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DL

검색결과 3,519건 처리시간 0.025초

60세 이상 뇌경색환자에서 황태는 심혈관질환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는가? - 다기관임상연구 (Can Yellow Fur on the Tongue be Useful as an Index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Stroke Patients over 60 Years Old? - Multi Center Trial)

  • 임정태;박수경;우수경;곽승혁;정우상;문상관;조기호;박성욱;고창남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69-577
    • /
    • 2010
  • Background & Objectives : Yellow fur on the tongue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prognosis of disease in oriental medicine. Higher ratios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 to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 & total cholesterol (TC) to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 are associated with a greate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index and yellow fur - oriental medical index - in stroke patients over 60 years old. Methods & Subjects : Among 802 of the recruited patients(434 male, 368 female), 340 were yellow fur group(209 male, 131 female). We assess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We compared the cardiovascular disease index between yellow fur and non-yellow fur groups by sex. Results :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les have yellow fur more often than females. In cardiovascular disease index, the male yellow fur group showed higher ratios of TC/HDL(atherogenic index), (TC-HDL)/HDL, LDL/HDL and higher LDL and showed lower HDL than the non-yellow fur group. In female patien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cardiovascular disease index. There were more patients diagnosed with Fire & Heat in the male yellow fur group, and Dampness & Phlegm in the male non-yellow fur group. The male yellow fur group eat fast food more than the non-yellow fur group.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yellow fur may be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We can thus use yellow fur on the tongue as a cardiovascular disease index in male stroke patients over 60 years old.

내인성 및 외인성 Estrogen이 관상심장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제1보 : 내인성 및 외인성 Estrogen이 혈액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dogenous and Exogenous Estrogen on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Part I : On Serum Lipid Levels-)

  • 박유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3호
    • /
    • pp.307-317
    • /
    • 1997
  •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ndogenous and exogenous strogen on serum lipid levels, twenty nonsmoking healthy Korean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12 weeks. They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 (1) eight women aged 22 to 30(yr) for the premenopausal(Pre) group, (2) eight, aged 49 to 60(yr) for the postmenoparusal(Pst) group, (3) four, aged 23 to 30(yr) for the oral contraceptive(OC) group which used triphasic OC formulation. Fasting blood samples representing every phase of the hormonal levels were obtained from the subjects of the Pre and the OC group. From the subjects of the Pst group,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once per three weeks for 12 weeks. All the serum data were adjusted for dietary effects, exercise, personality type and body mass index(BMI) by using analysis of covariation(ANCOVA). Serum lipid levels of the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serum levels of triglycerides(TG)(p<0.0001), low density lipoprotein-chloesterol(LDL-C)/high density liporotein-cholesterol(HDL-C) ratio (LDC-C/HDL-C)(P<0.01) and total cholesterol (TC)/HDL-C ratio (TC/HDL-C)(P<0.001) were significatnly high in the Pst group, serum HDL-C(P0.001)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Pre group. The O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 serum TC(P<0.0001) and LDL-C(P<0.0001) levels. There was no signidicant difference in the fluictuation of serum lipid levels during the menstrual cycle of the Pre group. However, in the OC group, serum TG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phase 2(P<0.05) where exogenous estrogen administration was highest. Even though other serum lipid levels of the OC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fluctuated according to the exogenous estrogen administration, there was a trend of increased levels of serum TC, LDL-C, LDL-C/HDL-C and TC/HDL-C and decreased level of HDL-C during the menstruation period. Also, serum TC level was high(P<0.005) and serum TG level was low (P<0.005) at the baseline of the OC group compared with the periods of OC administration. When screening and counseling the female population at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CH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may be desirable to divide the population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C administration, menstrual cycle and menopause, as well as general risk factors for CHD.

  • PDF

고 불포화 지방산 식이가 인체 혈청 Cholesterol의 Esterification과 Transfer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Polyunsaturated Fat Diet on Human Plasma Cholesterol Esterification and Transfer)

  • Lee Myoung So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7호
    • /
    • pp.819-828
    • /
    • 1993
  •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LCAT)와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CETP)은 간과 간외조직간의 혈청 cholcsterol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전인 reverse cholestrol transport system(RCT)에 매우 중요한 인자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RCT 기전의 식이 지질 효과를 추정하여 항 고지혈증 치료식이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4주의 인체대사 실험에서, 새당사 12명의 여성들은 실험 1주 전에 고 포화지질로써 적응시기를 거친 후, 각각 6명씩 high PUFA(corn oil)군과 high SFA(butter)군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Butter군은 total-34(%), esterified-(96%), $HDL_3$-(23%), LDL-(20%) 및 VLDL+LDL-(35%) cholestetol을 감소시켰다. Corn oil군은 esterified(2.5%) 및 LDL-(15%) cholesterol과 triglycerde(27%)를 감소시켰다. Corn oil과 butter fat군간의 식이 효과 차이는 total-(p=0.0001), esterified-(p=0.0001), total HDL-(p=0.005), $HDL_2$-(p=0.01) 및 LDL-(p=0.0001) cholesterol에서 유의적이다. LCAT activity는 두 군에서 변화가 없으나, 4주 후 CETP activity는 butter군에서 2.5배 증가하였다. 이는 VLDL+LDL cholesterol 농도가 butter군에서 증가한 결과와 일치한다. LCAT activity는 corn oil군에서 증가된 HDL의 apo A-I 농도와 free cholesterol과 정의 상관관계가 높은 반면, CETP activity는 total cholesterol과 LDL 및 VLDL+LDL cholesterol과 정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 PDF

건강검진자료에 의한 일반 성인들의 혈압과 혈청지질 및 비만지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Obesity Indices in Adults using Health Examination Data)

  • 윤석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394-440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검진을 받은 일반 성인들의 혈압과 혈청지질치 및 비만지표와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2012년 한 대학교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았던 20세 이상 일반 성인 2,734명(남자 1,344명, 여자 1,3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는 해당 대학병원 연구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대상자들의 종합건강검진 결과표와 문진표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항목으로는 피조사자들의 성별, 연령, 안정 시 혈압(SBP, DBP), 혈청지질치(TC, HDL-C, LDL-C, TG, AI) 및 비만관련지표(BMI, 체지방률, 허리둘레) 등이었다. 연구결과, TC, TG, AI는 남녀 모두 고혈압군이 비고혈압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HDL-C는 여자에서 비고혈압군이 고혈압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반면, LDL-C는 고혈압군이 비고혈압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BMI,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남녀 모두 고혈압군이 비고혈압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SBP와 DBP는 남녀 모두 연령, TC, TG, AI, BMI, 체지방률 및 허리둘레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HDL-C와 LDL-C는 여자에서만 각각 음의 상관관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령을 조정한 고혈압발생위험비는 남녀 모두에서 TC, TG, BMI, 허리둘레가 정상인 군보다 비정상인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DL-C는 여자에서만, 체지방률은 남자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혈압이 여러 혈청지질치 및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식행동과 건강생활습관이 혈압, $\gamma$-GPT, 혈당 및 HDL-Cholesterol에 미치는 영향-전주지역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on Blood Pressure, $\gamma$-GPT, Blood Glucose and HDL-Cholesterol in the Cheon-Ju Area)

  • 김인숙;서은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574-582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over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on blood pressure, $\gamma$-Glutamic acid Peptide Transferase($\gamma$-GPT), blood glucose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HDL-C). 185 subjects(85 male, 100 female) were selected, who were living in the Cheonju area aged 40#s to 60#s. The mean systollic blood pressure(SBP), diastollic blood pressure (DBP), $\gamma$-GPT, fasting blood sugar(FBS) and HDL-C for all the subjects were 118mmHg, 77mmHg, 281U/l, 90mg/dl and 45mg/dl, respectively. The SBP and DBP for subuects over 60 years old were 126mmHg and 81mmHg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ubjects in their 40#s and 50#s(p<0.001, p<0.005). The HDL-C of the group that rarely ate breakfast was 57mg/dl and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44mg/dl scored by those who ate breakfast everyday(p<0.05). The SBP for subjects having a snack 2-3 times/week was 125mmHg and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114mmHg of those having a snack everyday(p<0.05). The $\gamma$-GPT for subjects consuming alcohol everyday was 44IU/L and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8IU/I of the non-drinking group(p<0.001). The $\gamma$-GPT of light smokers was 53IU/I and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2IU/I for non-smoking participants(p<0.001). The DBP, SBP, $\gamma$-GPT, FBS and HDL-C related to exercis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BP(p<0.001) and DBP(p-0.01) between age group was positively correlated. The $\gamma$-GPT between drinking frequency(p<0.001), drinking quantity(p<0.05), and smoking(p<0.05)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The FBS between exercises had a negative correlation(p<0.05), and the HDL-C between breakfast had a negative correlation(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reasing drinking and smoking, when combined with appropriate exercise, will decrease the $\gamma$-GPT and fasting blood sugar level, and help preventing adult diseases.

  • PDF

ChatGPT을 활용한 디지털회로 설계 능력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gital circuit designing ability of ChatGPT)

  • 남기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67-971
    • /
    • 2023
  • 최근에는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ChatGPT는 대량의 데이터를 자연어 처리하여 자가 학습 후 답변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ChatGPT는 IT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특히 프로그램을 대표하는 C언어를 통해 간단한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에러를 수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토대로 C언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하드웨어 언어인 베릴로그 HDL도 ChatGPT에서 원활한 생성이 예상되지만, 베릴로그 HDL의 합성은 명령문들을 논리회로 구조 형태로 생성하는 것이기에 결과물들의 정상적인 실행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용이한 실험을 위해 규모가 적은 논리회로들을 선택하여 ChatGPT에서 생성된 디지털회로와 인간이 만든 회로들의 결과를 확인하려 한다. 실험 환경은 Xilinx ISE 14.7로 모듈들을 모델링하였으며 xc3s1000 FPGA칩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결과물을 FPGA의 사용 면적과 처리 시간을 각각 비교 분석함으로써 ChatGPT의 생성물과 베릴로그 HDL의 생성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고지방 식이를 투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두충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on Ethanol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Rats Fed High Fat Diet)

  • 남상명;강일준;정차권;정명은;함승시;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96-801
    • /
    • 2002
  • 두충 에탄을 추출물이 생체내 지질대사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식이에 두충 추출물을 투여(CE)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C)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HDL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 성은 없었다 동맥경화 지수 역시 두충 추출물 투여군(CE)이 대조군 (L)에 비해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HTR은 55%의 증가를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CL)를 투여한 결과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유의성있게(p<0.05) 증가하였으나 HDL과 HTR은 크게 감소되어 통계적 유의성 (p<0.05)을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군(CL)의 동맥경화지수(AI)는 대조군(C)에 비해 3.6배의 증가를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에 두충 추출물(CLE)을 투여했을 때 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지 수는 고지방식이군(CL)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식이군(CL)의 중성 지방 함량과 인지질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두충 추출물 투여(CLE)로 중성 지방은 CL군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으며 (p<0.05) 인지질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 지질대사에서 두충 추출물 투여군(CE)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은 대조군(C)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인지질은 대조군보다 22%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 (CL) 투여 시간의 총지질, 콜레스테롤, HDL, 중성 지방은 대조군(C)에 비해 유의성있게(p<0.05)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 (CL)에 의해 GST활성은 유의 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catalase와 SOD활성은 대조군(C)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충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CE및 CLE군의 GST와cata-lase활성은 각각 C와 CL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강한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우울증상의 연관성 :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Gender Difference in Associations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Depression Symptoms in Healthy General Population)

  • 이소희;박미나;윤대현;이영;김선신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27-32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울 증상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연관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검진을 받은 일반인 중 27,452명(남자 15,044명, 여성 12,40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의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점수를 구하고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을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은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6, p<0.01 ; r=-0.015, p<0.05) 여성의 경우도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9, p<0.01). 남성과 달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남녀 모두 중성지방(TG)이 높을수록,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서만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동지역 성인의 혈청지질 농도 및 이에 영향를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erum Lipid Levels and Related Factors of Adults in Yeongdong Area)

  • 조운형;김은경;최정희;오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5-416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hanges in serum lipid levels with age and gender, an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ffect the serum lipid profiles. The anthropometric parameters(height, weight, waist girth, hip girth) and biochemical status(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 were measured for clinically normal adults(male 89, female 91) in Yeongdong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besity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115.2{\pm}15.2%$) than in male($109.9{\pm}13.4%$), but waist/hip girth ratio(WH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0.89{\pm}0.05$) than in female($0.81{\pm}0.06$). 2. Male subjects had higher triglyceride and atherogenic index and lower HDL-cholesterol and relative cholesterol than those of female subjects. 3. Prevalences of hypercholesteolemia, hypertriglyceridemia and hypoHDL-cholesterolemia were 9.0%, 9.0%, 14.6% respectively in male and 9.9%, 2.2%, 4.4% in female. 4. WHR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cholesterol, TG, LDL/HDL and A.I.,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 and relative chol. Correl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WHR seemed to b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serum lipid levels(rather than obesity index). 5. Ag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waist girth, WHR, cholesterol, LDL-cholesterol, LDL/HDL and A.I., but negative correlations with height, body weight and relative cholesterol. 6.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G concentration between drinker($169.3{\pm}130.0mg/dl$) and non-drinker($111.4{\pm}64.5mg/dl$), and smoker($165{\pm}103.6mg/dl$) and non-smoker ($110.8{\pm}39.0mg/dl$). That is to say that as risk factors for hyperlipidemia are obesity index, serum lipid concentration, life style(such as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and age. Specially major risk factors are drinking, smoking and regulated exercise in male and age is an important risk factor in female.

  • PDF

맥주효모 슬러리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wer's Yeast Slurry on the Growth and Blood Composition of Broiler Chicks)

  • 김정학;심관섭;마정숙;권덕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66
    • /
    • 2004
  • 맥주공장에서 얻어지는 맥주효모 슬러리를 육계사료의 첨가제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8$0^{\circ}C$에서 건조하였으며, 육계사료에 0%, 2%, 4% 첨가ㆍ급여하여 육계의 성장과 장기발달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시 육계의 성장률이 9% 향상되었고(P<0.05) 사료 효율은 8% 개선되었다(P<0.05). 사료섭취량은 전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 처리구간에서 육계의 간장, 심장 및 복강지방의 무게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대비 간장 무게의 비율에 있어서는 4% 첨가구에서 감소되었다.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혈중 glucose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혈중 triglyceride 농도에 있어서는 4% 첨가구에서 31%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특히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육계의 혈청 중 total-cholesterol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HDL 농도에 있어서는 2%와 4%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3%와 26% 증가하여(P<0.05), HDL/TC의 비율을 향상시켰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켜 육계의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특히 혈중에서는 triglyceride 농도를 감소시키고, HDL 농도 및 HDL/TC의 비율을 증가시켜 체내 지방대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