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angneung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초

홍릉 숲의 곤충(개미와 지표성 딱정벌레)의 군집구조, 종다양성, 산림건강성 (Community Structure, Species Diversity of Insects (ants, ground beetles), and Forest Health in the Hongneung Forest)

  • 이철민;권태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97-1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곤충군집의 특성을 이용하여 도시숲의 산림건강성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도심에 위치한 홍릉 숲에서 함정트랩법으로 개미(Formicidae)와 지표성 딱정벌레(Carabidae)를 조사하여 광릉 숲의 그것과 비교하였다. 여기서 광릉 숲은 잘 보존되고 생물다양성과 자연성이 높기 때문에 산림건강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광릉 숲에 비해 홍릉 숲은 개미는 매우 많았으나, 딱정벌레는 매우 적었다. 종다양성의 경우에는 종풍부도는 광릉 숲이 높았으나, 종다양도는 홍릉 숲이 높았다. 광릉 숲에서는 소수의 숲 특이종에 의한 우점 현상이 심한데 비해, 홍릉 숲에서는 숲 특이종과 일반종이 균형을 이룸으로서 다양도가 광릉 숲에 비해 높았다. 이와 같이 홍릉 숲은 광릉 숲과는 곤충군집의 특성이 많이 달랐다.

문화.생태지역에 대한 관광행태와 만족도 분석: 광릉지역을 사례로 (Analysis on the Tourist's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the Gwangneung Area)

  • 김선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6-350
    • /
    • 2005
  • 본 연구는 광릉지역의 관광행태와 이용 민족도 등을 분석하여 관광수요자의 기초적 속성과 행동 성향을 구명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에 대한 관광객의 의식과 개발수요를 진단함으로써 광릉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 및 관리를 위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지역의 관광행태를 분석한 결과 광릉지역의 관광유형은 가족중심의 당일 소풍형 또는 경유형으로 나타나 지역 내에서의 소비규모와 체류시간이 짧고, 서울 및 수도권 주민의 재방문율이 높았다. 생태환경 및 자원에 대한 선호도는 사실상 접근이 불가능한 생태자원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인 반면 문화자원은 광릉지역의 관광견인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릉지역의 보전 및 활용 가치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도는 모두 높게 평가되었을 뿐 아니라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의 보전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 문화 생태자원 및 환경의 이용과 접근 시설과 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적극적인 자원활용과 시설개선 및 확충 등이 요구되고 있다.

  • PDF

광릉 전나무 식재기록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lanting Records of Needle Fir in Gwangneung)

  • 김은경;이해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9
    • /
    • 2019
  • 본 연구는 고문헌을 통하여 광릉 전나무 식재의 사적 근거를 밝히고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일성록(日省錄)" 등의 식재기록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와 산림생태조사 및 도복된 전나무 연륜을 통하여 현재 광릉 전나무의 수령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능제는 가장 보수적인 체제로 광릉 조성 과정 중 식재는 전례에 따라 이루어졌을 것이다. 건원릉을 시작으로 능침수목 식재기록을 통하여 소나무, 잣나무, 버드나무가 식재되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선후기 능침 작벌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조 22년 무오년 수교가 반포되었으며, 이후 봄 가을로 정기 식재가 이루어졌다. 정조 23년 기록을 통하여 조성 및 관리 연한이 오래된 9개 능을 대상으로 식재 주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광릉에는 잣나무와 잡목이 식재되었다. 셋째, 무오년 수교가 고종 치세 31년간 지켜지고 있으며, 예조별단을 통해 구체적인 식재 수종, 식재 장소, 식재 주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종 22년부터 25년까지 4년간 광릉에는 지속적으로 전나무가 식재되었으며 잣나무를 식재한 곳은 광릉이 유일하였다. 넷째, 도복된 전나무 연륜을 통하여 수령 파악이 가능했으며, 현존 광릉 전나무 식재 시기는 철종 10년 이후부터 고종 연간으로 판단하였다.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Deciduous Forests of Gwangneung and Mt. Namsan Areas

  • Rhim, Shin-Jae;Kim, Min-Jin;Lee, Ju-Young;Kang, Jeong-Hoo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67-57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deciduous forests of Gwangneung and Mt. Namsan areas from April to August 2006. Two 10ha area were selected for territory mapping of breeding bird community in both study area. The DBH distribution of trees and average foliage profi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udy areas. Also, breeding bird communities were different. Number of breeding species and pairs, breeding density, and bird species diversity were higher in Gwangneung area than in Mt. Namsan area. When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abitat structure and bird community, Number of bird species and breeding pairs belonged to hole and canopy guild were increase as the increase of coverstory coverage and number of large tre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vertical structure more various to plant bushes, and to make DBH distribution more diverse for enhancing bird species diversity in the degraded ecosystem.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특성 - 서울시 동대문구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oncentration by Type of Urban Green Space - focused on Dongdaemun-gu, Seoul, Korea -)

  • 조예슬;박수진;노관평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0-339
    • /
    • 2018
  • Objectives: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BTEXS and phytoncides were investigated by type of urban forest. Methods: Four types of urban green space (Hongneung Forest, Mt. Chunjang, residential park, and traffic island) and Gwangneung Forest were selected. Monitoring of phytoncides and BTEX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activity times of urban residents (five times per day) using a Tenax TA tube and suction pump in June 2017 (one day). Results: Phytoncide concentrations were ranked as Gwangneung Forest>Hongneung Forest>Mt. Cheonjang>traffic island>residential park.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hytoncide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urban for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wangneung Forest and the urban forest. BTEXS concentrations were ranked as traffic island>residential park>Hongneung Forest>Gwangneung Forest>Mt. Cheonjang. Traffic island and residential park showed high levels of BTEXS depending on the inflow of vehicles.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by time was significant for the traffic island in particular. Pollutant levels in Hongneung Forest were as low as in Gwangneung Forest. Conclusion: The concentrations of phytoncides and BTEXS were different by types of urban green space, and the potential for health and hygiene of urban forests were able to be investiga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s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urban forest spaces in the future.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관리 방안 연구 - 광릉지역을 사례로 - (Calculating the Carrying Capacity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Gwangneung Area)

  • 김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1-334
    • /
    • 2005
  • 본 연구는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정책적 수요 분석을 기초로 문화$\cdot$생태자원 및 환경을 보존하고 유지하면서 관광여 가공간으로서의 합리적인 이용과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 북동부 주요 교통로에 입지한 광릉지역은 환경과 자원에 대한 보존가치는 물론 친문화환경적 관광여가공간으로서의 활용잠재력이 높은 문화재산림지역이다. 연구지역에 대한 사회심리적 수용력은 시간대별로 오전보다 오후로 갈수록, 이용공간별로는 주차장, 매점, 탐방로 등의 수용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용공간에 대한 물리적 수용력은 관광객 600여명, 차량 130여대로 분석되었다. 한편 관광객의 정책적 수요 분석 결과 광릉지역의 합리적인 이용, 관리 방안으로는 문화 생태자원의 연계탐방로 개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자원해설가 육성 등을 비롯하여 광릉관광권내에서의 차량통제 및 셔틀버스 운행, 관리사무소 및 주차장의 이전, 재실의 생태학교 및 전시실 활용, 편의시설과 휴식공간 확충, 관광행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이 요구되고 있다.

광릉숲의 임상별 조류의 분포 현황 (Bird Distribution in Relation to Forest Types in Gwangneung Forest)

  • 권영수;박성근;황근연;김미란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137-14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05 to October 2007 to investigate bird distribution at three types of forest (mixed, broadleaf and coniferous) in Gwangneung forest. As a result, more birds used mixed forests than broodleaf and coniferous forest. During forest was opened to public, more birds also frequently used mixed forests. When forest was closed to public, there was no preference among three forest types. We also compared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between open and restricted area. More species and individuals used restricted area.

Biomass Estimation of Gwangneung Catchment Area with Landsat ETM+ Image

  • Chun, Jung Hwa;Lim, Jong-Hwan;Lee, Don K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91-601
    • /
    • 2007
  • Spatial information on forest biomass is an important factor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forest as a carbon sequestrator and is a core independent variable required to drive models which describe ecological processes such as carbon budget, hydrological budget, and energy flow.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ellite image and field data, and to quantitatively estimate and map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biomass. Landsat Enhanced Thematic Mapper (ETM+) derived vegetation indices and field survey data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biomass distribution of mountainous forest located in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230 ha). Field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ground plots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est biomass, while satellite image reflectance data (Band 1~5 and Band 7),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and RVI (Ratio Vegetation Index) were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mean and total biomass of Gwangneung catchment area were estimated to be about 229.5 ton/ha and $52.8{\times}10^3$ tons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measured biomass and Landsat derived variables in both of deciduous forest ($R^2=0.76$, P < 0.05) and coniferous forest ($R^2=0.75$, P < 0.05). However, there still exist many uncertainties in the estimation of forest ecosystem parameters based on vegetation remote sensing. Develop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with adequate filed survey data over a long period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estimation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of the forest ecosystem.

Mid-term (2009-2019) demographic dynamics of young beech forest in Albongbunji Basin, Ulleungdo, South Korea

  • Cho, Yong-Chan;Sim, Hyung Seok;Jung, Songhie;Kim, Han-Gyeoul;Kim, Jun-Soo;Bae, Kwa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4호
    • /
    • pp.241-255
    • /
    • 2020
  • Background: The stem exclusion stage is a stage of forest development that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subsequent understory reinitiation stage and maturation stage during which horizontal heterogeneity is formed. Over the past 11 years (2009-2019), we observed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Albongbunji Basin in Ulleungdo, South Korea in its stem exclusion stage, where Fagus engleriana (Engler's beech) is the dominant species, there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density and size distributions), function (biomass and species richness), and demographics. Results: The mean stem density data presented a bell-shaped curve with initially increasing, peaking, and subsequently decreasing trends in stem density over time, and the mean biomass data showed a sigmoidal pattern indicating that the rate of biomass accumulation slowed over time. Changes in the density and biomass of Fagus engleriana showed a similar trend to the changes in density and biomass at the community level, which is indicative of the strong influence of this species on the changing patterns of forest structure and function. Around 2015, a shift between recruitment and mortality rates was observed. Deterministic processes were the predominant cause of tree mortality in our study; however, soil deposition that began in 2017 in some of the quadrat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contribution of stochastic processes (15% in 2019) to tree mortality. The development of horizontal heterogeneity was observed in forest gaps. Conclusions: Our observations showed a dramatic shift between the recruitment and mortality rates in the stem exclusion stage, and that disturbance increases the uncertainty in forest development increases. The minor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re likely linked to regional species pool and the limited role of the life-history strategy of species such as shade tolerance and habitat affinity. Our midterm records of ecological succession exhibited detailed demographic dynamics and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the stem exclusion stage.

광릉숲 내 봉선사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 및 생물학적 하천평가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Bongseonsa Stream in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 정상우;조용찬;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08-519
    • /
    • 2017
  •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은 오랜 기간 보전 관리된 희귀 생태계로서 생물다양성 변화 모니터링 및 보전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 건강성 평가 지표로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과 군집 특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부터 9월까지 광릉숲을 관통하는 봉선사천 및 인근 계류에 대한 하천평가를 위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8강 17목 56과 114종이 출현하였으며, 유수 지역에서 서식하는 하루살이목과 날도래목이 각각 30종(32.3%), 16종(17.2%)으로 다양성이 높았고, 오염된 하천에서 일반적으로 정착하는 실지렁이류(Tubificidae sp.),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명주각다귀 KUa (Antocha KUa),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섭식기능군에서는 모아먹는무리와 잡아먹는무리가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계류지역에서는 썰어먹는무리와 긁어먹는무리가 높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에서는 붙는무리와 굴파는무리가 우세하게 출현하였으며, 여울지역의 미소서식처 다양성을 대변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평균 $0.48{\pm}0.10$으로 분석되었으며, 광릉숲 계류의 GS 8에서 0.3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봉선사천 BS 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와 풍부도지수는 우점도지수와 반비례하여 나타났으며, 우점도가 낮은 GS 8의 다양도와 풍부도지수는 각각 2.53, 4.22로 나타났다. 하천의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봉선사천은 저항력과 회복력이 높은 I특성군, 광릉숲 수계는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III특성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광릉숲의 수계가 교란에 민감한 종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물학적 수질평가에서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 $50.88{\pm}17.69$, 한국오수생물지수 $1.11{\pm}0.57$, 저서동물지수 $78.55{\pm}11.05$로 평가되었으며, 광릉숲 계류 GS 8에서 ESB (63점), KSI (0.55), BMI (89.9)로 가장 좋은 수환경과 수질 I등급인 최우선보호수역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에 봉선사천 BS 1에서는 ESB (25점), KSI (2.13), BMI (62.7)로 수질등급이 가장 낮은 III등급인 최우선개선수역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광릉숲 내의 수계보다는 주변에 위치한 봉선사천의 수계에서 수서곤충의 다양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거 연도별 종구성의 군집구조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