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 vulgar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오존이 보리(Hordeum vulgare L.) 엽록체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zone on Photosynithetic Activity in Chloroplast of Barley (Hordeum vulgare L.))

  • 정화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4호
    • /
    • pp.399-407
    • /
    • 1995
  • 보리(Hordeum vulgare L.) 유식물의 녹화시기에 따라 오존이 엽록체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황백화된 보리 유산물을 녹화하는 중에 오존(0.5 ppm과 1.0 ppm)을 4시간 동안 처리하여 엽록소 함량, 광계 I과 II 활성 및 엽록소 형광을 측정하였다. 녹화를 시작하므로 엽록체가 발달되는 초기에 오존이 미치는 영향은 24시간 녹화구에서 엽록소 함량을 많이 감소시켰으나 48시간 녹화한 경우에는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24시간 녹화구에서는 처리한 오존의 농도가 0.5 ppm에서 1.0 ppm으로 증가함에 따라 Fo, Fv, Fm 및 qE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Fv/Fo와 qPsms 감소하지 않았으며, 48시간 녹화구에서는 Fo, Fv, Fm 및 qE가 많이 회복되었다. 엽록체의 발달 증가에 오존이 미치는 영향은 오존의 농도가 0.5 ppm에서 1.0 ppm으로 증가함에 따라 광계 II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광계 I활성은 감소시키지 않았고, Fv와 Fv/Fm 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형광 소멸 분석에서는 qP와 qR이 특히 많이 감소하였다.

  • PDF

울릉도 미역고사리(Polypodium vulgare L.) 자생지의 입지환경특성 (Habita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lypodium vulgare L. in Ulleung-do)

  • 천경식;한준수;김경아;옥길환;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울릉도 미역고사리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미역고사리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410~748m 범위와 경사 $12{\sim}80^{\circ}$의 암석지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분석결과 4개 지역의 1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66분류군이었다. 자생지 상층수목 중 교목층의 중요치는 고로쇠나무(49.52%)가 아교목층은 당마가목(28.99%)이 가장 높았으며, 관목층은 바위수국(51.99%), 섬쥐똥나무(8.82%), 너도밤나무(7.25%)가 높은 값을 보였다. 초본층은 미역고사리가 23.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큰두루미꽃(9.65%), 파리풀(9.23%), 관중(8.40%), 산꼬리사초(6.75%), 섬바디(5.42%) 등이 높은 값을 보여 이 종류들이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1.18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11와 0.84로 확인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토성은 사양토로 나타났으며, 포장용수량은 30.42%, 유기물함량은 17.95%, pH는 4.70으로 측정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 및 토양분석 결과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는 종다양도와 종풍부도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종다양도와 우점도 그리고 미역고사리의 피도와 종풍부도는 부의상관관계를 형성하였다.

늑도에서 출토된 탄화곡 (Carbonized grains excavated at Nook-Do)

  • 허문회;서학수;이재현;안성희
    • 고문화
    • /
    • 57호
    • /
    • pp.25-39
    • /
    • 2001
  • 부산대학교박물관 팀이 서기2000년에 경남 사천시 늑도의 AD3세기 주거지를 제2차로 발굴하였는데 거기서 출토된 탄화곡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밀(소맥 Triticum aestivum) 180톨, 보리(대맥 Horudeum vulgare) 4톨, 쌀(미 Oryza sativa) 6톨이 물체질로 수습되었다. 밀은 훼손된 것이 많고 현재의 재배종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고 둥글다. 보리는 현재의 재배종과 거의 비슷하였다. 쌀은 지금의 재배종보다 소형이었는데 유전적으로 소형이었는지 도정과 정이나 또는 땅속에서 미생물의 침식으로 소형으로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쌀의 외형은 세장한 indica는 아닌 것 같이 보였다. DNA 분석 결과는 밀, 보리, 쌀 모두 공시된 시료(입)간에도 변이가 있고 각각의 재배종과도 차이가 있어서 이들 재배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이 짐작된다. 쌀의 유전적 구성 검토결과는 시료와 primer의 제한으로 japonica인지 indica인지 확정할 수 없었다.

  • PDF

보리 (Hordeum vulgare L.) 유식물의 녹화에 미치는 오존의 영향 (The Effects of ozone on the greening of barley (Hordeum vulgare L.) seedling)

  • 박강은;정화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45-553
    • /
    • 1996
  • The effects of 0.2 ppm ozone on the developing chloroplast of barley (Hordeum vulgare L.) seedling during greening were examined by chlorophyll contents, photosynthetic electron tiansport activity, Fo, Fv and fluorescence quenching coefficient. Chlorophyll contents of seedling treated with ozone were not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during the 96 h greening experiment, but PS II activity of the chloroplasts of seedlings treated with ozone was decreases by- l5%. Fo was slightly decreased but Fv was decreases by 5%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In fluorescence quenching analysis, qP and qE were decreased by 11% and 9%,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idation site of PS II is the site affected mostly and PQ pool is also affected slightly by 0.2 ppm ozone.

  • PDF

Potential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in Cultured Murine Hepa1c1c7 Cells

  • Heo, Yeon-Hoi;Lee, Sang-K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38-44
    • /
    • 2001
  • NAD(P)H:quinone reductase (QR), known as DT-diaphorase, is a kind of detoxifying phase II metabolic enzyme catalyzing hydroquinone formation by two electron reduction pathway from quinone type compounds, and thus facilitating excretion of quinoids from human body. With the usefulness of QR induction activity assay system for the modulation of toxicants,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the methanolic extracts of approximately two hundreds of oriental medicines were primarily evaluated using the induction potential of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in cultured murine Hepa1c1c7 cells. As a result, several extracts including Hordeum vulgare, Momordica cochinchinensis, Strychnos ignatii, Houttuynia cordata, and Polygala japonica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duce QR activity. In addition, the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H. vulgare, one major dietary food source, showed potent induction of QR activity $(CD=6.4{\mu}g/ml)$. Further study for isolation of active principles from these lead extracts is warranted for the discovery of novel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 PDF

Foeniculum vulgare Mill. Protects against Lipopolysaccharide-induced Acute Lung Injury in Mice through ERK-dependent NF-kB Activation

  • Lee, Hui Su;Kang, Purum;Kim, Ka Young;Seol, Geun He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2호
    • /
    • pp.183-189
    • /
    • 2015
  • Foeniculum vulgare Mill. (fennel) is used to flavor food, in cosmetics, as an antioxidant, and to treat microbial, diabetic and common inflammation. No study to date, however, has assess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ennel in experimental models of inflamm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ennel in model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seven groups (n=7~10). In five groups, the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1% Tween 80-saline (vehicle), fennel (125, 250, $500{\mu}l/kg$), or dexamethasone (1 mg/kg), followed 1 h later by intratracheal instillation of LPS (1.5 mg/kg). In two groups, the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vehicle or fennel ($250{\mu}l/kg$), followed 1 h later by intratracheal instillation of sterile saline. Mice were sacrificed 4 h later, a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d lung tissues were obtained. Fennel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reduced LDH activity and immune cell numbers in LPS treated mice. In addition fennel effectively suppressed the LPS-induced increases in the product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with $500{\mu}l/kg$ fennel showing maximal reduction. Fennel also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reduced the activity of the proinflammatory mediator matrix metalloproteinase 9 and the immune modulator nitric oxide (NO). Assessments of the involvement of the MAPK signaling pathway showed that fenne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 Fennel effectively blocked the inflammatory processes induced by LPS, by regulating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transcription factors, and NO.

Hordeum bulbosum을 이용한 보리 반수체의 배배양에서 식물체의 발생률 향상 (Improvement of Plant Generation Rate in in vitro Cultured Haploidy Embryos from H. vulgare Pollinated with H. bulbosum)

  • 정동희;민경수;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197
    • /
    • 1994
  • Hordeum bulbosum을 이용한 보리 반수체육종법의 실용화를 체계화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유배의 적취시기, 유배의 크기에 따른 배배양 반응, 배지 및 환경조건 등을 조사하였다. 1. 유배의 적취시기는 배발육과 식물체 발생률을 고려할 때 수분 후 17일이 적기였다. 2. 식물체 발생에 유리한 유배의 크기는 0.9mm내외였다. 3. 식물체 발생에 효과적인 배지 및 배양조건은 MS배지의 암상태에서 발생시킨 후 명상태로 하는 것이 정상 식물체 발생률(3%)이 높았으나, 작업상의 편리성을 고려한다면 B5배지에서 24시간의 일장처리조건이 좋았다. 4. 반수체는 정상 2배체에 비하여 배 및 식물체의 발생이 현저히 부진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Iranian Medicinal Plants to the Treatment of Liver Injury.

  • Kalantari, H.;Arzi, A.;Haghperast, M.;Chang, Il-M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93-196
    • /
    • 1997
  • Matricaria Chammomillal L., Foemiculum Vulgare mill, and Plantago Psylium L. have been screened for their hepato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liver damge induced by $CCl_4$ intoxication in mice. Hydroalcoholic extractions (2:8) of herbal drugs were concentrated in vacuo and concentrated crude extracts of Matrica Chammomilla L. and Foeniculum Vulgare mill were orally administered at doses of 100 mg/kg, 200 mg/kg, 400 mg/kg, and 800 mg/kg. Plantago Psyllium was given at doses of 50 mg/kg, 100 mg/kg, 200 mg/kg, and 400 mg/kg. Liver protective activities of these herbs were determined after administration of $CCl_4$ Liver size, serum enzyme activities, sleeping time, and histopatology of the liver were examined one hour after administration of $CCl_4$. ALT and AST activities, liver weight and sleeping time decreased in groups that received 400 mg/kg of Matricaria Chammomilla L. or Foeniculum Vulgare. Histological investiga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hepatic cell regeneration and reduction in liver injury. The group that received 100 mg/kg Plantago Psylium showed liver protection but protection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doses.

  • PDF

NaCI이 보리(Hordeum vulgare L.) 잎의 엽록소 형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CI on the Chl Fluorescence of Barley (Hordeum vulgare L.) Leaves)

  • 정화숙;임영진;박강은;박신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2호
    • /
    • pp.1015-1021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in barley(Hordeum vulgare L.) 7 day old seedling treated with 0.2M, 0.4M, 0.6M, 0.8M, and 1.0M NaCI concentration containing Hepes buffer(pH 7.5). Barley was affected by NaCI treatment. The chlorophyll a, b and carotenoid of barle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NaCI concentration. However, chlorophyll a, b and carotenoid of barley were not greatly influenced by o.8M and 1.0M NaCl. Fv, Fv/Fm and qP were gradually decreased by higher concentration of NaCI. qP, qNP, qR and qE were gradually decreased by 6hr. During barley chloroplast was development NaCI affected chlorophyll synthesis than photosynthetic activity. Whereas barley seedling leaves were more influenced photosynthetic activity than chlorophyll contents by NaCI.

야생보리(Hordeum bulbosum)의 주요 특성 및 이를 이용한 보리 반수체육성 (Major Characteristics of Hordeum bulbosum and Haploid Production of Cultivated Barley by Pollinating with H. bulbosum L.)

  • 정동희;민경수;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31-536
    • /
    • 1993
  • Hordeum bulbosum에 의한 보리 반수체 이용육종은 단기간에 목적 형질을 고정하는 일반적인 이점 외에 세포학적으로 안정된 많은 반수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기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의 실용화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을 체계화하기 위해 일년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우선, H. bulbosum의 여러 형질의 특성 및 재배종과의 교배시 유배형성율등을 조사하였다. H. bulbosum은 H. vulgare에 비하여 간이 가늘고 간장이 길며 세엽이나, 수장이 길고 수당영화수가 2배이상 많으며 수장개화일수가 3배이상 길었으며, H bulbosumrks에는 차이가 적었다. H. bulbosum중 4배체는 2배체에 비하여 유배형성율은 8%, 식물체 발생율은 2배이상 높으나 염색체의 일부가 완전히 소실되지 않으므로 보리의 반수체를 이용한 육종에는 활용할 수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