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BL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초

체외생산된 소 배반포강 내의 아미노산 농도 (Amino Acid Concentrations in the Blastocoelic Fluid of In Vitro-Produced Bovine Blastocysts)

  • 정연길;;윤종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1-259
    • /
    • 1998
  • 체외생산된 소 배반포 및 탈출 배반포강 내의 유리 아미노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외 배양은 소 혈청알부민이 함유된 합성난관배양액(synthetic oviduct fluid; SOF)에서 실시하였으며 수정 후 180시간의 배반포 및 216시간 후의 탈출 배반포를 실험에 공여하였다 아미노산 측정은 알부민 대신 Polyvinyl alcohol이 함유된 SOF 미소적에 수정란을 분주하고 미세조작기를 이용하여 배반포강 내의 액을 추출하여 20종류의 아미노산을 측정하였다. 탈출 배반포는 isoleucine, leucine 및 methionine 농도가 배반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lutamate, aspartate는 두 군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알았다. 반면 alanine 및 threamine (p〈0.01)과 cystine을 제외한 나머지 12종류의 아미노산(p〈0.001)은 배반포가 탈출 배반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비록 glutamine의 경우 배양액 내에 첨가되지 않았으나 두 군, 특히 배반포 내에서 높은 측정치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로 보아 체외생산된 배반포 및 탈출 배반포는 내강에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을 각기 다른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차단층 설계 변수가 GaN 기반 LED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locking Layer Design Variable on the Characteristics of GaN-based Light-Emitting Diode)

  • 이재현;염기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3-2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차단층 설계 변수에 따른 GaN 기반 LED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LED의 기본 구조는 GaN 버퍼층을 기반으로 GaN 장벽과 InGaN 양자 우물로 이루어진 활성 영역이 AlGaN EBL(Electron Blocking Layer)과 AlGaN HBL(Hole Blocking Layer)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ISE-TCAD를 이용하여 GaN 기반 LED에서 EBL의 Al 몰분율과 두께, HBL의 Al 몰분율과 도핑 농도에 따른 출력 전력과 내부 양자 효율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Toxin Gene Profiling of Bacillus cereus Food Isolates by PCR

  • Seong, Seon-Je;Lim, Ji-Su;Lee, Kwang-Geun;Lee, Seung-Ju;Hong, Kwang-W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263-268
    • /
    • 2008
  • Seventy-one Bacillus cereus strains (12 references and 59 food isolates) were analyzed for the occurrence of five different enterotoxin genes (nheABC, hblCDA, entFM, cytK, and bceT) and one emetic toxin cereulide synthetase gene (ces) by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revealed eight toxigenic patterns in all B. cereus strains tested; they all carried both entFM and nheABC. The presence of hblCDA, cytK, and bceT varied according to the enterotoxin-producing strains, among which hblCDA was the least frequently detected in the food-isolated strains. Only five B. cereus strains harbored ces, associated with the emetic type of food poisoning; however, these strains were devoid of hblCDA, cytK, and bceT.

Electro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modified hole blocking layer

  • Shin, Y.C.;Baek, H.I.;Lee, C.H.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042-1045
    • /
    • 2006
  •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electro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with modified hole blocking layer (HBL) were investigated. Well-known 2,9-dimethyl-4,7- diphenyl-1,10-phenanthroline (BCP) HBL is mixed with electrophosphorescent host material (4,4'-N,N'- dicarbazole-biphenyl: CBP) or electrophosphorescent dopant material (fac-tris(2-phenylpyridine) iridium: $Ir(ppy)_3$) or both. The highest external quantum efficiency was obtained in the device with $BCP-CBP-Ir(ppy)_3$ mixed HBL and we attribute this result to the additional charge recombination in mixed-HBL.

  • PDF

Homobrassinolid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urcuma longa L. (turmeric) rhizome

  • G, Rajesh;B.V. Vardhini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65-75
    • /
    • 2023
  • The effect of homobrassinolide (HBL) on the nutrient value of Curcuma longa L. (turmeric) rhizome grown in Nizamabad, Telangana State, India was studied. Application of homobrassinolide (HBL) as foliar spray to turmeric plants on the 20th, 40th and 60th day from sowing resulted in enhanced chemical composition of turmeric rhizome. Application of homobrassinolide (HBL) resulted in enhanced total sugars, principal ingredient curcumin, total poly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tannin content, crude fat, crude fibre and essential oils (turmerone, zingiberene, cineole and p-cymene) present in the turmeric rhizome indicating the ability of homobrassinolide (HBL) as a potential plant growth regulator (PGR).

보육시설 유아 사용 칫솔의 식중독 미생물 분포 및 독소 유전자 (Prevalence and Toxin Gene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Toothbrush in Child Care Center)

  • 김종승;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2-248
    • /
    • 2015
  • 어린이집 유아들이 사용하는 칫솔 및 양치 컵의 미생물 오염도와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독소 유전자 및 독소 생산능력을 분석하여 칫솔과 양치 컵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고자 칫솔 75개, 칫솔걸이 29개, 양치 컵 65개를 실험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5.3 log CFU 검출되었고 칫솔은 평균 6.7 log CFU 검출되어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은 칫솔 75건 중 41건 (54.7%), 칫솔걸이 29건 중 13건 (44.8%), 양치 컵 65건 중 29건 (44.6%)에서 검출되었으며 진균수는 평균 3.2 log CFU 검출되었고 칫솔이 평균 4.6 log CFU 검출되어 칫솔의 대장균군, 진균 오염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Salmonella spp.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B. cereus는 칫솔 75건 중 1건 (1.3%), 양치 컵 65건 중 2건 (3.1%)에서 검출되었고 S. aureus는 양치 컵 65건 중 1건 (1.5%)에서 검출되었다. 칫솔에서 분리된 B. cereus의 경우 nheA, nheB, nheC, hblC, hblD, hblA, entFM 등 7종의 설사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양치 컵에서 분리된 B. cereus 2균주는 nheA, nheB, nheC, entFM 설사독소 유전자만 검출되었다. 칫솔에서 분리된 B. cereus의 경우 HBL, NHE 설사독소를 생산하였고 양치 컵에서 분리된 B. cereus 2균주는 모두 NHE 설사독소만을 생산하였다. B. cereus는 ${\beta}-lactam$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는 ampicillin과 penicillin에만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칫솔과 양치 컵이 양치 후 젖은 상태로 화장실에 보관되거나 젖은 상태로 자외선 살균고에서 살균되는 등 부적절한 보관가 살균방법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면역력이 취약한 어린이집 유아가 사용하는 칫솔 및 양치컵을 건조한 후 자외선 살균고 등을 이용 살균하여 상대 습도가 낮은 건조한 곳에 보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육시설 유아 사용 수건의 미생물 분포 및 독소 특성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 on Hand Towels Using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 김중범;김난영;강석호;도영숙;엄미나;윤미혜;이정복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8-145
    • /
    • 2013
  • 어린이집 유아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수건의 미생물 오염도와 분리된 식중독 미생물의 장독소 유전자 및 장독소 생산 특성을 분석하여 어린이집 유아 사용 수건의 위생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어린이가 손 씻은 후 공용으로 사용하는 수건 22개 (사용 전 7개, 사용 중 15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6.2 log CFU/100 $cm^2$로 검출되었고 진균수는 평균 4.1 log CFU/100 $cm^2$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사용 전 수건의 경우 7건 중 4건 (57.1%), 사용 중인 수건의 경우 15건 모두에서 (100%) 검출되었다. 어린이 사용 수건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 수건의 위생적인 살균 세탁 및 상대습도가 낮은 곳에 보관하는 등의 보관 방법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Salmonella spp.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모든 수건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Staph. aureus는 22건 중 5건 (22.7%), B. cereus는 11건 (50.0%)에서 검출되어 B. cereus 오염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Staph. aureus 장독소 유전자와 독소 단백질은 모두 불검출 되었으나 분리 동정된 11균주의 B. cereus 장독소 유전자 실험 결과 hblC, hblD, hblA 유전자가 각각 72.7, 72.7, 54.5% 검출되고 nheA, nheB, nheC 유전자가 각각 81.8, 72.7, 54.5% 검출되었으며 cytK, entFM 장독소 유전자는 각각 45.5, 90.0% 검출되었다. B. cereus 장독소 실험결과 HBL 장독소는 11균주 중 8균주 (72.7%), NHE 장독소는 5균주 (45.5%) 검출되었고 HBL과 NHE 장독소 중 하나 이상을 생산하는 B. cereus 균주는 10균주 (90.9%)로 나타났다. 수건에 오염된 B. cereus 균주의 교차오염에 따른 식중독 위험성이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별 수건 또는 종이 타올 사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통 중인 즉석·편의식품류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산생 Toxin 및 분자유전학적 특성 조사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Toxin Profile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Ready-to-eat Foods)

  • 김태순;김민지;강유미;오그네;최수연;오무술;양용식;서정미;류미금;김은선;하동룡;조배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4-340
    • /
    • 2014
  • 즉석섭취 편의식품은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직접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B. cereus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여 대부분의 식품에 쉽게 오염되어 식중독을 유발 시킬 수 있는 독소형 식중독균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통 판매중인 즉석섭취 편의식품류 및 식중독이 발생하여 의뢰된 보존식에서 B. cereus의 분리율 및 독소 종류의 분포형태를 파악하였다. 식품 총 619건 중 263건(42.5%)의 B. cereus를 분리하였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서 즉석섭취 편의식품류에 대한 B. cereus에 대한 규격기준이 1,000 CFU/g 이하로, 본 실험에서는 규정 범위를 초과한 식품은 없었다. B. cereus 총 263개 분리균주에 대한 9종류의 장내독소 및 1종류의 구토독소를 분석한 결과, NHE complex (nheA, nheB, nheC)중 3개의 nhe 유전자를 모두 보유한 B. cereus는 236개 균주(89.7%), 1개만의 독소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2개(0.8%)뿐이었다. 또한, HBL complex (hblA, hblB, hblD) 중 3개의 hbl 유전자를 보유한 균주는 175개 균주(66.5%), 그리고 한개 혹은 두 개의 hbl 유전자를 가진 균주는 59개 균주(21.7%), 3개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지 않은 균주는 29개 분리균주(11.0%)로 나타났다. NHE complex 유전자의 빈도가 HBL complex 유전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내독소 entFM, $cytK_2$, bceT 유전자의 보유율은 각각 100, 100, 43.0% 순으로 확인되었다. B. cereus의 구토 독소인 CER 유전자는 평균 50.2%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식품유형에 따라 식중독 보존식, 즉석섭취 식품, 편의식품에서 각각 100, 59.4, 35.6%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 중 분리한 B. cereus가 산생하는 구토독소를 가지고 있는 B. cereus 균주 중 29.4%에서 8개의 장내독소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균주들도 대부분 5-8개의 장내독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식품에서 분리한 B. cereus는 대부분의 균주가 설사형 및 구토형 독소를 보유하고 있어, 즉석 섭취 편의식품의 미생물 오염 요인들은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품의 미생물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업체의 생산단계부터 저장 및 운반을 포함한 유통단계 등에서 식중독을 유발 할 수 있는 오염원들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철저한 개인 및 환경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Fabrication of OLED using PBD as a Hole Blocking Layer

  • Kang, Min-Woong;Kim, Jong-Sung;Kwon, Sang-Jik;Lee, Hoo-Kyu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2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784-787
    • /
    • 2002
  • O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using 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1,3,4oxadiazole) as a hole blocking layer were fabricated and their device performances were investigated. The devices have a structure of glass substrate ${\setminus}$ indium tin oxide (ITO) ${\setminus}$ TPD(HTL)${\setminus}$PBD,BCP(HBL)${\setminus}$Alq3(EIL)${\setminus}$Mg:Ag(cathode). In this work Bathocuproine(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and PBD which were previously known as a good ETL material were used as a HBL. By employing HBL, the luminance and quantum efficiency of OLEDs could be improved due to the increase of recombination probability of electrons and holes.

  • PDF

New Hole Blocking Layer를 포함한 OLEDs (New Hole Blocking Layer for low voltage and high efficiency OLEDs)

  • 하미영;김소연;문대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8
    • /
    • pp.442-443
    • /
    • 2007
  • We have studied new hole blocking layer for effectiv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he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ITO/2TNATA/$\alpha$-NPD/DPVBi : Rubrene(0.7%)/DPVBi/New Hole Blocking layer or BCP/$Alq_3$/LiF/Al has been used. The driving voltage of OLED with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or New HBL were 5.5V and 4.4V, respectively. As a result, new HBL rather than BCP has a good hole blocking 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