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psum products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3초

조경분야 탄소성적표지제도 적용실태 및 대응전략 (Status and Response Strategies of Carbon Label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 김정호;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09-720
    • /
    • 2015
  • After analyzing the actual acquisition status of carbon labeling by year and by product for the past four years, as well as its certification in the construction-related sectors of greenhouse gas emiss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problems and coping strategies upon issuing the carbon labeling certification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of this analysis, the carbon labelings were acquired by 134 enterprises, 267 workplaces, and 735 products, while the percentage of acquisition was highest in the regular non-durable goods(49%), followed by energy-consuming durable goods(26%), regular production goods (19%), regular durable goods(3%), and service(3%). Furthermore, the acquisition certifications in construction sectors, were highest in the various pipes/panel(8 cases), followed by concrete(6 cases), gypsum board(4 cas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materials(2 cases). The landscape architecture only had two cases in the acquisition certif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2012, which accounted for 0.27% of the entire certification products, due to the uncertainty in the process,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the lack of comprehension. However, the study conducted on the coping strategies for carbon labeling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revealed the following: (1) regular reporting system management through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head office and factories, (2) the building of objective DB through the adoption of data management programs such as SAP, (3) continuous promotion and vitalization of the incentive system, (4) the adoption of mandatory or preferential application system in landscaping projects, management, and bidding, (5) enhancement of elasticity in deliberation of certification by recruiting experts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sectors, and (6) provision of incentives for the cooperative firms acquiring the certification and support for their participation.

이수석고가 고로슬래그 미분말 베이스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Sulfate Dihydrate (Gypsum)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Slag-based Mortar)

  • 백병훈;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2-258
    • /
    • 2014
  • 최근에 저탄소녹색성장 및 OPC 절감의 요구에 따라 BS와 같은 산업 부산물을 많이 사용하고 재건축의 증가 및 건설폐기물 발생량이 많아지면서 RA 사용 확대하게 되며, RA 및 무 시멘트 결합재 관심 증대 되고 있다. 무 시멘트 결합재와 RA의 활용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하여, RA와 철강 산업 부산물인 BS을 혼합함으로써, 100% 순환자원만을 활용하여 무 시멘트 상태에서 강도발현성을 확인한 바 있다.이에 본 연구는 OPC를 사용하지 않고, BS과 RA 및 CS를 사용하여 모르타르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강알칼리를 투입하여 제조하는 지오폴리머 모르타르(Geopolymermortar)와 또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결과적으로, RFA의 유동성 저하 및 초기강도 저하문제만 해결 될 수 있다면, BS에 CS를 15% 치환하고 RFA골재를 사용하는 무 시멘트 모르타르가 OPC 100%를 사용한 종래의 시멘트 모르타르 만큼의 품질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건축 재료별 연소가스 유해성 평가 (The Combustion Gas Hazard Assessment of Main Building Materials)

  • 김종북;이시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39-654
    • /
    • 2016
  • 건축 재료별 연소가스에 따른 인체 유해성 평가에 관한 본 연구는 SEM, FTIR와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목재류인 MDF와 나왕방부목 2종과 화학물질인 난연 스티로폼, 스티로폼, 우레탄폼 및 석고보드 4종의 플라스틱류 각각의 재료별 연소가스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MDF는 연소된 부분의 나무구조와 접착제가 혼합되어 균일하게 연소되었고 나왕방부목은 난연 약제가 깊숙이 침투하여 높은 열에도 목재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난연 스티로폼은 불이 붙지 않고 녹아내렸는데 무기계 난연제 때문으로 사료되고 석고보드는 형태는 유지했으나 열에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MDF에서 암모니아($NH_3$)치사농도(750 ppm)대비 795 ppm, 나왕방부목은 이산화탄소($CO_2$)가 256,965 ppm으로 치사농도(100,000 ppm)의 2.5배 초과하였고, 우레탄에서 염화수소(HCl)의 치사농도(500 ppm)를 초과하는 697 ppm, 또한 우레탄에서 이산화질소($NO_2$) 치사농도(250 ppm)를 크게 초과하는 434 ppm과 난연 스티로폼 398 ppm이 방출되었다. 대부분의 재료에서 인체에 매우 유해한 가스가 방출됨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결과는 향후 건축 재료별 인체 유해성을 평가하는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실내 건축자재 및 생활 가공제품 중 천연방사성핵종(238U, 232Th)의 농도 평가를 위한 분석법 연구 (Study on the determination methods of the natural radionuclides (238U, 232Th) in building materials and processed living products)

  • 이현우;임종명;이훈;박지영;장미;이진홍
    • 분석과학
    • /
    • 제31권4호
    • /
    • pp.149-160
    • /
    • 2018
  • 국내에서는 많은 수의 친환경 및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생활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 제조 시 원료물질에 존재하는 모나자이트, 토르말린 등 방사능 농도가 높은 물질이 가공제품 내에 함께 유입 될 수 있어 원료물질과 함께 국민 생활과 밀접한 가공제품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정확한 방사능 농도 분석 자료 및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방법의 이용 및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방사성 물질의 신속 스크리닝을 위한 ED-XRF 분석법과 정밀분석의 목적으로 ICP-MS를 이용하여 실내 건축자재 및 생활제품 내의 천연방사성핵종($^{238}U$, $^{232}Th$)의 농도를 정량분석하고 비교 및 평가하였다. 타일, 시멘트, 페인트, 벽지, 석고보드 등 총 47 종의 실내 건축자재와 건강제품, 섬유제품, 광물질 등 총 47 종의 생활 가공제품의 실제시료를 분석한 결과, ED-XRF 및 ICP-MS의 결과값은 전체적으로 1:1의 선형성을 보였으며 ED-XRF를 이용한 신속 스크리닝의 적용성과 ICP-MS를 이용한 정량분석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가공제품 중의 $^{238}U$, $^{232}Th$ 방사능 농도는 생활제품에 비해서 건축자재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생활제품은 47 개 중 6 개의 제품이 원료물질의 관리기준치($1.0Bq{\cdot}g^{-1}$)를 초과(최대 $8.2Bq{\cdot}g^{-1}$)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고강도콘크리트용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Admixtures for High Strength Concrete)

  • 이승한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5-164
    • /
    • 1995
  • 본 연구는 증기양생을 실시하는공장제품을 대상으로 석고계 고강도콘크리트용 혼화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고강도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표 슬럼프는 원심력 성형제품을 대상으로 슬럼프 $6{\pm}1cm$가 되도록 고성능감수제로 조절하였으며, 아울러 양생방법에 다른 고강도콘크리트용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특성을 검토하고자 증기 및 수중양생을 실시 비교하였다. 실험결로부터 고강도 콘크리트용 혼화재는 증기양생이 효과적이며 압축강도 발현은 단위결합재량 $530{\sim}600kg/m^3$의 조건에서 10%치환으로 무치환에 비하여 1.3배 증가된 $650kgf/cm^2$ 이상, 15-30% 치환시 1.4-1.5배 증가된 $700kgf/cm^2$이상을 얻었다. 따라서 고강도콘크리트용 혼화재는 증기양생시의 고강도콘크리트 제조에 효과적으로, 시멘트2차제품 제조에 오오토클레브 양생을 하지 않고 증기양생만으로 고강도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는 유효한 혼화재임을 나타냈다.

치과용 캐드캠 스캔전용 석고와 Type IV 석고로 제작된 작업모형의 표면조도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Surface Roughness of Working Models Fabricated by Dental CAD/CAM Scannable Stone and Type IV Gypsum Products)

  • 김사학;김재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5-460
    • /
    • 2014
  • 본 연구는 시중에 널리 사용되는 치과용 모형재 중 Type IV 석고와 스캔전용 석고를 이용하여 작업모형을 제작한 후 표면조도를 측정하여 각 실험군별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3D observation and analysis를 통하여 치과용 석고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제한된 조건 하에서 수행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실험 결과, 스캔전용 석고가 Type IV 석고에 비해 우수한 표면조도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또한 디지털 전자 현미경의 multi-focus를 이용하여 20배율로 분석한 결과도 스캔전용 석고가 더욱 고른 표면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기에는 일정 정도의 한계를 내포한다. 차후에는 보다 심층적인 비교분석과 치과 CAD/CAM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에 연관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V형 경석고와 경화처리된 IV형 경석고 그리고 폴리우레탄 수지 치형재의 표면경도와 미세구조 특성의 비교 (A comparison of surface hardness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a type IV stone with and without die hardening treatment, and a polyurethane resin die material)

  • 이완선;김지환;김태석;김남식;유진호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7-23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surface hardness (Vickers)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a type IV stone with and without die hardening treatment, a polyurethane die material. Methods: Materials used were a type IV stone(MG Crystal Rock), two die hardeners (Hardening bath, Epox-it), and a polyurethane resin material(Polyluck). Six specimens per group were prepar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directions. The prepared specimens were tested by means of hardness test, one-way ANOVA analys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SEM) observations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ic(EDS) analysis. Results: In the hardness test and its statistical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face hardness between a type IV stone and type IV stone with die hardener coating, type IV stone mixed with an epoxy like material instead of water. In contrast, polyurethane resin material exhibited significantly greater surface hardness than other specimen groups (p<0.05). Conclusion: B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hardness test, SEM observations and EDS analysis, although the die hardeners on type IV stone did not show remarkable improvement in surface hardness, the die hardener coating on the surface of type IV stone material did show decrease of microporous and improvement of surface defects.

가압-진공 하이브리드 주입성형에 의한 알루미나의 균질 성형 (Homogeneous Shape Forming of Alumina by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 조경식;송인범;김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92-600
    • /
    • 2012
  • Conventional methods for preparing ceramic bodies, such as cold isostatic pressing, gypsum-mold slip casting, and filter pressing are not completely suitable for fabricating large and thick ceramic plates owing to disadvantages of these processes, such as the high cost of the equipment, the formation of density gradients, and differential shrinkage during drying. These problems can be avoided by employing a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approach that considers not only by the compression of the aqueous slip in the casting room (pressure slip casting) but also the vacuum sucking of the dispersion medium (water) around the mold (vacuum slip casting). We prepared the alumina formed bodies by means of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with stepwise pressure loading up to 0.5 MPa using a slip consisting of 40 vol% solid, 0.6 wt% APC, 1 wt% PEG, and 1 wt% PVA. After drying the green body at $30^{\circ}C$ and 80% RH, the green density of the alumina bodies was about 56% RD. The sintered density of an alumina plate created by means of sintering at $1650^{\circ}C$ for 4 h exceeded 99.8%.This method enabled us to fabricate a $110{\times}110{\times}20$ mm alumina plate without cracks and with a homogeneous density, thus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method to the fabrication of other ceramic products.

알칼리 활성 슬래그의 열역학적 수화모델링에 대한 황산염의 영향 (Influence of Sulfate on Thermodynamic Modeling of Hydration of Alkali Activated Slag)

  • 이효경;박솔뫼;김형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1호
    • /
    • pp.32-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석고의 형태로 황산염이 혼입된 알칼리 활성 슬래그의 수화반응에 대해, 깁스 최소화 에너지 개념을 이용한 반응계산 결과가 계산 조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확인하였다. 계산을 위한 변수로는 황화물의 고려 여부, AFt/AFm 상의 생성가능성 여부, 대기 중 산소의 반응기여 여부 등을 검토하였다. 계산결과, 실제 위의 다양한 조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공극량, 화학수축과 같이 이후 배합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만한 값 들은 크게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 변수들에 의한 변화폭은 물결합재비에 의한 변화폭에 비해 월등히 작은 값이었다. 생성되는 물질들의 종류 및 양은 일부 초기조건 설정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나, 가장 주요한 수화물인 C-(N-)A-S-H의 생성량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쉬를 활용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개발 (Development of Autoclave Aerated Concrete Using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Ash)

  • 이창준;송정현;정철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8-6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순환유동층 보일러 애쉬의 재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제조시 생석회 및 황산칼슘 성분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생석회 및 석고의 대체재로 활용하여, 생산원가 절감, 자원재활용, 환경부하 저감 및 고부가가치화 등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배합설계를 도출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물성을 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공장에서 시제품을 생산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제조에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쉬의 활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순환유동층 보일러애쉬를 슬러리로 선처리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석고를 CFBCA로 대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제품의 생산이 가능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