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gsangnamdo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9초

경남지역 수달(Lutra lutra)의 mitochondrial DNA D-loop지역과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 (A Phylogenetic Analysis of Otters (Lutra lutra) Inhabiting in the Gyeongnam Area Using D-Loop Sequence of mtDNA and Microsatellite Markers)

  • 박문성;임현태;오기철;문영록;김종갑;전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5-392
    • /
    • 2011
  • 국내에 서식하는 수달의 경우 멸종 위기 I 급 종으로 지정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보호종이다. 수달의 유전자원 보호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경남지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를 mtDNA D-loop 지역의 염기서열분석과 MS marker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mtDNA D-loop 지역의 676 bp 부분만 보았을 때 5개의 SNP가 확인되었으며, 6개의 haplotype이 추정되었다. 진주 인근 지역과 거제도 인근 지역에서 수집한 시료는 지역 내 유전적 거리가 지역 간의 유전적 거리보다는 가까운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진주와 거제도 지역 간의 유전적 거리는 확연히 구분이 되었다. MrBays의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phylogeny 분석결과 뚜렷한 2개 그룹(진주와 거제/창녕 그룹)으로 분류 되었다. Parsimonious median-joining network [5] 분석의 결과 또한 2개의 뚜렷한 그룹으로 분류되어 phylogeny 분석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MS marker를 이용하여 추정한 유전적 거리지수를 활용하여 추정한 consensus tree의 결과 또한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분류 되며, 첫 번째 그룹에는 거제도지역 시료, 진주인근지역 시료 일부 그리고 창녕 우포늪에서 채취한 시료가 하나의 그룹으로 나뉘어 졌으며, 두 번째 그룹에는 진주인근 지역에서 채취한 시료만이 포함되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mtDN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과 일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모계를 추정하는 mtDNA와 상염색체 상의 MS marker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나, 경상남도에 서식하는 수달을 크게 진주와 거제지역의 수달로 구분하는 것에는 유사한 결과를 보여 서식지 별 유전적 고정현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좀 더 정확한 검증을 위해서는 수달의 full mtDNA 분석 및 국내에서 서식하는 수달에 적합한 MS marker발굴을 통한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전국 단위의 수달 시료를 확보하여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을 실시한다면 한국 내 수달의 보전 및 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경상남도 창녕에서 출토된 5-6세기 토기의 암석광물학적 특성 연구 및 소성온도 추정 (Petr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Firing Temperature of Pottery in the 5-6th Century from Changnyeong, Gyeongsangnamdo)

  • 우현동;김옥순;장윤득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3-7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고분군 일대에서 발견된 5세기~6세기 초반 무렵의 삼국시대 토기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광물학적 특징과 소성온도 및 환경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물학적 동정과 미세조직관찰, 화학성분 분석 등의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암석광물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편광현미경 하에서 토기 시료들을 관찰한 결과 석영, 장석류가 주구성 광물이었으며, 그 외에도 규장질 화산암(felsic volcanics), 비짐(temper), 저급점토에 주로 함유되는 불투명광물 등이 관찰되었다. XRD와 FTIR을 통해 현미경으로 볼 수 없었던 멀라이트, 적철석, 스피넬 등이 관찰되었다. 조사된 토기시편에서 보이는 흐름선과 색이 다른 기질이 혼재는 두 가지 이상의 점토를 사용하였거나 반죽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보인다. 소성온도가 $1,200-1,300^{\circ}C$로 제작된 토기에서 관찰되는 일반적인 석기의 특징은 보이지 않으나 다소의 기공이 존재하고 석영을 비롯한 특정 광물들의 결정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소성온도는 $1,000^{\circ}C$ 정도에서 소성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고온광물인 멀라이트가 토기의 내부보다는 외곽부나 균열 부근에서 주로 관찰되며 토기 내외부의 산화정도가 다른 것은 균질한 소성환경이 조성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규장질 화산암편이 관찰되고 일부 시료에서 크리스토발라이트가 관찰되는데, 크리스토발라이트의 형성온도가 일반적으로 1,470^{\circ}C$ 이상임을 감안하면 소성 시 생성된 것이 아니라 원래의 태토 내에 포함되어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등학생의 구강건강 지식.태도 및 구강보건교육 여부가 구강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Knowledge of and Attitude and Dental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 최규일;주종욱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42
    • /
    • 2012
  • Purpose: This research targeted the high school students to analysis the behavior leading to oral health following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oral health. Going steps further,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the education on the oral cavity's health on the behavior leading to oral health to provide the need to conduct education on the oral cavity's health. Methods: High school students in the 1st to the 3rd grades in two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were targeted to conduct survey on 444 students.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obtain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Moreover, standard deviation, t-verification,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averag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oral cavity's health was higher when the education on the oral cavity's health was received compared to when education on the oral cavity's health was not received. Second,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oral cavity's health were high when there was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In case education on the oral cavity's health was received, average of the knowledge of oral cavity's health was high, which manife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verage of the knowledge of oral cavity's health was high as well in case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need for the education on oral cavity exists. Third, the probability of having had their teeth scaled was higher when the total score for the knowledge of oral cavity's health was higher. The probability of having had their teeth scaled was higher when the score on the attitude for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was higher. Concul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xis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 on the oral cavity's health, and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oral cavity's health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ehavior leading to oral cavity's health.

  • PDF

경남 합천군의 관속식물 분포와 자원특성에 관한 연구 - 오도산, 황매산, 대암산, 무월봉을 중심으로 -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Plant Resources Characteristics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Province - Mt. Odo, Mt. Hwangmae, Mt. Daeam, and Muweol Peak -)

  • 한종원;김현준;강신호;양선규;박정미;장창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6-425
    • /
    • 2010
  •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합천군일대의 자원식물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82과 292속 427종 4아종 49변종 9품종으로 총 48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식용자원식물이 187분류군, 섬유용 자원식물이 9분류군, 약용 자원식물이 137분류군, 관상용 자원식물이 52분류군, 초지 자원식물이 126분류군, 공업원료자원이 2분류군, 염료용 자원식물이 112분류군, 목재용 자원식물이 16분류군,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134분류군로 구분되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 특산 관속식물이 총 18분류군,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이 33분류군, 희귀식물은 2분류군으로 각각 조사되었고, 귀화식물은 44분류군으로서 전체분류군의 약 8.9%를 차지하였다. 한편 조사지역의 식생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나, 레저시설이 형성되거나, 중계소, 사찰 등으로 인한 임도와, 저지대의 많은 농경지로 인해, 귀화식물의 분포가 빠르게 확산될 우려가 크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당동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Zooplankton Community at Dangdong Bay in Gyeongsangnamdo, Korea)

  • 한형섬;박용우;김종춘;마채우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240-247
    • /
    • 2015
  • 본 연구는 통영시 당동만의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분석하여 군집 형성 과정과 연안 부유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해 2008년 동계시기부터 2011년 춘계시기까지 계절별로 환경요인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분석하고, 우점종 출현양상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CCA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동물플랑크톤은 80종, $1,599inds.m^{-3}$가 출현하였고,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는 우점종의 출현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절별 우점종은 겨울철과 봄철에 Acartia steueri, 여름철에 Penilia avirostris 그리고 가을철에 Evadne nordimanni가 우점하여 가을철을 제외한 계절에서 요각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점종 출현 양상을 통해 조사지역 내 우점종 간 종 간 경쟁이 확인되었다. 주요 우점종과 환경요인 간의 정준대응분석 (CCA)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계절에서 수온이 우점종 출현양상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OD, DO 그리고 T-N이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아동들의 환경인식 조사 (A Study on Environmental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춘배;백남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31-638
    • /
    • 2011
  • The sense of crisis on seriousness of earth environment is gradually getting greater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education followed by this trend is being highlighted. As an environment friendly New Environmental Paradigm opposed to the human Dominant Social Paradigm on the existing environment is on the rise, the environment education considers not only the perceptive field, but the definitive field and behavioral pattern to follow as important values. Accordingly, the basic awareness of students on environment was found out in order to perform a proper environment education and tried to find out the behavior pattern that the students have on environment on this basis. For th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the one that has revised the Revised NEP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Geum, Ji Hun Kim, Jin Mo have validated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while the test paper was prepared by dividing into recycling behavior, energy preservation behavior and source of information.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600 students in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iding in Kimhae, Gyeongsangnamdo while the mean,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5.0 statistics program for a total of 462 copies including 235 copies from male students and 227 copies from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ryone had high pro-NEP tendencies on the environmental problem with 4.14. On the other hand, the anti-NEP did not have high awareness standard with 2.98. Second, the awareness level on resource recycling was shown as being quite high with 4.05. Between NEP and resource recycling, a positive correlation of r=.155 was shown so that the awareness level on resource recycling was getting quite high as the awareness on environment problem was getting higher. Third, the awareness level on energy saving activity was shown as being very high with 3.0. Between NEP and resource recycling, a positive correlation of r=.210 so that the awareness level on energy saving was getting quite high as the awareness on environment problem was getting higher. Fourth, for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problems of region, our country and global village, the television and internet were shown as main sources of information while the ratio of positive answers on teachers and region as sources of information was shown as quite low.

황해 및 동중국해 북부의 중광물 특성과 기원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of Heavy Minerals in the Yellow Sea and Northern East China Sea)

  • 구효진;이부영;조현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505-515
    • /
    • 2020
  • 황해와 동중국해 북부에는 해퇴에 의한 사질 퇴적체가 분포한다. 이러한 사질 퇴적체들은 지구물리 탐사와 코어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광물학적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황해와 동중국해 북부지역의 중광물 특성을 파악하고, 광물화학적 분석을 통해 조립질 퇴적물의 기원지와 퇴적환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8종의 중광물(녹염석, 각섬석, 석류석, 저어콘, 스핀, 금홍석, 인회석, 모나자이트)이 확인되었으며, 중광물의 분포와 퇴적물의 특성을 기반으로 6개의 지역(area A-F)으로 구분되었다. 연구지역의 각섬석은 칼슘 각섬석군의 에데나이트와 보통각섬석으로 분류되었으며, 석류석은 주로 파이랄스파이트군의 알만딘으로 확인되었다. 중광물 조성과 광물화학 결과는 구분된 6개의 지역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원지와 퇴적환경을 결정하는데 이용되었다. 황해 동부의 area A와 B는 한반도 기원의 퇴적물로 판단되며, 두 지역은 조류와 연안류에 의해 서로 다른 중광물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모나자이트는 area B에서만 발견되며, 한반도 서남부 기원지의 지시자로 이용될 수 있다. 황해 서부의 area D와 E는 황하 기원 퇴적물의 특성을 보이며, area E는 양쯔강 퇴적물로 구성된다. 동중국해 북부의 area C는 양쯔강 기원의 중광물 특성을 보이며, 해수면 상승과 함께 고하구의 해퇴에 의해 형성되었다. 또한, 풍부한 인회석은 area C의 퇴적 시기가 최후빙기극대기와 가까움을 나타낸다.

Possibl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semination Buffer for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of Female Cow Offspring

  • Bang, Jae-Il;Ha, A-Na;Lee, Kyeong-Lim;Jin, Jong-In;Jung, Kyung-Il;Lee, Jin-Gean;Ryu, Yeong-Sil;Min, Chan-Sik;Deb, Gautam Kumar;Kong, Il-Keu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7-282
    • /
    • 2011
  • The present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female offspring production ratios using artificial insemination buffer (AIB) before artificial insemination (AI). In this experiment, we optimized AIB composition, made an AIB gun and analyze factors affecting AI non-return rate after AIB treatment. The AIB was made with the base of Tris-buffer supplemented with L-arginine and several other chemicals that might reduce the motility of male sperm compared to the female counterpart, therefor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fertilization by female sperm. AIB must be deposited into $2^{nd}$ to $4^{th}$ cervix by AIB gun. After 15 min of AIB deposition, frozen semen was deposited into the same place. A total of 348 cattle were inseminated with AIB inseminatio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IB and traditional AI non-return rates (56.8% vs. 55.7%). The AI non-return rate in AIB group, however,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7 Hanwoo farms. The parturition numbers ($1^{st}$ to $7^{th}$) of cows did not affect AIB AI rate. The proportion of AIB AI success ra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anwoo cows than in dairy cows (61.0% vs. 48.7%), but the average AI success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AIB and conventional AI (56.8% vs. 55.7%). The female offspring production rate in $2^{nd}$ to $4^{th}$ cervix deposition pla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uterus body (77.7% vs. 59.6%, p<0.05). The injection volume of AIB in 5 and 10 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2 ml (77.7%, 78.7% vs. 51.8%, p<0.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IB injection volume between 5 and 10 ml. The best exposure time of AIB in the cervix was 10 to 15 min rather than 5 min (79.2%, 77.2% vs. 52.6%, p<0.05). AIB therefore needs to have an exposure time of at least over 10 min for a higher production rate of female offspring. In conclusion, AIB could be used in AI industry to increase the female offspring ratio and AIB AI can increase the AI success rate.

감염목 벌채 톱밥에 포함된 소나무재선충의 뿌리 감염 불가능성 (Improbability of Root Infection by the Pine Wood Nematode in Sawdust Discharged from Chain Saw Lumbering of Infected Trees)

  • 이승규;박주용;이총규;황진현;문일성;전향미;허혜순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99-305
    • /
    • 2010
  • 이 연구는 기계톱으로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를 벌채할 때 배출되는 벌채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뿌리를 통하여 다른 나무로 전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멸균수와 세 가지 토양습도(15%, 22.5%, 30%, v/v)로 조절된 포트 토양에서의 소나무재선충 생존가능기간, 뿌리의 상처 유무를 정밀하게 조절한 곰솔 묘목에 대한 접종실험, 그리고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에 최적인 토양 습도 및 온도 조건에서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톱밥을 이용한 야외실연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토양 내에서의 소나무재선충의 생존가능기간은 약 3일 정도이었으며, 충분한 토양습도 조건에서도 뿌리에 상처가 없는 경우에는 병이 발생하지 않았고,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벌채톱밥을 이용한 실연시험에서도 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방제현장에서 기계톱에 의한 감염목 벌채 시 배출되는 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다른 나무로의 이동하여 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삼나무 조림지의 임분밀도에 따른 상대생장식과 현존량 확장계수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by Stand Density in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s)

  • 권정화;서희영;이광수;유병오;박용배;정재엽;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175-181
    • /
    • 2014
  • 경상남도 남해군의 유사한 입지환경에서 생육한 삼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47년생의 고밀도임분($667tree{\cdot}ha^{-1}$)과 49년생의 저밀도임분($267tree{\cdot}ha^{-1}$)으로 구분한 후 임분밀도에 따른 상대생장식과 현존량 확장계수를 비교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각 부위별 건중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상대생장식은 고밀도임분의 가지, 저밀도임분의 잎과 종실을 제외하고 상대생장식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0.05), 결정계수($R^2$)의 값은 0.80-0.96 범위였다. 또한 각 임분밀도에 대한 상대생장식(stand density-specific allometric equations)의 회귀계수(slope)에 유의적인 차가 없어(P>0.05), 일괄 상대생장식(generalized allometric equations)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존량 확장계수는 고밀도임분 1.33, 저밀도임분 1.50으로 임분밀도 간 유의적인 차가 있었다(P<0.05). 성숙한 삼나무 조림지의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의 경우 임분밀도의 영향이 크지 않으나 현존량 확장계수의 경우 임분밀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