS. Therefore, we may need the guidelines for the different utilizations with different purposes of two models. Furthermore, since the two models still include uncertainti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more detailed topographical factors and data reflecting actual rivers.

Flood Runoff Analysis for Agricultural Small Watershed Using HEC-HMS Model and HEC-GeoHMS Module (HEC-HMS 모형과 HEC-GeoHMS 모듈을 이용한 농업소유역의 홍수유출 해석)

  • 김상민;성충현;박승우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5 no.6
    • /
    • pp.119-127
    • /
    • 2003
  • This paper documents recent efforts to validate the GIS-based hydrologic models, HEC-HMS and HEC-GeoHMS by 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HMS and Geo-HMS were used to simulate storm runoff from a small rural watershed, the Balan HS#6. The watershed is 3.85 $\textrm{km}^2$ in size. The watershed topographic, soils, and land use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GIS tool fur the models. Input parameters were retrieved and calibrated with the field data. The simulated peak runoff, time to peak, and total direct runoff fer twenty three storm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for the observed peak runoff was 0.95 and an error, RMSE, 3.08 $\textrm{m}^3$/s for calibration stages. In the model verifications, $R^2$ was 0.89 and RMSE 6.79 $\textrm{m}^3$/s, which were slightly less accurate than the calibrated data. The simulated flood hydrographs were well compared to the observed. It was concluded that HMS and GeoHMS are applicable to flood analyses for rural watersheds.

Computing Probability Flood Runoff for Flood Forecasting & Warning System - Computing Probability Flood Runoff of Hwaong District - (홍수 예.경보 체계 개발을 위한 연구 - 화옹호 유역의 유역 확률홍수량 산정 -)

  • Kim, Sang-Ho;Kim, Han-Joong;Hong, Seong-Gu;Park, Chang-Eoun;Lee, Nam-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9 no.4
    • /
    • pp.23-31
    • /
    • 2007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epare input data for FIA (Flood Inundation Analysis) & FDA (Flood Damage Assessment) through rainfall-runoff simulation by HEC-HMS model. For HwaOng watershed (235.6 $km^{2}$), HEC-HMS was calibrated using 6 storm events. Geospatial data processors, HEC-GeoHMS is used for HEC-HMS basin input data. The parameters of rainfall loss rate and unit hydrograph are optimized from the observed data. HEC-HMS was applied to simulate rainfall-runoff relation to frequency storm at the HwaOng watershed.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mitigating and predicting the flood damage after river routing and inundation propagation analysis through various flood scenarios.

Simulations of Long term Bed Changes in the Hyungsan River Using the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을 이용한 형산강의 장기하상 변동 모의)

  • Ahn, Jung-Min;Lyu, Si-Wan;Lee, Nam-Joo;Yeo, H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72-1276
    • /
    • 2007
  • 하천유황, 하상재료, 하도지형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변화에 의한 장 단기적 하상변동의 해석 및 예측은 하천계획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 수치모형들을 적용하여 형산강의 장기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각 모형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모의 과정으로는 형산강 수계에서 수위표 설치지점인 형산강교, 강동대교, 국당2교, 신형산강교 4지점에서 유사량 측정을 실시하여 실측자료를 확보하였다. 형산강 수계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한 하상변동모형으로는 HEC-6, GSTARS모형을 선정하였고, HEC-6모형에서는 유사량 산정공식으로 하상상승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Laursen공식을, GSTARS모형에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Ackers & White공식을 사용하였다. HEC-6, GSTARS모형을 상호 비교한 결과, HEC-6모형이 상대적으로 하상변동을 크게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pplication of GSTARS and HEC6 for Long-term Prediction of Bed Change in Hyungsan River (형산강의 장기하상변동예측을 위한 GSTARS와 HEC6의 적용)

  • Ahn, Jung-Min;Lyu, Si-Wan;Lee, Nam-Joo;Yeo, H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58-962
    • /
    • 2008
  • 하천유황, 하상재료, 하도지형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변화에 의한 장 단기적 하상변동의 해석 및 예측은 하천계획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제방 축조 등의 인위적 정비로 충적층 발달이 미약한 우리나라 하천은 상대적으로 종단형의 변화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하천의 이수, 치수 및 환경기능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하상변동 예측을 국가하천 형산강에 대해여 HEC6 모형과 GSTARS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sim}2007$년 동안 형산강에서 직접 실측한 유량-유사량, 하상토, 하천측량자료를 GSTARS와 HEC6 모형에 적용하여 장기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위표 지점인 형산교(모아), 강동대교(안강), 국당2교(부조), 신형산교(대송)를 내부경계조건으로, HEC-RAS를 통하여 조도계수 값을 보정하였으며 유량 값은 유황곡선을 통하여 연간유입량을 각 날짜별로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Laursen (1963), Laursen (Modified by Maddden, 1985),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Yang (1973) 공식을 이용하여 최심하상고 변화량 제곱근 오차가 가장 작은 공식을 선정하였다. 2006년 형산강에서 실측된 하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14년간 장기하상을 모의해 본 결과 형산강 유역에서는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HEC6)와 Laursen (1958, GSTARS)공식이 가장 작은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HEC6와 GSTARS는 하상변동의 경향을 잘 나타내었다. 형산강의 전반적인 하상변동 경향은 상류지역은 전반적으로 하상이 저하하였고 하류지역은 하상이 상승하였다. 또한 하류부는 하상이 안정화를 이루고 있어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검증 기간 동안의 골재채취와 보의 설치 등의 외부 여건과 신뢰성 있는 유입유량을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량-유사량의 관측과 자료의 보완 및 정밀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Hectorite Clay by Hydrothermal Process (헥토라이트 점토의 수열합성 및 특성)

  • 이석기;구광모;이정훈;이병교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7 no.12
    • /
    • pp.1192-1197
    • /
    • 2000
  • Si-Mg 첨가물, LiOH, NaOH로부터 제조한 슬러리의 수열반응으로 헥토라이트 점토를 합성하였다. 수열합성의 온도와 반응시간에 따른 합성헥토라이트 점토의 화학적 조성과 결정형태를 조사하였고, 합성헥토라이트 0.2~1.0% 수분산액의 투과도와 입경을 UV-VIS 분광광도계와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합성헥토라이트 수분산액의 투과도와 유동성은 25$0^{\circ}C$, 6시간의 합성조건과 Si/Mg/Li/Na=8.0/5.4/0.6/0.6의 조성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Mg/Si=5.4/8.0의 슬러리 조성으로부터 합성된 헥토라이트(Hec-6)가 최적의 투명성과 용액점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Hec-6의 수분산액은 높은 전단력에서 낮은 점도의 졸상으로 전화됨으로서 요변성을 나타내었고, 1.0% Hec-6/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50/50) 혼합용액은 전단력이 1.0 s$^{-1}$ 이상에서 1.0% Hec-6 수분산액보다 더욱 높은 점도를 나타냄으로서 점도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 PDF

Modeling Rainfall - Runoff Simulation System of JinWie Watershed using GIS based HEC-HMS Model (GIS 기반의 HEC - HMS를 이용한 진위천 유역의 강우-유출모형 구성)

  • Kim, Sang-Ho;Park, Min-Ji;Kang, Soo-Ma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4
    • /
    • pp.119-12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input data for FIA (flood inundation analysis) and FDA (flood damage assessment) through rainfall-runoff simulation by HEC-HMS model. For Jinwie watershed ($737.7km^2$), HEC-HMS was calibrated using 6 storm events. Geospatial data processors, HEC-GeoHMS is used for HEC-HMS input data. The parameters of rainfall loss rate and unit hydrograph are optimized from the observed data.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river routing and inundation propagation analysis for various flood scenarios.

  • PDF

Fluvial Geomorphology and Bed Elevation Changes on the Lower Nakdong and Tan Rivers using the HEC-6 Model (HEC-6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류 및 탄천의 하상변동 및 하천지형학적 변화 분석)

  • Lim, Jong-Chul;Han, Seung-Won;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03-1707
    • /
    • 2008
  • 유역 토지이용의 변화와 골재 채취, 댐과 저수지의 건설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은 하천의 평형 상태를 파괴하고 유사이송 문제 및 하상변화등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본연구의 대상하천인 낙동강 하류에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로 인해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하구둑 상류에 퇴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매년 상류 수로의 홍수 통수력을 확보하기 위해 준설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한편 다른 대상하천인 탄천은 최근 들어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주변의 수지, 구성, 죽전지구 등 상류유역에 대규모 택지지구가 건설됨에 따라 유역의 지형학적, 수문학적 변화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평형상태인 자연하천에서의 하상변동 및 지형학적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표적인 두 대상하천에 대해 HEC-6 모형을 이용하여 하상변동과 지형학적 변화를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