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CCP applic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MAR기반 음용수 공급 시스템에의 HACCP 원리 적용 (Application of HACCP principles to MAR-based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 지현욱;이상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33-543
    • /
    • 2016
  • Supplying clean and safe water to people is fac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llenges. Due to climate change, access to freshwater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while pollution from various sources decreases the public trust in water quality. Managed aquifer recharge (MAR) which stores and uses surface water in aquifer is receiving attention as a new technology to secure freshwater. Recently, there is a global expansion in the attempt to combine general purification plants and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which manages all the process from raw material to consumer for food safety. This research is about an attempt to apply HACCP to the drinking water supply process using MAR to secure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drinking water. The study site is a MAR plant being constructed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Basin, South Korea. The incorporation of HACCP with MAR-based water supply system is expected to enhanc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drinking water.

식품접객업소(食品接客業所)의 위생개선(衛生改善)을 위(爲)한 검사항목(檢査項目) 개발(開發)과 활용(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HACCP 모델을 이용(利用)한 기여인자(寄與因子) 분석방법(分析方法)으로- (Development of an Inspection Item and its Application for the Hygienic Improvement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Using -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HACCP) Model-)

  • 홍종해;이용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2년도 학술강연회
    • /
    • pp.33-45
    • /
    • 1992
  • The sanitation inspection is the most frequently used procedure to protect foods prepared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order to enhance foodservioe inspections and to improve post-inspection remedial measures, more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for sanitation are required. The HACCP approach is based upon factors which contribute to foodborne disease rather than on factors which relate to aesthetics. Contributing factors for foodborne disease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reported in USA, Canada, and England were analyzed to identify potential hazards during practical foodservioe operations. Hazards were classified at critical control points by risk ranking. Twenty-two observable practical indicators relating to each contributing factor were selected and adjusted to standardized procedures and hazard determiners at critical contral points. The weights for each inspection item were ranked as 1, 2, 3, 4 or 5 according to the risk level of contributing factors. And also application for the inspection item in different 6 types of work procedures was suggested for the use of specialized foodservice establishment and cafeteria, and of manager's self inspection in each establishment.

  • PDF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의 소독 실태 분석 (Analysis of Disinfection Practices in Foodservice Opera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 박민서;이혜연;배현주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3-110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difference in washing and disinfection when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protocol was applied to foodservice operat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Among the 116 foodservice operations surveyed, 67.2% were HACCP-compliant and 32.8% were not HACCP-compliant. Also, 62.9% served meals once daily, and 79.3% conducted food safety education once a month. Compared to HACCP non-compliant foodservice operations,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HACCP-compliant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better concerning worktables (p<0.001), food inspection tables (p<0.001), preparation tables for distribution (p<0.01), serving tables (p<0.01), overflow and trenches(p<0.05), sinks (p<0.05), and insect attracting lamps (p<0.01). Similarly,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HACCP-compliant foodservice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better for 18 cooking utensils and personal tools such as food slicers (p<0.001), multiple cooking machines (p<0.05), tray carts (p<0.001), stainless steel tools (p<0.001), rubber gloves (p<0.05). Worktables (45.1%), serving tables (29.6%), sinks (37.0%), and scales (21.6%) were most often disinfected 'at the end of each task', while food inspection tables (36.5%), food preparation tables for distribution (31.2%), dish machines (34.2%), overflow and trenches (25.7%), and floors (25.8%) were most often disinfected 'once a day'. All cooking utensils were most often disinfected 'at the end of each task'. 'Chemical disinfection' was most frequently used in all foodservice facilities. To improve the food safety management of foodservice operation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ACCP protocol and comply with the washing and disinfection manual.

소 농장 HACCP 평가항목의 점수부여 체계 개선을 통한 현장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Scoring System for HACCP Evaluation Items of Cattle Farm)

  • 백승희;남인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59-774
    • /
    • 2018
  • 본 연구는 동일한 평가점수 체계를 이용하여 HACCP 심사를 하고 있는 소 농장 HACCP 평가항목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3년간 심사결과 지적비율 분석, 위해의 심각도 수준 분석 그리고 중요도 수준 분석 등을 평가항목별로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평가점수를 차등 부여하였다. 최근 3년간 지적사항 발생비율을 조사하여 평가항목별로 발생 비율을 조사하였다. 위해의 심각도 수준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의 심사관 자문을 통해 해당 평가항목이 가축(원유) 또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안전성에 직접 관련 된 경우와 시정조치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상(3점)', 해당 평가항목이 가축(원유)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안전성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경우(위해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와 시정조치에 많이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중(2점)', 해당 평가항목이 가축(원유)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안전성에 간접 관련된 경우와 즉시 시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하(1점)'으로 설정하였다. 지적사항 발생비율과 위해의 심각도 수준을 이용하여 포트폴리오 맵을 사용하여 선행요건 관리 분야에서 최종적으로 중요도가 높은(발생비율, 위해 심각도가 높은 영역에 포함된 평가항목) 항목으로 11개(19.0%,) 중요도가 중간(발생비율, 위해 심각도 중 한 곳만 높은 영역에 포함된 평가항목)인 항목은 18개(31.0%) 그리고 중요도가 낮은(발생비율, 위해 심각도 모두 낮은 영역에 포함된 평가항목) 평가항목 29개(50.0%)로 구성되었다. HACCP 관리 분야는 중요도가 높은 항목 4개, 중간항목 5개, 낮은 항목은 6개로 구성되었다. 배점기준은 중요도 높은 항목은 3점, 중간 항목은 2점, 낮은 항목을 1점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평가항목별 배점기준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평가항목별 배점 기준을 소 농장에 적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그 차이점이 명확하게 나타나 심사의 객관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HACCP 제도의 목적인 안전한 축산물의 생산과 소비자에게 안전한 축산물 공급에도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교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닭고기 주요리의 급식품질 확보를 위한 HACCP 시스템 적용연구 (HACCP System Application on Chicken Entrees Served by Lunch Program of Elementary Schools)

  • 조경동;이복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7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hygiene standards for chicken entrees (deep-fried breast chicken, chicken and potato in red pepper paste and smothered chicken) served with in 3 different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s during 2002. The study evaluated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the food facilities, and determined the physical and microbiological hazards for the production of chicken entrees based on the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The kitchen layouts needed to be remodeled for the separation of soiled and clean work areas. The pH values for all items were over 6.0, which require careful attention. The microbial assessments of 3 chicken items revealed that the TPC, coliform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within normal ranges, but Salmonella was found at several stages in the production of all products, with the exception of smothered chicken. The bacterial counts of the kitchen utensils and cooks' hands exceeded acceptable limits, and workers' sanitary practices were poor in terms of sanitary handling and holding of foods and utensils. The CCPs determined related to the steps of receiving, cooking and breaking of egg shells. From our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chicken entrees should be prepared and served very carefully, as salmonella was detected at several stages during meal production, and the aim of the HACCP system is to secure against food-borne illnesses due to reckless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경북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학교급식 HACCP 시스템 수행 수준 및 장애요인 인식 (Dieticians' Perceived Performance Level and Obstructive Factors of HACCP System among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Gyeongbuk Province)

  • 양지혜;성봄이;김미화;정현숙;차명화;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74-1784
    • /
    • 2014
  • 학교급식소의 HACCP 시스템 적용에 대한 수행 수준과 장애요인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급식 HACCP 시스템의 보다 효율적인 적용과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급식 유형과 급식 운영 형태는 농 어촌형 60.8%, 자체조리 64.3%, 식당배식이 91.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HACCP 시스템 수행 수준은 조리종사원 대상 HACCP에 근거한 교육 실시가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ACCP팀 회의 개최 및 회의록 작성 비치가 2.74로 가장 낮았다. 학교급식 CCP의 수행 수준 인식은 전체 4.20으로 비교적 잘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CP 1: 식단의 작성이 3.90으로 가장 낮았고, CCP 4: 냉장 냉동고 온도관리 4.44, CP 5: 생채소 과일 세척 및 소독은 4.44로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 일반사항에 따른 수행 수준에서는 도시형이 농 어촌형에 비해 총 급식인원수가 많을수록 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HACCP 시스템 장애요인 인식에서 '전반적인 장애요인'과 '조리종사원의 HACCP 수행', '학교 팀장 및 예산지원부서의 협력'이 대부분 3.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교)사의 HACCP 수행'은 2.81로 가장 낮았다. 시설 설비 부족 4.00, 교육청의 예산지원 미비 3.90, 납품업체의 HACCP 시스템에 대한 이해부족 3.72 순으로 높은 장애요인으로 인식되었다. 학교급식 HACCP 시스템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영양(교)사 및 조리종사원에 대한 교육, 훈련을 통한 동기부여가 가장 중요하게 해결되어야 할 요소이며, 학교 당국의 행정적 지원과 교육청의 예산 확보를 통한 위생 전담 인력지원도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요소이다. 또한 표준위생작업절차 등의 선행요건을 개발하여 HACCP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떡류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The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Korea Rice-cake)

  • 이웅수;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92-5799
    • /
    • 2013
  • 본 연구는 떡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떡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과 작업자 등에 대하여, 2012년 9월 12일~2013년 2월 13일까지 서울시 용산구 서계동 소재에 있는 KB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떡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제조공정도는 원료 농산물(맵쌀, 찹쌀, 팥 등), 부재료, 용수와 포장재료의 입고, 보관, 계량, 세척, 불림, 분쇄, 체선별, 혼합, 시루작업, 증자,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으로 Fig. 1과 같이 작성하였다. 원료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 연구결과 떡의 원재료와 제품의 위해미생물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검사 결과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고춧가루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Red Pepper Powder)

  • 박성빈;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02-2608
    • /
    • 2015
  • 본 연구는 고춧가루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적용에 필요한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2014년 1월 10일~2014년 6월 13일까지 충주시 동량면 소재에 있는 용금농산에서 수행하였다. 고춧가루 제품의 모든 공정 단계들을 파악하여 공정흐름도를 작성하였고 미생물학적 위해를 제어할 수 있는 자외선살균공정에서 살균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미생물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자외선 등 $20W{\times}12EA$, 살균 시간은 $63{\pm}3$초를 한계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자외선살균 후에는 위해 미생물 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 검사 결과 주기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을 준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the Bakery Products at Small Scale Bakeries)

  • 엄애선;권성희;정덕화;오상석;이헌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4-462
    • /
    • 2003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소규모 베이커리 2곳을 대상으로 제빵류(단팥빵, 크림빵, 케익류)의 원료 및 공정별, 제빵기구$.$용기, 제빵종사자와 작업장환경에 대한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급식소에서 위해세균으로 정의되어 있는 E. coli, Salmonella, Yersinia, Staphylococcus와 같은 식중독균에 대한 미생물 검색을 실시함으로써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채취한 시료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안전성 수준을 초과하였다. 2. 대장균은 A점포의 혼합기, 수도꼭지, 쓰레기통, 작업장 바닥과 손잡이, 단팥빵 및 크림 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균이 분리되었다. 3. 살모넬라균은 A점포의 원재료인 마가린과 단팥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4. 황색포도상구균은 A점포의 계란과 빵자르는 기계 및 B점포의 크림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독소형은 enterotoxin 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5. PCR분석 결과 E. coli O157은 음성인 반면, Salmonella균은 양성임이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가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의 전반적인 면을 대표할 수 없는 연구의 제한성을 가지고는 있으나 이연구를 기초로 더욱더 체계적인 연구들이 실시되리라 기대한다.

빙과류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한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Edible Ices on the Microbiological Risk Factors)

  • 김태웅;최재호;김재명;;;박경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3
    • /
    • 2009
  • 본 연구는 HACCP 의무적용품목 중 빙과류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HACCP 적용업체의 경우 원재료, 살균 전 혼합물, 살균 후 혼합물 및 완제품에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에 대한 오염수준이 비적용 업체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B. cereus, S. aureus, Y. enterocolitica 등의 식중독 미생물은 HACCP적용업소나 비적용 업소 중 1제품에서 S. aureus균이 검출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HACCP 비적용 E회사에서 원재료와 살균 전 혼합액에서 각각 1제품에서 S. aureus균이 검출되어 위생상태가 HACCP 적용업소에 비하여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