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

검색결과 43,988건 처리시간 0.068초

Hyaluronic acid 함유 콘택트렌즈의 습윤성과 착용감 향상 효과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Wettability and Comfort in Contact lens with Hyaluronic acid)

  • 김현정;김수현;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5-264
    • /
    • 2011
  • 목적: 인공눈물, 렌즈용 다목적 용액, 화장품, 근골격계 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의 콘택트렌즈의 습윤성과 착용감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A가 첨가된 콘택트렌즈(+HA)와 HA가 첨가되지 않은 렌즈(-HA)를 임상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4주 동안 우안에는 HA가 첨가된 렌즈(+HA, With HA)를 좌안에는 HA가 첨가되지 않은 렌즈(-HA, Without HA)를 착용하여, 좌안을 대조군으로 우안을 비교하였다. 이 때, 렌즈 도수는 등가구면으로 처방하고,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해 덧댐굴절검사를 한 뒤 2주와 4주 동안 렌즈 착용 후 눈물검사, 전안부 검사, 피팅 용이성 평가, 표면 습윤성 검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히알루론산이 첨가된 렌즈(+HA)가 -HA 렌즈보다 우수한 습윤성을 보였으며, 눈물량은 +HA 렌즈 착용자에서는 4주 동안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HA 렌즈 착용자에서는 4주가 되면서 눈물량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HA와 -HA 렌즈 착용자의 충혈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렌즈 피팅은 +HA 렌즈에서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착용감, 습윤감, 세척의 용이성과 건조감은 +HA 렌즈가 -HA 렌즈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충혈정도와 렌즈 취급성은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히알루론산이 첨가된 소프트콘택트렌즈(+HA)는 HA가 첨가되지 않은 소프트콘택트렌즈(-HA)에 비해 렌즈착용에 따른 표면 습윤성을 높임으로써 착용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완(中脘)에 시술(施術)한 맥아약침(麥芽藥鍼)이 고지방성(高脂肪性) 식이(食餌)로 유발된 비만(肥滿) 백서(白鼠)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Fructus Hordei Germiniatus) at Acupoint Jung-wan($CV_{12}$) on the Obese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이지은;조명래;류충열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11-226
    • /
    • 2008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uctus Hordei Germiniatus-herbal acupuncture(HA; herbal acupuncture) at acupoint Jung-wan($CV_{12}$) on weight gain, food consumption, food efficiency, serum of lipid concentrations and liver function of rats fed high fat diet for 7weeks. Methods :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high fat diet group(Control), high fat diet and saline injection at acupoint $CV_{12}$ treated group(Saline), high fat diet and Fructus Hordei Germiniatus-HA at acupoint $CV_{12}$ treated groups. According to HA concentration, HA group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 HA-1($0.108mg/g/m{\ell}$), HA-2($0.054mg/g/m{\ell}$), HA-3($0.022mg/g/m{\ell}$), HA-4($0.011mg/g/m{\ell}$). HA was treated at $20{\mu}{\ell}$ per 4days, total 12times in 49days. Results : 1. Body weight per week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1, HA-2, HA-3 and HA-4 And body weight per da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3. 2. Food consumption per week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1, HA-2, HA-3 and HA-4. 3. Food efficiency per week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2, HA-3 and HA-4 And food efficiency per da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3. 4.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1 and HA-3 And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1. 5.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1, HA-2, HA-3 and HA-4. And the level of serum total bilirub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1and HA-2. 6. The level of serum AS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2 and HA-3 And the level of serum ALT, r-GT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2.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Fructus Hordei Germiniatus-HA at acupoint $CV_{12}$ can control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food efficiency, serum lipid concentrations and liver function. Asthe same time this kind of Fructus Hordei Germiniatus-HA does not seem to be injurious on liver function. To use Fructus Hordei Germiniatus-HA for obesity, further studies about their underlying mechanism may be needed.

  • PDF

광양 및 제주 지역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Gwangyang and Jeju Areas)

  • 권기철;이돈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54-65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인 전남 광양의 백운산 지역(해발 800 m)에서 자라는 60~70년생 신갈나무림과 제주 한라산 지역(해발 1,000 m)에서 자라는 60년생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 고정량을 추정하기 위해 각 지역별로 5~9 본씩 총 25 본의 표본목을 조사하였다. 광양 백운산 지역 북사면 신갈나무림의 바이오매스 현존량은 288.4 ton/ha, 남사면은 241.9 ton/ha이었으며, 제주 한라산 지역 북사면은 368.4 ton/ha, 남사면은 364.3 ton/ha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백운산 지역 북사면 20.7 ton/ha/yr, 남사면 17.7 ton/ha/yr이었다. 한라산 지역 북사면은 19.0 ton/ha/yr, 남사면 21.2 ton/ha/yr로서 바이오매스 현존량과 연간 순생산량 모두 한라산 지역이 백운산 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잎의 생산 효율인 순동화율(NAR)은 백운산 지역(4.1~5.1)이 한라산 지역(3.7~4.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광양 백운산 지역에서 북사면 신갈나무림의 에너지 현존량은 5,666 GJ/ha, 남사면은 4,793 GJ/ha이었으며, 제주 한라산 지역에서 북사면은 6,550 GJ/ha, 남사면은 6,435 GJ/ha로 나타났다.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백운산 지역 북사면 365 GJ/ha/yr, 남사면 360 GJ/ha/yr, 한라산 지역 북사면 351 GJ/ha/yr, 남사면 347 GJ/ha/yr로서 백운산 지역이 한라산 지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미귀용탕(加味歸茸湯) 및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약침(藥鍼)이 생쥐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 김민정;홍권의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9권3호통권21호
    • /
    • pp.105-116
    • /
    • 2006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ee-Gwui-ryong-tang herbal acupuncture(GR-HA) at GB39 and ST36 and the effect of Yuk-mee-ji-hwang-tang herbal acupuncture(YM-HA) at GB39 and KI10 on growth in mice. Methods : Mice were divided into 7 group(n=10) ; saline-ST36, saline-GB39 and KI10, GR-HA-ST36 group treated with GR-HA at right ST36, GR-HA-GB39 group treated with GR-HA at right GB39, YM-HA-GB39 group treated with YM-HA at right GB39, YM-HA-KI10 group treated with YM-HA at right KI10. Saline-ST36 group, saline-GB39 group and saline-KI10 group were injected with saline at right ST36, GB39, KI10 respectively. Saline injection and HA were performed 3 times a week for 18 days. The length(total height, body length and tail length), weight and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were measured as well as IGF-1 level in serum. Results : 1. GR-HA at GB39 and GR-HA at ST36 promoted growth in weight, tail length and total heigh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2. GR-HA at GB39 significantly promoted protein efficiency on the 14th day and GR-HA at ST36 on the 3rd day. 3. GR-HA at GB39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IGF-1. GR-HA at ST36 increased IGF-1 slightly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YM-HA at GB39 and YM-HA at KI10 promoted growth in weight, height, tail length and total heigh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relevance. 5. YM-HA at GB39 and YM-HA at KI10 significantly promoted protein efficiency on the 14th day. 6. YM-HA at GB39 and YM-HA at KI10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IGF-1. Serum IGF-1 level of YM-HA-KI10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YM-HA-GB39 group. 7. Serum IGF-1 level of GR-HA-GB39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YM-HA-GB39 group. Conclusions : GR-HA and YM-HA both may promote growth. This study suggests that herbal acupuncture at GB39 is more effective with Gwui-ryong-tang than Yuk-mee ji-hwang-tang to promote growth. It also suggests that Yuk-mee ji-hwang-tang herbal acupuncture is more effective at KI10 than at GB39.

부식산분말 처리에 따른 가축분의 퇴비화 특성 및 시비효과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Blending Humic Acid Powder and Influences on Growth of Lettuce by Its Application)

  • 이태순;조성현;정제용;안지예;이종진;한기필;홍주화;김영선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2호
    • /
    • pp.5-14
    • /
    • 2017
  • 농업에서 부식산은 양이온치환능력이 높아 토양의 완충능력이나 보비력을 개선하는 토양개량제나 기능성비료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퇴비화에서 부식산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축분퇴비 원료에 부식산분말을 처리 후 퇴비화 특성변화와 퇴비의 시비에 따른 상추의 생육효과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부식산분말 0.1% 처리구(0.1% HA), 부식산분말 0.5% 처리구(0.5% HA), 부식산분말 1.0% 처리구(1.0% HA), 부식산분말 3.0% 처리구(3.0% HA),부식산분말 5.0% 처리구(5.0% HA)로 설정하였다. 부식산분말 처리 후 온도, 수분 함량, 유기물 함량, 질소 함량 및 유기물대 질소비는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퇴비원료 배합 후 3% HA 처리구와 5.0% HA 처리구의 pH는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으나 퇴비화동안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부식산분말 처리 퇴비의 부식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1.7~4.4배 더 높았고, 악취지수는 3.0% HA 처리구와 5.0% HA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부식산분말 처리 퇴비 처리구 중 3.0% HA 처리구에서 상추의 건물중은 대조구보다 약 7% 증가하였다.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天然林) 생태계(生態系)의 현존량(現存量) 및 물질(物質) 생산성(生産性)에 관한 연구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in Natural Forests of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 송칠영;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43-452
    • /
    • 1996
  • 충청북도 충주지역에서 평균수령 67, 62년생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표준지를 선정하고 각 표준지에서 각각 10본의 표본목을 선정, 벌채하여 지상부의 현존량과 물질 생산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충주지역의 현존량 및 물질 생산성의 추정에 상대생장식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추정 방정식 모형으로는 $Wt=aD^bH^c$$Wt=a(D^2H)^b$, $Wt=aD^b$ 보다 적합하였고, 두 수종 모두 성분별 단목 현존량의 표본값과 추정치를 T-검정하여 본 결과 유의차는 없었다. 임분의 현존량은 신갈나무 임분의 지상부 총량이 130.6 t/ha였고, 굴참나무 임분이 137.4 t/ha였다. 부위별로는 신갈나무 임분의 경우, 엽 5.1 t/ha(3.9%), 죽은가지 3.5 t/ha(2.7%), 생지부 29.7 t/ha(23.0%), 수피 16.2 t/ha(l2.5%), 그리고 수간목부 74.9 t/ha(58.0%)였다. 굴참나무 임분은 엽 3.8 t/ha(2.9%), 죽은가지 2.9 t/ha(2.2%), 생지부 24.3 t/ha(l8.4), 수피 20.4 t/ha(15.5%), 그리고 수간목부 80.4 t/ha(61.0%)였다. 두 임분의 1년간 생산할 수 있는 지상부 총량은 각각 신갈나무 임분이 10.0 t/ha/yr, 굴참나무 임분이 8.6 t/ha/yr였다. 본 참나무 천연림은 장령림이지만 온대 활엽수림의 순생산량(5~10 t/ha/yr)과 거의 유사한 양을 보였다.

  • PDF

과채류, 과수류 및 벼 재배지역에서 농약사용 실태 (Survey of Pesticide use in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 하헌영;나동수;신욱철;임건재;박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5-400
    • /
    • 2012
  • 농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약 등록 후에 농가에서의 사용되는 농약사용실태 및 작물별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작물별 주산단지별, 재배면적을 감안하여 390농가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농약안전사용 준수사항은 과채류, 과수류, 벼 재배농가 모두가 대체적으로 잘 지키고 있었다. 작물별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은 주성분 기준으로 노지고추 11.6 kg/ha, 시설고추 2.0 kg/ha, 딸기 2.3 kg/ha, 수박 2.2 kg/ha, 오이 4.8 kg/ha, 참외 1.5 kg/ha, 토마토 2.1 kg/ha, 사과 12.5 kg/ha, 배 12.5 kg/ha, 복숭아 7.7 kg/ha, 포도 4.5 kg/ha, 감귤 40 kg/ha, 단감 5.4 kg/ha이었으며, 벼는 3.46 kg/ha이었다. 고추, 딸기, 오이, 참외, 토마토, 사과, 배, 포도, 감귤, 단감, 벼는 4년 전에 비해 농약사용량이 감소하였으나 수박, 복숭아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휴 논토양에서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에 대한 무기태 질소의 단기 시용 효과 (Short-Term Effect of Mineral Nitrogen Application on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in Uncultivated Rice Paddy)

  • 이주삼;조익환;안종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06
    • /
    • 1998
  • 유휴 논 토양을 이용하여 reed canarygrass를 재배하였을 때, 건물 수량에 미치는 무기태 질소의 단기 시용효과를 조사하여 건물 생산효융이 높은 경제적 시비수준파 척정 예취빈도를 추정하려고 하였다. 1. 모든 예취빈도에서 1993년의 건물 수량이 다른 재배년도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즉, 3회 예취구에서 는 시비수준 평균 14.40 ton $ha^{-1}$, 4회 예취구에서는 13.88 ton $ha^{-1}$, 5회 예취구에서는 15.98 ton $ha^{-1}$을 나타내었다. 2. 시비수준별 평균 건물 수량은 3회와 4회 예취구의 120 kg $ha^{-1}\;cut^{-1}$ 수준에서 각각 15.37 ton $ha^{-1}$과 15.80 ton $ha^{-1}$, 5회 예취구에서 90~120 kg $ha^{-1}\;cut^{-1}$ 수준에서 14.02~14.08 ton $ha^{-1}$을 나타내어 다른 시비수준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3. 건물 생산효율은 3회 예취구의 90 kg $ha^{-1}\;yr^{-1}$ 수준에서 29.7 kg, 4회 예취구의 240 kg $ha^{-1}\;yr^{-1}$ 수준에서 19.6 kg, 5회 예취구의 150 kg $ha^{-1}\;yr^{-1}$ 수준에서 20.1 kg으로 가장 높았다. 4. 예취빈도별 예취번초의 평균 건물수량은 3회 예취구에서 2번초가 5.02 ton $ha^{-1}$, 4회 예취구의 2번초와 3번초가 3.94~4.37 ton $ha^{-1}$, 5회 예취구의 2번초와 3번초가 3.81~3.58 ton $ha^{-1}$으로 다른 예취번초의 건물 수량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5. 상대수량은 3회 예취구의 2번초가 40.40%, 4회 예취구의 3번초가 34.9%, 5회 예취구의 2번초가 3 31.5%로 가장 높았다. 6. 재배년도 평균 경제적 시비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228.5~291.9 kg $ha^{-1}\;yr^{-1}$의 범위에서 13.8~14.7 t ton $ha^{-1}$의 한계수량을, 4회 예취구에서는 293.5~335.7 kg $ha^{-1}\;yr^{-1}$의 범위에서 3.8~14.2 ton $ha^{-1}$의 한계수량을, 5회 예취구에서는 237.5-302.5 kg $ha^{-1}\;yr^{-1}$의 범위에서 12.2~12.8 ton $ha^{-1}$의 한계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7. 한계시비 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558.9 kg $ha^{-1}\;yr^{-1}$, 4회 예취구에서 531.4 kg $ha^{-1}\;yr^{-1}$, 5회 예취구에서 546.3 kg $ha^{-1}\;yr^{-1}$ 이었으며, 이 때 얻어지는 최대 건물수량은 각각 18.4 ton, 12.7 ton, 10.6 ton $ha^{-1}$ 이었다. 8. 예취빈도별 예취번초의 경제적 시비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42.6~123.8 kg $ha^{-1}$, 4회 예취구에서 2 27.3~144.1 kg $ha^{-1}$, 5회 예취구에서 9.3~159.4 kg $ha^{-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9. 유휴 논 토양에서 무기태 질소를 단기간 시비하여 reed canarygrass의 건물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예취빈도는 연간 3회로 하고, 시비수준은 300 kg $ha^{-1}$ 미만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된다.

  • PDF

제주조의 파종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s of Seeding Rate on Growth Characters, Yield Potential and Feeding Value in Jeiu Italian Millet)

  • 조남기;고동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1-276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6, 9, 12, 15, 18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89일에서 96일로 파종량이 많을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6kg/ha 파종에서 128cm 였으나 파종량이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148cm로 커졌고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장은 작아져서 18kg/ha 파종에서는 131cm였다.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엽폭은 파종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엽장은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생초 수량은 35.93MT/ha에서 54.83MT/ha로, 건물 수량은 10.49MT/ha에서 17.43MT/ha로, 단백질 수량은 0.94MT/ha에서 1.79MT/ha로, TDN 수량은 5.33MT/ha에서 9.27MT/ha로 증가되었다 가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단백질 수량과 TDN 수량은 감소되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8kg/ha로 증가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0%에서 12.01%로, 조지방 함량은 1.3%에서 1.8%로, 가용무질소물은 45.6%에서 47.8%로, TDN 함량은 50.8%에서 55.0%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5.2%에서 30.0%로, 조회분 함량은 8.8%에서 8.4%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량은 12kg/ha로 추정할 수 있었다.

컨테이너를 이용한 HA 구현 (Implement HA using Container)

  • 김동환;권지섭;한성화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1-343
    • /
    • 2022
  • 정보 서비스는 서비스 운영에 있어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HA(High-Availability)와 관련된 많은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구현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컨테이너를 활용한 정보 서비스에서도 HA 구현이 가능해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컨테이너 플랫폼인 Docker에서는 HA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ocker를 이용하여 HA를 구현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필요한 설정 내용을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설정 사항을 바탕으로 컨테이너를 이용한 HA 서비스를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