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DFs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5초

자외선이 조사된 섬유아세포에서 말채나무 잎추출물의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of Cornus walteri Wanger Leaves in Human Dermal Fibroblast Irradiated by UVB)

  • 박현철;정택규;윤경섭
    • KSBB Journal
    • /
    • 제29권6호
    • /
    • pp.432-436
    • /
    • 2014
  • We investigate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leaves of Cornus walteri Wanger (CWE) by treated enzyme in human dermal fibroblast (HDFs) irradiated by UVB. We examined the in vitro chemical and cellular antioxidant activities of CWE in HDFs. We employed scavenging assay for the 1,1-diphenyl-2,5-picrylhydrazyl (DPPH) radicals and cellular antioxidative activity of CWE, and we was investigated in $H_2O_2$-treated or UVB-irradiated HDFs. The CWE effectively scavenged DPPH radicals ($IC_{50}$ $7.03{\pm}0.4{\mu}g/mL$) when compared to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L-ascorbic acid ($IC_{50}$ $4.69{\pm}0.3{\mu}g/mL$). CWE reduced UVB-induced cellular damage in HS68 cells by MTT assay and inhibited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in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CWE also attenuated the elevated levels of 8-isoprostane resulting from UVB-mediated oxidative stres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WE could be a new potential candidate as antioxidant against UVB-induced oxidative stress in HDFs.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UVB 조사에 대한 능소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Effect of Campsis grandiflora on Antioxidative Activity in UVB-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 김진화;이범천;;표형배
    • 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4-179
    • /
    • 2005
  • The human skin is constantly exposed to environmental irritants such as ultraviolet, smoke, chemicals. Free radical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aused by these environmen tal facts play critical roles in cellular damage. These irritants are in themselves damaging to the skin structure but they also participate the immensely complex inflammatory re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kin cell protective effect of Campsis grandiflora extract on the UVB-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We tested free radical and superoxide scavenging effect in vitro. C. grandiflora extracts had potent radical scavenging effect by 82% at $100{\mu}g/ml$, respectively. For testing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activity the cultured HDFs were analyzed by increase in DCF fluorescence upon exposure to UVB 20 $MJ/cm^2$ after treatment of C.grandiflora extracts. The results showed that oxidation of CM-DCFDA was inhibited by C.grandiflora extracts effectively and C.grandiflora extracts has a po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UVB- irradiated HDFs. In ROS imaging using confocal microscope we visualized DCF fluorescence in HDFs directly.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C.grandiflora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prevention of UV-induced adverse skin reactions such as radical production, and skin cell damage.

하둡 상에서 ARIA 알고리즘을 이용한 HDFS 데이터 암호화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DFS data encryption scheme using ARIA algorithms on Hadoop)

  • 송영호;신영성;윤민;장미영;장재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13-616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기기의 보급 및 소셜 서비스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빅데이터가 등장하였다. 한편 빅데이터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하둡이 존재한다. 하둡은 클러스터 환경에 기반한 우수한 확장성, 장애 복구 기능 및 사용자가 기능을 정의할 수 있는 맵리듀스 프레임워크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하둡은 개인정보나 위치 데이터 등의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Kerberos를 통한 사용자 인증 기법을 제공하고, HDFS 압축 코덱을 활용한 AES 코덱 기반 데이터 암호화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하둡 기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는 국내 기관 및 기업은 국내 ARIA 데이터 암호화를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하둡을 기반으로 ARIA 암호화를 지원하는 HDFS 데이터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하둡 분산 파일시스템의 동적 클러스터 관리 기법 (Dynamic Cluster Management of Hadoop Distributed Filesystem)

  • 류우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5-437
    • /
    • 2016
  • 하둡 분산 파일시스템(HDFS)는 빅데이터의 병렬 분산 처리를 위해 다수의 노드에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는 파일시스템이다. HDFS의 분산 노드 클러스터는 수천 개 이상의 규모 확장성을 갖추고 있으나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전용 하드웨어를 가정하고 있으며, 기존의 기업 및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유휴 전산 자원을 고려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관 내 존재하는 다양한 유휴 전산 자원을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HDFS에 추가함으로써 빅데이터 저장 및 분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적 클러스터 관리 기법을 제시한다.

  • PDF

해쉬 체인 기반의 안전한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인증 프로토콜 (Secure Authentication Protocol in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based on Hash Chain)

  • 정소원;김기성;정익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831-847
    • /
    • 2013
  • 모바일 대중화에 따른 소셜 미디어의 확산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치 있는 비즈니스 정보를 얻고자 하는 기업들의 빅데이터 기술 도입 및 활용 또한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하둡은 테라바이트 단위의 파일 저장 능력과 저렴한 구축비용,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로 가장 대표적인 빅데이터 기술로 손꼽힌다. 하지만 현재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토큰 시스템은 토큰 재전송 공격, 데이터노드 해킹 공격에 취약하다. 이는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상에 저장된 기업 기밀 데이터 및 고객 개인 정보 등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토큰 및 데이터노드가 공격자에게 노출되었을 때 발생 가능한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의 보안 취약성을 분석하고, 해쉬 체인을 사용한 보다 안전한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Proteomic analyses reveal that ginsenoside Rg3(S) partially reverses cellular senescenc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by inducing peroxiredoxin

  • Jang, Ik-Soon;Jo, Eunbi;Park, Soo Jung;Baek, Su Jeong;Hwang, In-Hu;Kang, Hyun Mi;Lee, Je-Ho;Kwon, Joseph;Son, Junik;Kwon, Ho Jeong;Choi, Jong-S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50-57
    • /
    • 2020
  • Background: The cellular senescence of primary cultured cells is an irreversible process characterized by growth arrest. Restoration of senescence by ginsenosides has not been explored so far. Rg3(S) treatment markedly decreased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activity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in senescent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is effect of Rg3(S) on the senescent HDFs remains unknown. Methods: We performed a label-free quantitative proteomics to identify the altered proteins in Rg3(S)-treated senescent HDFs. Upregulated proteins induced by Rg3(S) were validat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blot analyses. Results: Finally, 157 human proteins were identified, and variable peroxiredoxin (PRDX) isotypes were highly implicated by network analyses. Among them, the mitochondrial PRDX3 was transcriptionally and translationally increased in response to Rg3(S) treatment in senescent HDFs in a time-dependent manner. Conclusion: Our proteomic approa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partial reversing effect of Rg3 on senescent HDFs through induction of antioxidant enzymes, particularly PRDX3.

분산 하둡 시스템의 성능 비교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Distributed Hadoop Systems)

  • 배병진;김영주;김영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79-482
    • /
    • 2014
  • 오늘날 급증하는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오픈소스인 하둡을 많이 사용한다. 하둡은 분산 파일 처리 시스템인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와 분산 병렬 처리 시스템인 맵리듀스(MapReduce)로 구성되어 있다. 하둡의 맵리듀스 프레임워크에서는 빅데이터를 HDFS에서 읽어들이고 분석 처리된 결과를 다시 HDFS에 쓴다. 이러한 분산 병렬 처리 방식은 하둡 버전에 따라 다른 시스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둡 버전에 따른 빅데이터 처리 시에 동작하는 하둡시스템들의 내부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하둡 시스템을 감시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여 내부적으로 생성되는 프로세스 및 스레드들과 변수들의 발생빈도를 측정하여 분석 지표로 사용한다.

  • PDF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기반 소용량 파일 처리를 위한 동적 프리페칭 기법 (A Dynamic Prefetchiong Scheme for Handling Small Files based on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 유상현;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329-332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이 활성화 됨에 따라 기존의 파일 시스템과는 다른 대용량 파일 처리에 효율적인 분산파일시스템의 요구가 대두 되었다. 그 중에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Hadoop Distribute File System, HDFS)은 기존의 분산파일 시스템과는 달리 가용성과 내고장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접근 패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지원하여 대용량 파일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의 파일시스템으로 대부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HDFS 데이터 집합에서 대용량 파일 보다 소용량 파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이러한 다수의 소 용량 파일은 데이터 처리에 있어 높은 처리비용을 초래 할 뿐 만 아니라 메모리 성능에 악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소 용량 파일을 프리패칭 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HDFS의 데이터 프리페칭은 기존의 데이터 프리페칭의 기법으로는 적용하기 어려워 HDFS를 위한 데이터 프리패칭 기법을 제안한다.

  • PDF

HMM을 이용한 HDFS 동적 데이터 복제 알고리즘 (A Dynamic Data Replication Algorithm Using Hidden Markov Model for HDFS)

  • 박나영;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327-328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시스템의 성능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정보 공유의 용이성, 장소의 제약성 최소화, 저장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분산 파일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HDFS의 복제 정책은 모든 데이터에 3개의 복제복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데이터의 중요도, 이용빈도수를 반영하지 못한 정책으로 상이한 서비스 품질 및 신뢰성 수준을 반영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이용 빈도수에 따라 복사본의 개수를 조절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Kerberos 기반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의 안전성 향상방안 (A Study on Security Improvement in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Based on Kerberos)

  • 박소현;정익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803-813
    • /
    • 2013
  • 최근 스마트 기기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가 폭증하며 세계는 이른바 빅데이터 시대를 맞고 있다. 이에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인 빅데이터 처리기술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함께 주목받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하둡이다.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은 상용 리눅스 서버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서 수백 테라바이트 크기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초기 하둡은 빅데이터 처리에 초점을 맞추어 보안이 거의 도입되지 않은 상태였으나 사용자가 빠르게 늘어남에 따라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에 개인정보를 포함한 민감한 데이터가 많이 저장되면서, 2009년 커버로스와 토큰 시스템을 도입한 새로운 버전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재전송 공격, 가장 공격 등이 가능하다는 취약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면서 하둡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