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angneung Arboretum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광릉 숲 나비류의 생활주기 변화분석 및 문제점 (Analysis on Changes, and Problems in Phonology of Butterflies in Gwangneung Forest)

  • 권태성;변봉규;강승호;김성수;이봉우;김영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09-216
    • /
    • 2008
  • 지구온난화로 인한 나비 생활주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광릉 숲에서 1958년과 2004년에 주별로 조사한 나비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58년에 비해 2004년에 나비류의 최초 출현시기와 평균 출현시기가 빨라졌는지, 출현기간이 길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최초발생시기와 발생기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평균 출현시기에서는 느려진 종들이 오히려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예상되는 나비류 생활주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기온 증가에도 불구하고, 예견되는 생활주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원인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국내의 나비를 지구온난화 지표로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 현재 나비상 연구에 있어서 문제점과 해결책을 검토하였다.

End-Member Mixing Analysis를 이용한 산림 소유역의 임상별 유출분리 비교 (Comparing of Hydrograph Separation in deciduous and coniferous catchments using the End-Member Mixing Analysis)

  • 김수진;최형태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7-85
    • /
    • 2016
  •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runoff discharge processes between Gwangneung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catchments, we collected hydrological data (e.g., precipitation, soil moisture, runoff discharge) and conducted hydrochemical analyses in the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catchments in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in the northwest part of South Korea. Based on the end-member mixing analysis of the three storm events during the summer monsoon in 2005, the hillslope runoff in the deciduous forest catchment was higher 20% than the coniferousforest catchment during the firststorm event. Howerver, hillslope runoff increased from the second storm event in the coniferous catchment. We conclude that low soil water contents and topographical gradient characteristics highly influence runoff in the coniferous forest catchment during the first storm events. In general, coniferous forests are shown high interception loss and low soil moisture compared to the deciduous forests. It may also be more likely to be a reduction in soil porosity development when artificial coniferous forests reduced soil biodiversity. The forest soil porosity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determine the water recharge of the forest.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water resources, it should be managed coniferous forests for improving soil biodiversity and porosity.

Successional Changes in Seed Banks in Abandoned Rice Fields in Gwangneung, Central Korea

  • Lee, Seon-Mi;Cho, Yong-Chan;Shin, Hyun-Chul;Oh, Woo-Seok;Seol, Eun-Sil;Park, Sung-Ae;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4호
    • /
    • pp.269-276
    • /
    • 200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seed banks for restoration, seed banks in abandoned rice fields in the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central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eedling emergence method. The study sites represented three stages: an initial stage dominated by forbs such as Persicaria thunbergii and Juncus effuses var. decipiens, a middle stage dominated by Salix, and a late stage dominated by Quercus aliena and Prunus padus (in nearby riparian forest chosen as a reference stand). DCA ordination arranged the stand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since abandonment. CCA ordination identified the dominant environmental variables correlated most closely with Axes 1 and 2 as $Mg^{2+}$ (intraset correlation was 0.827) and $K^+$ (intraset correlation was -0.677), respectively.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decreased from the initial stage (H'=2.61) to the middle (H'=1.79) and late (H'=0.75) stages. A total of 49 species $(/m^2)$ and 18,620 seedlings $(/m^2)$ emerged out of the seed bank samples. The DCA ordination and similarity analysis detected a large discrepancy between the composition of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seed bank. We conclude that the contribution of seed bank to restoration is low. However, seed bank may help the recovery of forbs after disturbance. Some of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tolerance model of succession whereas others follow the trajectory of the facilitation model. More research on succession will be required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광릉숲 양치식물의 분포와 생활형 (The Distribution and Life-form of Ferns in Gwangneung Forest)

  • 이강협;여경택;정승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2-597
    • /
    • 2006
  • 광릉숲 양치식물을 중심으로 한 집중적인 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을 정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광릉숲에는 9과 17속 43종 3변종 총 46종류의 양치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별 출현식물을 보면, 쇠뜨기, 고사리삼 등 26종류가 광릉숲 전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꿩고비, 지리개관중 등 5종류가 소리봉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림동물원 계곡부를 중심으로 낚시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 등이 분포하였고, 왕지네고사리, 참새발고사리 등은 외국수목원 일대에 국한된 분포역을 형성하고 있었다.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mancy form)은 H(Hemicryptophyte)의 비율이 56.5%로 가장 높았으며, HH(Hydatophyte)가 2.2%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번식형(Propagation form)의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대부분이 근경이 짧게 분지하고 가장 좁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_3$으로 39.1%이며, 근경이 옆으로 벋고 약간 넓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_2$가 2.2%이었고,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은 모두 포자가 바람이나 물에 의해 운반되는 $D_1$이었다. 생육형(Growth form)은 t(Tussock)와 e(Erect)가 각각 67.4%와 32.6%로 나타나 광릉숲 양치식물의 대표적인 생활형은 $H-R_{3}-D_{1}-t$로 정리되었다. 광릉숲의 양치식물계수(Ptph.-Q.)는 1.28로 한반도 중부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이 학술림으로서 안정적으로 보전 관리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광릉숲 내 봉선사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 및 생물학적 하천평가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Bongseonsa Stream in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 정상우;조용찬;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08-519
    • /
    • 2017
  •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은 오랜 기간 보전 관리된 희귀 생태계로서 생물다양성 변화 모니터링 및 보전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 건강성 평가 지표로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과 군집 특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부터 9월까지 광릉숲을 관통하는 봉선사천 및 인근 계류에 대한 하천평가를 위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8강 17목 56과 114종이 출현하였으며, 유수 지역에서 서식하는 하루살이목과 날도래목이 각각 30종(32.3%), 16종(17.2%)으로 다양성이 높았고, 오염된 하천에서 일반적으로 정착하는 실지렁이류(Tubificidae sp.),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명주각다귀 KUa (Antocha KUa),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섭식기능군에서는 모아먹는무리와 잡아먹는무리가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계류지역에서는 썰어먹는무리와 긁어먹는무리가 높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에서는 붙는무리와 굴파는무리가 우세하게 출현하였으며, 여울지역의 미소서식처 다양성을 대변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평균 $0.48{\pm}0.10$으로 분석되었으며, 광릉숲 계류의 GS 8에서 0.3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봉선사천 BS 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와 풍부도지수는 우점도지수와 반비례하여 나타났으며, 우점도가 낮은 GS 8의 다양도와 풍부도지수는 각각 2.53, 4.22로 나타났다. 하천의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봉선사천은 저항력과 회복력이 높은 I특성군, 광릉숲 수계는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III특성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광릉숲의 수계가 교란에 민감한 종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물학적 수질평가에서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 $50.88{\pm}17.69$, 한국오수생물지수 $1.11{\pm}0.57$, 저서동물지수 $78.55{\pm}11.05$로 평가되었으며, 광릉숲 계류 GS 8에서 ESB (63점), KSI (0.55), BMI (89.9)로 가장 좋은 수환경과 수질 I등급인 최우선보호수역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에 봉선사천 BS 1에서는 ESB (25점), KSI (2.13), BMI (62.7)로 수질등급이 가장 낮은 III등급인 최우선개선수역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광릉숲 내의 수계보다는 주변에 위치한 봉선사천의 수계에서 수서곤충의 다양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거 연도별 종구성의 군집구조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richness of soil seed bank in three abandoned rice paddies along a seral gradient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South Korea

  • Cho, Yong-Chan;Lee, Seon-Mi;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3호
    • /
    • pp.90-102
    • /
    • 2018
  • Background: We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ed bank and vegetation in abandoned rice padd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guide management of these sites. We investigated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richness of the soil seed bank and ground vegetation in former paddies along three seral gradients (wet meadow, young forest, and mature forest)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Results: Seed bank samples contained 59 species, of which the dominant families were Cyperaceae, Gramineae, and Polygonaceae. Species richness and seedling density (59 taxa and 19,121 germinants from all samples) were high. Carex spp. (11, 921 germinants) were the dominant taxa.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ed bank changed gradually as the land transitioned from wet meadow to mature forest. Sørensen's index of similarity between above- and below-ground vegetation was 29.3% for wet meadow, 10.8% for young forest, and 2.1% for mature forest. Germinant density also declined, with 10, 256 germinants for wet meadow, 6445 germinants for young forest, and 2420 germinants for mature forest. Conclusions: Changes in aboveground environment and life history traits such as amphicarpic plants, likely affect the composition of soil seed bank species. Abandoned paddy fields may be good sites for restoration of wetland forest and conservation of wetland habitat. Some intervention may be required to promote the recovery of a natural species assemblage.

광릉 지역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주변의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Habitat Structure and Bird Communities between a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the Road Area in Gwangneung, Korea)

  • 이주영;강정훈;임신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4
    • /
    • 2007
  • 본 연구는 광릉 지역의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주변에서 서식지 구조와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10월부터 2006년 8월 사이의 기간 동안 수행되었다. 활엽수 천연림과 도로 지역의 서식지 환경은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엽수 천연림은 대경목의 비율이 높고 상층 임관이 잘 발달해 있는 반면, 도로에서는 소경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상층임관의 발달이 적은 반면 하층식생의 피도가 높았다. 계절별 조사 결과 활엽수 천연림에서는 모두 37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도로에서는 20종이 기록되었다. 4계절에 있어서도 활엽수 천연림 이 도로보다 관찰 종수, 개체수 및 종다양도에 있어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길드 구조에 있어서도 활엽수 천연림 지역에서는 수관층 및 수동(나무구멍)에서 먹이와 둥지를 얻는 조류들이 많이 관찰되었으며, 도로에서는 관목이나 지면을 이용하는 조류가 많이 기록되었다. 두 지 역은 인접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류 군집의 특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 역 간 서식환경의 차이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이함수를 통한 광릉 산림 유역의 토양수분 모델링 (Soil Moisture Modelling at the Topsoil of a Hillslope in the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Using a Transfer Function)

  • 최경문;김상현;손미나;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5-46
    • /
    • 2008
  • 토양수분은 사면에서의 수문학적 과정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불포화대에서의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요소이다. 본 연구는 전이함수모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 양상을 인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광릉 수목원 슈퍼사이트 원두부 소유역 내에서 TDR을 이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연속 측정한 10cm 깊이의 토양수분 결과를 전이함수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강우 자료를 입력변수로, 지표면으로부터 10cm 깊이의 실측 토양수분 자료를 출력변수로 선정하여 단일 입출력 전이함수를 전개하였다. 토양수분의 계절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5월과 9월의 전이함수를 비교하였다. 시계열 전이 함수는 크게 자료의 전처리, 모형구조의 규명, 후보 모형군의 구성, 모수추정, 모형진단 등의 과정을 통해서 전개되며 10cm 깊이의 토양수분과 강우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도출한 전이함수 시계열 모형에서 10cm 깊이의 토양수분은 강우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었으며, 지점별 경사에 따라 토양수분의 변동성이 크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10cm 깊이의 토양수분 변동량은 각 지점의 경사보다 강우에 의한 반응이 우세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계절별로 상이한 모의 결과는 식생의 활동이 활발한 5월에는 식생이 토양수분 이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식생이 토양수분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 결과는 광릉 산림과 같은 복잡 경관에서 토양수분의 분포를 이해하는 기반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hanges in nocturnal insect communities in forest-dominated landscape relevant to artificial light intensity

  • Lee, Hakbong;Cho, Yong-Chan;Jung, Sang-Woo;Kim, Yoon-Ho;Lee, Seung-G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18-227
    • /
    • 2021
  • Background: Artificial light at night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adversely affecting global insect diversity. Here, we compared the insect diversity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specifically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ith no artificial light at night), with that of three nearby urban sites with a gradient of artificial light at night (five locations at each site).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artificial night lighting index, mean annual temperature, and field light intensity (lux) at night on the insect community structure. Results: The urban sites generally exhibited higher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as well as clear indicator spec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site.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collected insects markedly differ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hree urban sites. The abundance of herbivorous and omnivorous insects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 in light intensity. Species richness of herbivorous and omnivorous insects was likely correlated with the field light intensity at night and artificial night lighting index,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nighttime environment and marked changes in insect community structure and revealed consequent transition of ecosystem services by changes in trophic group composition.

개미 둥지에 서식하는 한국 미기록속 Ippa Walker (나비목, 곡식좀나방과)에 대한 보고 (First Record of the Myrmecophilous Tineid Moths, the Genus Ippa Walker (Lepidoptera, Tineidae))

  • 이동준;동민수;김기경;안능호;이봉우;배양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497-502
    • /
    • 2022
  • Ippa conspersa (Matsumura, 1931)를 포함한 Ippa Walker, 1864 속의 한국 분포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I. conspera의 유충은 Lasius (Lasius) spp. 와 같은 몇몇 개미류를 포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국산 I. consper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 유충의 외부 형태를 기재하고 도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