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CT116 colon cancer cell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5초

Growth of Human Colon Cancer Cells in Nude Mice is Delayed by Ketogenic Diet With or Without Omega-3 Fatty Acids and Medium-chain Triglycerides

  • Hao, Guang-Wei;Chen, Yu-Sheng;He, De-Ming;Wang, Hai-Yu;Wu, Guo-Hao;Zhang, B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2061-2068
    • /
    • 2015
  • Background: Tumors are largely unable to metabolize ketone bodies for energy due to various deficiencies in one or both of the key mitochondrial enzymes, which may provide a rationale for therapeutic strategies that inhibit tumor growth by administration of a ketogenic diet with average protein but low in carbohydrates and high in fa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male BALB/C nude mice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tumor cells of the colon cancer cell line HCT116. The animals were then randomly split into three feeding groups and fed either a ketogenic diet rich in omega-3 fatty acids and MCT (MKD group; n=12) or lard only (LKD group; n=12) or a standard diet (SD group; n=12) ad libitum. Experiments were ended upon attainment of the target tumor volume of $600mm^3$ to $700mm^3$. The three diets were compared for tumor growth and survival time (interval between tumor cell injection and attainment of target tumor volume). Results: The tumor growth in the MKD and LKD groups was significantly delayed compared to that in the SD group. Conclusions: Application of an unrestricted ketogenic diet delayed tumor growth in a mouse xenograft mode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ddress the mechanism of this diet intervention and the impact on other tumor-relevant parameters such as invasion and metastasis.

Antioxidant, Antiinflama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trawberry Extracts

  • Hong, Ji-Young;Song, Su-Hyun;Park, Hyen-Joo;Cho, Yong-Jin;Pyee, Jae-Ho;Lee, Sang-Koo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3호
    • /
    • pp.286-292
    • /
    • 2008
  • Strawberry is widely consumed in diet and has been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its potential for human health benefits. Strawberry contains a diverse range of phytochemicals but the biological activities with molecular mechanisms are poorly elucidated ye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extracts of strawberry (Maehyang cultivar) o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roliferative potential against various cancer cells were investigated. The strawberry extracts (SE) of Maehyang cultivar show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addition, SE inhibited the growth of human colon (HCT-116), lung (A549), stomach (SNU-638) and fibrosarcoma (HT-1080) cancer cells. The strawberry extracts also exhibited the inhibitory effect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suppressed LPS-induc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and mRNA expression i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rawberry extracts (Maehyang cultivar) might have antioxidant, antiinflammotry, and anticancer activities.

AGS 인체위암세포에서 건칠, 유근피 및 신석 추출물의 항암 활성 비교 연구 (Anti-cancer Potentials of Rhus verniciflua Stoke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and Arsenium Sublimatum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 백일성;임령해;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49-8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생쥐 유래 정상세포(RAW 264.7 대식세포 및 C2C12 근아세포)에서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 단독 및 복합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인 세포생존율의 억제 현상은 관찰 할 수 없었다. 그리고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는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AGS 위암세포의 생존력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나, 폐암(A549), 대장암(HCT116), 간암(Hep3B) 및 방광암(T24) 세포에서는 그 효과가 미비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AGS 위암세포 선택적 생존 억제력은 apoptosis 유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염색질의 응축 현상, DNA 단편화 및 annexin-V 염색에 의한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는 Fas 및 Fas legand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XIAP, cIAP-1 및 survivin과 같은 IAP family 단백질과 anti-apoptotic Bcl-xL의 발현은 저하시켰다. 복합 처리는 또한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의 손실과 caspases (-3, -8 및 -9)의 활성에 PARP 단백질의 분절화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처리에 의한 AGS 세포에서 관찰된 세포독성 및 apoptosis 유도 효과는 pan-caspases inhibitor인 z-VAD-fmk의 선처리에 의하여 차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에 의한 AGS 위암세포 선택적 apoptosis 유도가 caspase 의존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in vivo 모델을 이용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Mcl-1 단백질은 Noxa 단백질의 결합 파트너이다. (Mcl-1 is a Binding Partner of hNoxa)

  • 박선영;김태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063-1067
    • /
    • 2007
  • Bcl-2 family 단백질은 세포사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사 촉진 Bcl-2 family 단백질과 세포사 억제 Bcl-2 family 단백질 사이의 균형적인 상호작용이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주요인자이다. Bcl-2 family 단백질 중 하나인 Noxa 단백질은 p53 에 의한 전사되는 단백질로 처음 발견되었다. Noxa 단백질이 어떻게 세포사를 조절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Yeast two-hybrid 방법을 통해 Noxa 단백질과 결합하는 파트너 단백질을 검색하였고 이를 통해 세포사 억제 단백질 중 하나인 Mcl-1를 발견하였다. 사람 대장암 세포주인 HCT 116에서 Noxa 단백질과 Mcl-1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면역침전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HCT 116 세포주에서 Mcl-1 단백질 과다발현은 Noxa에 의한 세포사 유도를 크게 억제하였다. Noxa 단백질 과다발현에 의한 세포사 과정에서 Mcl-1 단백질이 분해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는 caspase 억제제인 z-VAD-fmk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이는 Mcl-1 단백질이 cas-pase에 의해서 분해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결론적으로, Noxa와 Mcl-1의 결합은 세포사 과정 중 caspase에 의한 Mcl-1 단백질 분해를 유도를 매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칼륨죽염의 in vitro 항암 기능성 증진 효과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Potassium Bamboo Salt)

  • 조흔;정지강;김소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48-1252
    • /
    • 2012
  • 칼륨을 첨가하여 제조한 죽염의 항암효과를 일반죽염 및 천일염, 정제염과 비교하여 칼륨 첨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칼륨죽염과 죽염의 radical 소거능이 높았고, 칼륨죽염의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제염과 천일염의 소거능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칼륨죽염과 20배 이상의 차이가 있었다. MNNG를 사용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돌연변이 실험결과 소금은 모두 보돌연변이 효과가 있었지만, 칼륨죽염의 보돌연변이 효과가 다른 소금보다 3~46% 낮게 나타났다. HCT-116 암세포에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도 위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칼륨죽염과 일반죽염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와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가 천일염 및 정제염에 비해 높았고 그중 칼륨죽염의 in vitro 항암 기능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죽염의 항암효과는 천일염이 정제염보다 좋으며, 이러한 죽염의 항암효과를 칼륨을 첨가함으로써 더욱 증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죽염의 항암 기능성이 증가한 주요 원인은 칼륨이라고 생각되어지며, 이것이 죽염으로 제조될 때 그 효과가 더 증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Walnut phenolic extracts reduce telomere length and telomerase activity in a colon cancer stem cell model

  • Shin, Phil-Kyung;Zoh, Yoonchae;Choi, Jina;Kim, Myung-Sunny;Kim, Yuri;Choi, Sang-W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1호
    • /
    • pp.58-63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elomeres are located at the chromosomal ends and progressively shortened during each cell cycle. Telomerase, which is regulated by hTERT and c-MYC, maintains telomeric DNA sequences. Especially, telomerase is active in cancer and stem cells to maintain telomere length for replicative immortality. Recently we reported that walnut phenolic extract (WPE) can reduce cell viability in a colon cancer stem cell (CSC) model.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WPE on telomere maintenance in the sam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CD133^+CD44^+$ cells from HCT116, a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were sorted by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d treated with WPE at the concentrations of 0, 10, 20, and $40{\mu}g/mL$ for 6 days. Telomere lengths were assess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 using telomere specific primers and DNA extracted from the cells, which was further adjusted with single-copy gene and reference DNA ($ddC_t$). Telomerase activity was also measured by qRT-PCR after incubating the PCR mixture with cell protein extracts, which was adjusted with reference DNA ($dC_t$). Transcriptions of hTERT and c-MYC were determined using conventional RT-PCR. RESULTS: Telomere length of WPE-treated cel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5.16{\pm}0.13$ at $0{\mu}g/mL$, $4.79{\pm}0.12$ at $10{\mu}g/mL$, $3.24{\pm}0.08$ at $20{\mu}g/mL$ and $3.99{\pm}0.09$ at $40{\mu}g/mL$; P = 0.0276). Telomerase activities concurrently decreased with telomere length ($1.47{\pm}0.04$, $1.09{\pm}0.01$, $0.76{\pm}0.08$, and $0.88{\pm}0.06$; P = 0.0067).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lomere length and telomerase activity (r = 0.9090; P < 0.0001). Transcriptions of both hTERT and c-MYC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ame manner. CONCLUSION: In the present cell culture model, WPE reduced telomere maintenance, which may provide a mechanistic link to the effect of walnuts on the viability of colon CSCs.

자색고구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s)

  • 김수정;김정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25-29
    • /
    • 2010
  • The colored sweet potato, particularly purple sweet potato, has been well known to contain anthocyanins abunda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purple sweet potato. The chopped purple sweet potato was extracted 2 times with water or acetone for 18 hours at $28^{\circ}C$. The antioxidative potential of each solvent extract was assess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FRAP assa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extracts had not only high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had high level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urthermore, both solvent extracts were found to have antioxidative effect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HCT 116, HT 29) in DCFDA assay. The notable antioxidant activity of purple sweet potato suggests its significant health benefit and deserves further study to develop into functional food ingredient.

  • PDF

MCF-7 MTS에서 sodium salicylate과 genistein 복합처리는 불완전한 세포사멸과 세포괴사를 유도한다 (Combined Treatment of Sodium Salicylate and Genistein Induces Incomplete Apoptosis and Necrosis in MCF-7 Multicellular Tumor Spheroids)

  • 이수연;김초희;전현민;주민경;김민영;정의경;박혜경;강호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45-1151
    • /
    • 2012
  • 아스피린과 아스피린의 deacetylated form인 sodium salicylate (NaSal)은 대장암, 폐암 및 유방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의 항암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A549 폐암 세포주에 저농도의 NaSal과 genistein을 함께 복합 처리시 상승작용에 의해 세포사멸을 증가시켜서 NaSal에 의한 암억제 효과를 증대시킴을 이미 밝힌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A549가 아닌 다른 암세포주와 in vitro solid tumor model인 multicellular spheroids (MTS)을 이용하여 NaSal과 genistein 복합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NaSal/genistein 복합 처리시 A549 세포주와 마찬가지로 HCT116 세포주에서도 세포사멸이 유도되었지만, MCF-7 세포주에서는 유도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MCF-7 세포주는 MTS로 배양되는 동안 NaSal/genistein 복합 처리에 의해 세포 죽음을 나타내었다. 세포 죽음의 형태는 MCF-7 MTS의 발달 단계에 따라 세포사멸 또는 세포괴사로 나타났다. MCF-7 MTS에서의 세포사멸은 불완전한 양상을 보였다. 즉 염색체가 응축되고 쪼개지지만, 핵막은 여전히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NaSal/genistein 복합처리는 MCF-7 MTS 배양 system에서 불완전한 세포사멸과 세포괴사를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Cytotoxic Components in an Extract from the Leaves and Stems of Stauntonia hexaphylla

  • Zhao, Jing;Yim, Soon-Ho;Um, Jung-In;Park, Si-Hwan;Oh, Eun-Sang;Jung, Da-Woon;Williams, Darren R.;Lee, Ik-S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130-134
    • /
    • 2014
  •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identify novel anti-cancer compounds from Korean indigenous plant extracts.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and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EtOAc extract from the leaves and stems of Stauntonia hexaphylla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two active compounds, hederagenin 3-O-${\alpha}$-L-arabinoside (1) and quercetin (2).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UV, IR, MS, NMR techniques and compared with previous spectroscopic data. The cytotoxic effects of fractions and compounds on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were evaluated using the MTT assay. Quercetin showed a stronger anti-cancer effect when compared to hederagenin 3-O-${\alpha}$-L-arabinoside.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의 산화방지 활성, 활성산소종 생성과 세포독성 조절작용 (Antioxidant activities,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ytotoxic properties of fractions from aerial par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 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74-5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지상부를 70%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에 대해 용매분획하여 얻은 Fr.H, Fr.E, Fr.EA, Fr.B, 및 Fr.W, 5분획의 산화방지 효과, ROS 생성효과, 세포독성 효과 및 관련 기작에 대한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중 Fr.EA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Fr.B가 이어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Fr.EA는 DPPH와 ABTS 라디칼 및 아질산이온의 소거에 있어서도 다른 분획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질산이온의 소거에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리놀레산 지질과산화 시스템에서는 Fr.EA와 Fr.B가 강한 산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라디칼 소거능은 물론 $Fe^{2+}$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가 지방질산화에 대한 억제기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r.EA 및 Fr.E가 HCT-116 대장암 세포 및 INT-407 정상장관계 세포에 대해 높은 세포독성을 유발하였으며, 특히 Fr.EA는 HCT-116 대장암 세포에 대해 정상 장관계세포보다 유의적으로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들은 세포 내에서는 ROS를 감소시키는 산화방지효과를 나타낸 반면 배양액 중에서는 $H_2O_2$를 생성하는 산화촉진 효과도 나타내었으며, Fr.EA와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및 N-acetylcysteine 을 같이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의 산화방지 및 산화촉진 효과와 세포독성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향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소재로서의 퉁퉁마디의 이용성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