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and Life-form of Ferns in Gwangneung Forest

광릉숲 양치식물의 분포와 생활형

  • Published : 2006.10.01

Abstract

To understand the status of ferns' distribution of Gwangneung forest, flora survey was done during the period of April 2003 to November 2005.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erns identified and surveyed were 46 taxa including 9 families 17 genera 43 species 3 varieties were recorded in Gwangneung Forest. Hemicryrtophyte (H) was the most common dormancy from recorded in surveyed area. Epiphyte (E) and Hydatophyte (HH) were calculated as 4.3%, 2.2%, respectively and they were the lower value compared to those of other dormancy form. Consequently, $H-R_{3}-D_{1}-t$ was recorded as the most common life-form of ferns in Gwangneung Forest. Pteridophyta-Quotient (Ptph.-Q.) was calculated as 1.28 and it was the higher value compared to those of other neighboring mountains.

광릉숲 양치식물을 중심으로 한 집중적인 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을 정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광릉숲에는 9과 17속 43종 3변종 총 46종류의 양치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별 출현식물을 보면, 쇠뜨기, 고사리삼 등 26종류가 광릉숲 전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꿩고비, 지리개관중 등 5종류가 소리봉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림동물원 계곡부를 중심으로 낚시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 등이 분포하였고, 왕지네고사리, 참새발고사리 등은 외국수목원 일대에 국한된 분포역을 형성하고 있었다.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mancy form)은 H(Hemicryptophyte)의 비율이 56.5%로 가장 높았으며, HH(Hydatophyte)가 2.2%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번식형(Propagation form)의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대부분이 근경이 짧게 분지하고 가장 좁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_3$으로 39.1%이며, 근경이 옆으로 벋고 약간 넓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_2$가 2.2%이었고,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은 모두 포자가 바람이나 물에 의해 운반되는 $D_1$이었다. 생육형(Growth form)은 t(Tussock)와 e(Erect)가 각각 67.4%와 32.6%로 나타나 광릉숲 양치식물의 대표적인 생활형은 $H-R_{3}-D_{1}-t$로 정리되었다. 광릉숲의 양치식물계수(Ptph.-Q.)는 1.28로 한반도 중부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이 학술림으로서 안정적으로 보전 관리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Raunkiaer, C. 1934. The life-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laredon Press
  2. Iwatsuki, K. 1992. Ferns and Fern Allies of Japan. Heibonsha Ltd
  3. 京城藥典植物同好會. 1936. 朝鮮植物目錄第1券中部朝鮮篇. 1-5
  4. 국립수목원. 2006. 2005년도 임업연구사업보고서. 159-217
  5. 김성식, 박완근, 유석인. 1999. 명지산(경기도)의식물상에관한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4 : 35-58
  6. 김윤식, 고종립, 박선주, 장창기. 1997a. 수원산(경기포천)의식물상 조사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2: 19-51
  7. 김윤식, 김정애, 박선주, 장창기. 1997b. 화야산(경기가평)의식물상 조사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2: 53-83
  8. 김윤식,김효식,장창기,박선주,서정수.1998. 청계산(경기 포천)의 식물상 조사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3: 199-224
  9. 김윤식, 이찬희, 김주환, 윤창영. 1996a. 양자산(경기)의식물상조사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1: 47-74
  10. 김윤식, 이희원, 김주환, 윤창영. 1996b. 청량산(경기광주)의식물상 조사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1: 101-126
  11. 박만규. 1961. 한국양치식물지. 교학도서. 서울
  12. 박만규. 1975. 한국동식물도감제16권식물편(양치식물). 문교부. 서울
  13. 여천생태연구회. 1997. 현대 생태학실험서. 교문사. pp. 85-86
  14. 오용자. 1981. 수동면 지역의 식물상. 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3집. 한국자연보존협회. pp. 25-88
  15. 오용자. 1982. 상산식물의개화기에관하여. 자연보존연구보고서제4 집. 한국자연보존협회. pp. 49-75
  16. 윤창영 김윤식 박선주 우이령지역 서울 경기, 1995. 우이령지역(서울,경기)의 식물상 및 생태에관한연구.자연보존연구보고서제14집. 한국자연보존협회. pp. 1-15
  17. 이영노. 1981. 도봉산 일대의식물자원에관한 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3집. 한국자연보존협회. pp. 5-24
  18.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9.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0. 任良宰, 朴基賢, 沈栽國. 1980. 韓國에서의Raunkiaer 生活形의地理 的分布. 中央大學校技術科學硏究所論文集 9: 5-20
  21. 林業試驗場. 1959. 光陵試驗林要覽. pp. 23-25
  22. 임업연구원. 1994. 광릉시험림. pp. 5-13
  23. 장창기, 김윤식, 정경숙. 1999. 인간간섭에따른소요산(경기) 관속식 물상의변화연구.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18집. 한국자연보존협회. pp. 1-18
  24. 朝鮮總督府林業試驗場. 1932. 光陵試驗林一般. pp. 17-19
  25.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