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an-Yu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8초

동관왕묘(東關王廟)의 조각상 연구 (A Study on the Sculptures from Donggwanwangmyo [East Shrine of King Guan Yu])

  • 장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94-113
    • /
    • 2013
  • 동관왕묘(東關王廟)는 중국 촉(蜀)나라의 장수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이다. 이러한 사당이 우리나라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은 1598년 정유재란 때부터이다. 당시 조선에 파병된 명나라 장수들은 관우의 힘으로 일본의 침략을 막아내길 염원하면서 그들의 주둔지마다 관왕묘를 세웠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중국 명나라 황제와 조선의 국왕은 외세를 물리치려는 의지로 관왕묘를 세우고자 하였다. 1599년 8월 조선 정부는 '동관왕묘조성청' 이라는 관청을 임시로 설치하고 인력과 물력을 총동원하였다. 명나라 기술자의 감독 아래 연 2,400명의 조선 장인과 역군(役軍)들이 중국 제저우(解州) 관제묘(關帝廟)를 본으로 삼아 영건하여 3년 뒤인 1602년 봄에 동관왕묘를 완공하였다. 한 중 기술자가 협력하여 세웠기 때문에 관왕묘의 정전 건축과 내부 구조 및 조각상에는 양국의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관왕묘 내부에는 7기의 조각상이 서 있다. 관우상 1기는 금동상이며, 나머지 6기는 소조상 위에 채색한 것이다. 이들 조각상들은 1602년에 만들어졌고, 관우와 그를 배위하는 관평(關平) 주창(周倉) 조루(趙累) 왕보(王甫)는 삼국시대에 실존했던 인물들의 초상조각이었다. 하지만 그들의 복식은 관우를 추숭하던 당송대에 확립된 도상을 따르고 있었으며, 세부적으로는 명대적 요소와 조선적 배치가 절충되어 있었다. 이로 미루어 송대 이후 확산된 <의용무안왕(義勇武安王)> 판화의 도상이나 명나라 만력황제가 1593년 조영한 제저우 관제묘의 명대 관우 도상이 동관왕묘를 제작할 때 직접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현재 동관왕묘와 비교되는 중국 제저우 관제묘의 경우 건축과 조각상이 모두 청대 18~19세기에 중건된 것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동관왕묘의 조각상은 17세기 초 한 중 관왕묘 중에서 제작시기가 가장 이른 예로서 당시의 원형을 지니고 있다는 점, 한 중 기술자의 합작으로 규모가 매우 크다는 점, 금동으로 만든 관우상은 유일하다는 점, 문무 배위상을 각 1쌍씩 마주 배열하여 조선왕릉의 석인 배치와 친연성이 있다는 점 등 여러 면에서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한중게임 중 삼국지를 배경으로 한 무장(武將) 캐릭터에 대한 비교 연구 -관우(關羽)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the Comparison of Warrior Role with the Three Kingdoms an the Theme in the Korea-and-China Games - to GUAN YU as the Center)

  • 손서평;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61-466
    • /
    • 2014
  • 일본시리즈게임<삼국지>가 부각되면서 아시아게임시장에서는 삼국지의 유행이 불기 시작하였고 삼국지의 전통문화자원이 게임문화산업의 유형으로 탄생되었다. 이와 더불어 전통문화를 선양함과 동시에 경제적 효과의 이중효과를 나타냈다. 유비(刘备), 관우(关羽) 등 캐릭터가 여러 문화산업분야에서 개발됨에 따라 특정된 역사인물의 국제화외형디자인이 디지털아트분야로 주목받게 되었다. 본 논문은 삼국문화와 삼국무장에 대해 분석하고 고전소설 삼국지:(중국<삼국연의三国演义>)등에 의거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개발된 삼국지 게임에서 관우(关羽)를 중심으로 무장캐릭터 실제 예를 들어 관우(关羽)의 조형, 복장, 무기, 색채 등을 비교분석하여 역사인물 게임캐릭터의 국제화추세를 탐구하려고 한다.

관왕묘 의례 복식의 변천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The Changes of Ceremonial Costumes of the Guan Yu Shrine and the Method for their cultural contents)

  • 박가영
    • 복식
    • /
    • 제62권4호
    • /
    • pp.32-4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etter understand the Dongmyo, the Eastern Shrine of GuanYu and the military costumes of the Joseon period andto develop different cultural contents. By studying relevant literature, confirmations were made about the various types of costumes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ceremonial conductors often wore armors, and the king wore a different military costum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reafter, the ceremonial costumes were codified in the book, the Chun-gwan tonggo(General Outline for the Ministry of Rites), along with the costumes for the musicians and lower officials. However, the military features were weakened in the late Imperial Joseon years. In terms of costumes, it would be best today to restore the ceremonies of the Shrine of Guan Yu during the period of King Jeongjo. All the costumes for different figures of the Shrine are clearly confirmed, and by emphasizing the main features of the ceremonials of the Shrine,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the ceremony from other restoration activities in Korea. For the Guan Yu statue, the hat is square shaped and decorated with nine bead strings, it is dressed with a red dragon coat and a violet inner coat. This study presents methods for the restorations of the original costumes for the individual figures of the ceremonials, with necessary theoretical explanations. The king wears the lamella gold armor, while different ceremonial officials wear differentiated armors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ranks. All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who attend the ceremony wear military clothes with horse's mane hats and swords. The musical conductor and directors are expected in armors and participating musicians also have to wear armors according to the Akhak Gwebeom (Basics of Music).

젖소에서 일반침술이 제 4위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ditional Acupuncture on Abomasal Motility in Holstein Cow)

  • 이주명;남치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1-155
    • /
    • 1998
  • Abomasal motility was observed by needling to acupoints for 20 min. The acupoints used were guan yuan yurt da chang yurt dei yup pi yurt and hou hoi. The acupoint which showed the increase of the largest wave type was pi yu and the increase of wave type was observed 20 minutes after needling in hou hoi and dei yu acupoint. But there was no effect on abomasal motility after needling to guan yuan yu and da chang yu. On the other hands change in amplitude of the abomasal contraction after needling to these acupoints was not abser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imulation to pi yu acupoint would be the most useful to increase the abomasal motility.

  • PDF

숭의묘 건립과 숭의묘 제례악 (Soongeuimyo 崇義廟 Establishment and Soongeuimyo Jeryeak 祭禮樂)

  • 이정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19호
    • /
    • pp.317-346
    • /
    • 2009
  • 숭의묘는 유비를 주향으로 하고 관우와 장비를 배향한 것 외에도 제갈량·조운·마초·황충·왕보·주창·조루·관평 이상 8인을 종향한 사당이다. 배향 인물 중 관우가 포함되어 있어 관왕묘의 하나로 인식되고 논의되었다. 이는 기존에 있던 관왕묘인 동묘, 남묘, 북묘에 이어 '서묘(西廟)'라고도 불린 명칭에서도 확인된다. 물론 관우라는 인물을 모셨다는 공통분모 때문에 관왕묘와 숭의묘의 관련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숭의묘는 관왕묘와 차별되는 면모가 있다. 숭의묘는 배향인물의 측면에서 관왕묘보다 격이 높았고 아악·아악악현·육일무가 수반되어 사용되는 악무(樂舞)의 종류가 현격히 달랐다. 러일전쟁 발발 직후 1904년 4월 27일에 첫 봉안의식이 행해진 후 1908년 7월에 폐지되기까지 숭의묘제례가 행해진 기간은 불과 4년 밖에 안 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덜 알려져 있었다. 게다가 숭의묘 터를 조선총독부에서 고아원과 맹아원으로 사용해 버리는 바람에 그 묘역까지 철저히 훼손되어 숭의묘의 기억을 되돌릴 공간마저 잃어버렸다. 그러나 숭의묘제례는 조선의 전통적인 제례용 악무(樂舞)의 형태를 두루 갖추어 중사(中祀)격으로 행례된 중요한 국가제례의 하나였다. 또한 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후 대한제국의 군사력을 강화하려는 강병책의 일환으로 구상된 제례로, 칭제(稱帝) 이후 환구제례와 더불어 새롭게 만들어졌으며, 대한제국 최후의 국가사전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 (Expression and Deployment of Folk Taoism(民間道敎) in the late of Chosŏn Dynasty)

  • 김윤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309-334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후기 민간도교가 어떠한 형태로 존재해 왔는가를 고찰하고, 민간도교의 근간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논구하려는 것이다. 조선 후기 관제신앙이 관우를 중심으로 하는 민간신앙이라면, 선음즐교(묘련사)와 무상단은 조직을 갖춘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묘련사(妙蓮社))의 경우 '선음즐(善陰?)'은 "서경(書經) 주서(周書)"의 홍범전(洪範傳)에서 유래한 유학의 천관을 담고 있지만 수행의 방법으로는 보살성호(예-관세음보살)를 주문으로 수행하고, 신앙의 대상은 삼성(三聖)(관제, 문창, 부우)이다. 이러한 점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삼교합일적 현상을 보여준다. 임란 이후 왕실의 주도로 국가적 차원에서 시작되었던 관제신앙은 민간에서 확고히 자리 잡게 된다. 조선 후기 관제(關帝)는 충과 효의 화신이면서 유 불 도의 삼교 교권을 집장하며, 생사 죄과 명운을 관장하는 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신의 위력과 가피력이 민간에 경전으로 유포되면서 관제신앙은 벽사와 구복의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선음즐교 '묘련사'는 명청대 '백련사(白蓮社)'를 모방한 종교결사이다. 선음즐교는 염불을 통한 신과의 '감응(感應)'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종교적 엑시터시(ecstasy)의 상태에서의 강필(降筆)을 비난(飛鸞)으로 표현하였다. 비난(飛鸞)이란 부난(扶鸞) 부계(扶?)라고도 하는데, 종교결사에서 경전을 만드는 방법으로,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의 강필을 의미한다. 선음즐교는 부주수행을 통해 신과의 합일 상태를 추구하였으며, 신과의 합일 상태에서 강필한 경전을 교단의 중심 교리로 삼았다. 선음즐교의 난서 "제중감로(濟衆甘露)"의 서문을 장식한 여순양이 강림한 곳이 '무상단(無相壇)'이다. 무상단은 서정(徐珽), 정학구(丁鶴九), 유운(劉雲), 최성환(崔?煥)이 주축이 된 독립된 교파로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의 삼성제군(三聖帝君)을 숭배하면서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를 편찬하고 간행 보급하였다. 조선후기 민간도교 경전은 크게는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로 구분할 수 있다. 난서(鸞書)는 비난시(飛鸞時)의 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 강필서이고, 선서(善書)는 "태상감응편"과 "공과격" 같은 선행의 표준을 보여주고 권면하기 위한 책이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이유로 지어진 관묘가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관제신앙은 구복과 벽사의 대상으로 민간에 널리 확산되었다. 둘째 조선 후기에는 묘련사와 무상단이라는 구체적인 민간도교단체가 등장했다. 이들은 '감응'을 통한 영성(靈性)의 고양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 난단도교(鸞壇道敎)였다. 셋째 조선의 민간도교는 청대 민간도교의 유불도 합일과 종교결사의 조직형태 난단도교 등의 영향을 받았다. 넷째 조선의 민간도교 경전은 난서(鸞書)와 선서(善書)로 구분되는데, 조선에서 직접 만들어진 난서(鸞書)는 민간도교의 특징을 밝혀줄 열쇠가 되리라고 기대한다.

촌, 관, 척 위치의 맥파 특징 차이 검정에 대한 1례 (An Example of Test on Differences of Pulse Waveform Characteristics at Cun, Guan and Chi)

  • 이전;이유정;전영주;이혜정;유현희;김종열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07-112
    • /
    • 2008
  • Although the pulse diagnosis position, Guan is apart from Cun or Chi by only $10{\sim}20$ mm at most, traditional medical doctors applies different indent pressures and even they states different pulse images are felt at Cun, Guan and Chi, To support their clinical behaviors, in this study, we tested statisticall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ulse waveform measured at these three positions with SphygmoCor system used world widely, A 30 years old female subject without any ev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was involved in this experiment. Radial pulse waves were recorded at three different positions on left lower arm 10 times at three positions-Cun, Guan and Chi. With ANOVA, we tested whether, among three different positions.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12 parameters of radial pulse waveform and in estimated AIx(Augmentation Index) as an arterial stiffness index extracted from radial pulse waveform. As results, differences in optimal indent pressure h0 were observed at different measuring positions(P<0.001)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pulse pressure his were found to be different(Chi$22.60{\pm}3.06%,\;18.60{\pm}3.37%\;and\;26.4{\pm}5.02%$ respectively. Consequently. AIx at Gwan seems to be lowest and that at Chi seems to be highest. So. we assert the AIx at Chi is likely to be overestimated. In further studies. we want to examine what make differences in these parameters between measuring positions. And it also seems to be worth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radial artery and AIx. And, ultimately, we need to determine the best measuring process including measuring position, hold-down pressure, signal quality validation and so on. so to achieve the optimal waveform which represents subject's health condition for both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ine.

  • PDF

청조 관복제도의 등급체계에 관한 연구 (제1보) (A Study on the Rank System of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 박현정
    • 복식
    • /
    • 제53권1호
    • /
    • pp.17-34
    • /
    • 200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ank system of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to analyze ethnic characteristics of the official uniforms. As a research document, Qing Huidian Tu(청회전도) has been used. The official uniforms of Qing dynasty were chao-fu(조복), ji-fu(길복), chang-fu(상복), hang-fu(행복), and yu-fu(우복), which were used in different occasions. Each of the five official uniforms had distinct items. For example, chao-fu(조복) consisted of four items: chao-guan(조관), chao-fu(조복), chao-dai(조대), and chao-zhu(조주), and ji-fu(길복) consisted of four items: ji-fu-guan(길복관), long-pao(용포), ji-fu-dai(길복대), and chao-zhu(조주). Each of these items had elements that made distinction between rank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important elements to make distinction between ranks were textiles, precious stones, patterns and colors, and additionally the number of Bo(보) and the types of Bo(보) were used.

동관왕묘의 어제(御製) 현판(懸板)의 유형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ypes and Contents of Hanging Boards Inscribed with King's Writings in Donggwanwangmyo[East Shrine of King Guan Yu])

  • 장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52-77
    • /
    • 2016
  • 관우를 모신 동관왕묘에는 51점의 현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것들은 조선의 국왕이나 명 청대 사신 및 장군들이 쓴 것이다. 그동안 현판에 대한 연구는 궁궐에 소장된 것들이 주로 연구되었고, 동관왕묘의 것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국왕의 글씨로 만든 현판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였다. 내용상으로는 현판의 제작자와 제작시기 및 제작배경을, 형식상으로는 현판의 유형과 재료 및 시기별 양식 변천을 밝혀 보았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동관왕묘에 국왕 글씨로 만든 현판은 총 7점이 현존하고 있다. 숙종이 쓴 1점, 영조가 쓴 4점, 고종이 쓴 2점이 그것이다. 이것들은 건물의 이름을 쓴 편액(扁額)과 동관왕묘에 방문한 느낌을 시로 쓴 시액(詩額)으로 나뉘었다. 특히 후자는 국왕이 봄과 가을에 능행(陵幸)하면서 동관왕묘에 들렀을 때 썼으며, 관우의 의리와 충성을 통해 왕실의 안녕을 도모하고자 의도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 국왕의 현판은 명 청대 사신이나 장군의 것들과 비교할 때 재료나 형식면에서 차별화되었다. 바탕은 청색[회회청(回回靑) ]이나 주색[주칠(朱漆)] 및 옻색[흑칠(黑漆)]으로서, 먹색[묵(墨)]이나 흰색[분질(粉質)]으로 된 현판보다 고급 재료로 칠하였다. 글씨는 양각으로 새긴 위에 금(金)으로 칠하였다. 현판의 형식은 4면이 모판처럼 $45^{\circ}$로 비스듬하며 단청기법으로 꽃문양이나 칠보문양을 그렸고, 그 좌우와 아래로 길게 빼 당초문양을 장식하였다. 이것은 '사변형(斜邊形)'이라고 부르는 형식이며, 나머지 3종류의 형식보다 품격이 높아 최고 수준의 것이었다. 이처럼 국왕의 글씨를 새긴 현판의 존재를 통해 조선후기에 동관왕묘는 국왕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군인들의 충성심을 강조한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명대 사신이나 청대 장군의 글씨로 제작된 현판과 형식 비교나 시기별 양식적 변천은 다음 기회로 미루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