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inhibition test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3초

식물성 오메가-3계 지방산 급원인 아마씨 및 들깨의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Linum usitatissimum and Perilla frutescens as Sources of Omega-3 Fatty Acid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37-174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 종자들 중에서 특히 $\alph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 대표적인 아마씨와 들깨를 중심으로 Ames 실험을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간접돌연변이 $AFB_1$ (0.7 mg/plate)에 대해 들깨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86% 및 94%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74% 및 75%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직접 돌연변이인 MNNG (0.6 mg/plate)에 대한 들깨 및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첨가농도 1.25 mg/plate일 때부터 활성이 나타나 5 mg/plate 일 때는 각각 78, 63%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한 $AFB_1$과 MNNG의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두 가지 종자인 들깨와 아마씨는 직접돌연변이원에 대해서보다는 간접돌연변이원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 저해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들깨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가 더 우수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한편,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을 0.5, 1, 2 mg/ml의 농도별로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1 mg/ml 첨가농도에서 64%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고, 2 mg/ml 농도에서 79%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첨가농도 2 mg/ml일 때 68%의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AGS 세포에 처리했을 때처럼 아마씨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0.5 mg/ml에서부터 활성을 타나내어 첨가농도 2 mg/ml에서는 72%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들깨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0.5 mg/ml에서는 4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첨가농도 2 mg/ml에서는 64%로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인체 간암세포(Hep 3B)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는 이상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보다 다소 낮았으나 아마씨 및 들깨 메탄올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ml에서 각각 65% 및 5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애호박 세균점무늬병 방제를 위한 약제 선발 (Selection of the Antibacterial Agents for Control Against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causing Leaf Spot Disease on Green Pumpkin (Cucurbita moschata))

  • 박경수;김영탁;김혜성;차재순;박경훈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24
    • /
    • 2015
  • 공주와 논산 육묘장에서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세균점무늬병이 애호박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지만, 점무늬병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종자처리와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살균제 6종을 선택하여 병원균의 생장억제효과, 유묘에서 병 방제효과, 종자처리에 의한 병원균 및 병 방제효과를 각각 조사하였다. King's B배지에서 병원균 생장억제효과는 oxytetracycline 170 ppm, oxytetracycline 15 ppm + Streptomycin sulfate 188 ppm, oxolinic acid 200 ppm, streptomycin 200 ppm 처리 순으로 효과가 높게 확인되었다. Oxytetracycline 1.5% + streptomycin sulfate 18.8% WP와 oxytetracycline 17% WP의 유묘처리 시 방제가는 각각 71.4%, 49.4%이었다. Oxytetracycline 1.5% + streptomycin sulfate 18.8% WP를 인위적으로 감염된 종자에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유묘 발아실험에서 96%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Oxytetracycline 17% WP 2,000배 처리구에서 인위 감염 종자로부터 80 cfu/g의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유묘발아실험에서 90%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Streptomycin 20% WP의 2,000배액을 종자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이 280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유묘발아실험에서 60%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oxytetracycline 1.5% + streptomycin sulfate 18.8% WP가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에 의한 세균점무늬병의 방제와 종자처리를 위한 최적의 살균제로 판단된다.

철근콘크리트흄관 라이닝용 니켈계 방균제의 기초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ase Properties of Nickel Type-Antifungal Agent for Reinforced Concrete Hume Pipe Lining)

  • 조영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47
    • /
    • 2010
  •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흄관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흄관 내부에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로 라이닝 처리한 부분에 황산니켈 6수화물을 혼입시켜, 하수용으로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흄관의 열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황산화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화세균의 증식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황산니켈 6수화물의 농도에 따른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방균제에 함유된 황산이온이 시멘트 모르타르의 팽창요인 되어 역학적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팽창성 시험과, 니켈의 중금속의 용출로 환경오염은 물론 흄관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용출시험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니켈계 방균제가 시멘트 콘크리트의 부식균인 Thiobacillus novellus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20mM 이상을 사용하여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방균제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방균제의 혼입여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방균제 혼입에 따른 특별한 팽창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모든 종류의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니켈성분이 전혀 용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철근콘크리트 흄관의 내구성 개선을 위하여, 흄관 내부의 라이닝과 함께 방균제를 혼입한다면, 두가지 방식재료의 성능이 서로 보완효과를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곰팡이에서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규명 (Isol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Anti-Helicobacter pylori Compound from Fungus 60686.)

  • 남궁준;연승우;백남수;김태한;김영호;김창진;김기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42
    • /
    • 1998
  • 본 실험에서는 만성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발생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H. pylori를 저해하는 특이항균물질을 생성하는 균주를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액과 곰팡이 추출액을 대상으로 탐색하여 곰팡이 균주번호 60686을 선별하였다. Jar fermentor로 배양하여 얻은 균체를 acetone 및 EtOAc로 추출하였고, 얻어진 추출액을 silica column chromatography와 LH-20 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고 HPLC를 사용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단일물질 IDA를 분리 정제하였다. 항균 활성물질 IDA의 구조를 MS, NMR 분석등을 통해 추정한 결과 곰팡이의 2차 대사산물인 cytochalasan의 전형적 구조를 갖는 분자식 $C_{32}H_{36}N_2O_5$의 chaetoglobosin A라는 물질로 판명되었다. 항균물질 IDA의 항균력을 paper disk법으로 실험한 결과 그람양성 균주중에서는 S. aureus SG 511, 285와 503 3주에서만 항균력을 보였고, 그람음성 균주중에서는 H. pylori 4주에서만 항균력을 보였으나 동일농도 처리시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S. aureus에 비해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 PDF

콩 불마름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Selection of Bactericides for Controlling Soybean Bacterial Pustule)

  • 홍성준;김용기;지형진;이봉춘;윤영남;박성태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66-273
    • /
    • 2010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병되는 콩 불마름병은 콩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중요한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게다가 병원균은 강한 병원성을 가지고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불마름병방제를 위한 약제나 저항성 품종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불마름병을 화학적 방법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콩 불마름병 병원균의 효과적인 생육억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살세균제들(8개의 항생제, 2개의 구리화합물, 1개의 quinoline, 18개의 농약)을 이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내 생장억제 효과조사 결과,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ate 처리에서 병원균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또한 oxolinic acid도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하지만 vancomycin, polymyxin B sulfate and copper compounds 등은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육억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18종의 농용약제 중에는 streptomycin sulfate + oxytetracycline(18.8 + 1.5%)WP, oxytetracycline(17%)WP, oxolinic acid(20%) 등이 실내에서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발된 5종의 농용약제에 대하여 포장에서 방제효과 시험을 실시한 결과, streptomycin sulfate + oxytetracycline (18.8 + 1.5%) WP와 oxytetracycline(17%) WP가 자연 감염된 태광콩 포장에서 7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콩불마름병균에 대한 강한 억제효과를 가지는 이 약제들은 콩 불마름병의 화학적 방제에 실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thalfluralin이 귀리 (Avena sativa L.)의 생장억제(生長抑制)에 미치는 영향 (The Mode of Action of Ethalfluralin on Growth Inhibition in Oat (Avena sativa L.))

  • 정남용;권성환;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1
    • /
    • 1991
  • 식물생장 억제제인 ethalfluralin의 작용기구를 구명하기 위하여 제초제의 작용에 민감한 귀리(Avena sativa L.)를 택하여 조사한 세포분열(細胞分裂), 세포신장(細胞伸長) 및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 그리고 조직(組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Ethalfluralin를 처리한 모든 처리구의 세포분열(細胞分裂) 억제(抑制)효과는 metaphase arrest로 인하여 후기(後期)와 말기(末期)의 세포분열(細胞分裂)이 나타나지 않았다. 2. 세포신장(細胞伸長) 억제(抑制)효과는 $1{\times}10^{-6}$M 이상의 농도에서 50%가 억제(抑制)되었으며 $1{\times}10^{-3}$M에서 87%의 억제(抑制)를 보여 ethalflural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률이 증가했다. 3. 단백질합성(蛋白質合成) 억제(抑制)는 8시간 처리후 모든 농도 ($1{\times}10^{-6}$M to $1{\times}10^{-3}$)에서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효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조직(組織)의 변화는 24시간 처리후$1{\times}10^{-7}$M에서 근단 세포가 크게 보였으며 세포질(細胞質)이 없는 세포, 다핵(多核) 세포(細胞) 및 균일(均一)하지 않은 핵(核)이 관찰되었다.

  • PDF

돼지풀이 작물과 잡초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rops and Weeds)

  • 최봉수;송득영;김충국;송범헌;우선희;이철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4-42
    • /
    • 2010
  • 돼지풀의 추출물에 의한 잡초의 발아와 토양혼입에 따른 작물 및 잡초의 초기생육을 조사하였다. 돼지풀의 잎 추출물은 줄기 및 뿌리 추출물보다 잡초의 발아를 억제시켰으며, 5%농도에서 돌피, 바랭이 및 금방동사니의 발아율은 각각 23.0, 19.5 및 9.2%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68.3, 74.7 및 87.3% 억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돼지풀의 혼입에 의한 작물과 잡초의 출아율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출아 억제효과는 돌피보다 바랭이와 금방동사니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돼지풀의 혼입은 콩과 옥수수의 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돼지풀의 잎 혼입량이 5%까지 증가함에 따라 돌피, 바랭이, 금방동사니의 초장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48, 63 및 66% 억제되었다. 돼지풀 혼입에 따른 잡초의 생육으로 돌피, 바랭이 및 금방동사니의 건물중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72, 78 및 71% 억제되었다.

Sodium Amylosulfate의 Salmonella typhi 증식에 대한 영향 (Effect of Sodium Amylosulfate on the Growth of Salmonella typhi)

  • 정윤섭;김성옥;이삼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2
    • /
    • 1976
  • Sodium amylosulfate(SAS) has been reported to be an effective substance to inactiv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blood in blood culture media. The advantage of the use of SAS over sodium polyanethol sulfonate(SPS) is that it does not inhibit the growth of some bacteria! species which are known to be inhibited by SPS. As to S. typhi, SPS is reported to enhance the growth, however the effect of SAS on this organism is not known as yet. Using 43 strains of S. typhi, isolated from clinical materials, the authors tri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AS on this organism.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 the SPS and SAS paper disk I sensitivity test, tests on the growth in trypticase soy broth(TSB) with SPS and with SAS, and experimental blood culture in SPS and SAS incorporated TSB.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ined. 1). S. typhi strains with the turbidity of No. 0.5 tube of MacFarland nepherometer were inoculated onto Mueller-Hinton plate and 1mg disk of SPS and SAS were applied. After 24-hour incubation, none of the 43 strains showed inhibition zone by SPS disk, but all of them showed zones by SAS disk with a mean zone diameter of 9.5mm(Table 1). 2) Inocula consisting of one to 54 viable counts of 37 strains were inoculated into three different media; TSB with 0.05% SPS, TSB with 0.05% SAS and TSB alone. After 24-hour incubation the mean of the optical densities of each medium were 0.483, 0.482 and 0.459 respectively, showing that SAS does not inhibit the growth of S. typhi. Moreover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inocula and growth(Table 2 and Fig. 1). 3). Each set of media in 5 ml amounts consisting of one tube of TSB with 0.05% SPS, one tube of TSB with 0.05% SAS and two tubes of TSB were inoculated with 8, 64. 640 and 6400 viable counts of bacteria. Then 0.5 ml of fresh normal blood was added to all tubes except for one tube of TSB. Macroscopic observation after 24 hour incubation showed a heavy growth in all tubes except for the tube of TSB plus blood, which showed only a light growth in the tube of the heaviest inoculum. This result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growth of S. typhi is inhibited by som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resh blood, which are counter acted by SPS and SAS(Table 3). Between SPS and S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Table 4 and Fig. 2). With all these results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addition of SAS into a rountine blood culture media may raise the positivity of S. typhi isolation and shorten the incubation period.

  • PDF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Growth Inhibition of the Strain Isolated from Spoiled Wet Noodle

  • Kim, Hyeong-Hyoi;Jeong, Eun-Jeong;Jeong, Do-Yeong;Kim, Yong-Suk;Shin, Do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461-465
    • /
    • 2005
  • To determine the cause of wet noodle spoilag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wet noodles wer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 addition,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organic acid mixture (OA: lactic acid 27.8%, acetic acid 12.0%, succinic acid 1.0%) and sodium dehydroacetate (SD) on the isolated strain were estimated in nutrient broth medium. The isolated strain was Gram-positive, rod shaped, motile, and spore forming. Based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PI 50 CHB-kit test results for the assimilation of 49 carbohydrates,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amyloliquefaciens (92.6%), which is able to degrade starch. Decimal reduction times (D-values) at 100, 105, and $110^{\circ}C$ for spores of B. amyloliquefaciens were 8.5, 5.1, and 2.5 min, respectively, and the z-value was $12.8^{\circ}C$. We estimated that B. amylo-liquefaciens isolated from spoiled wet noodles was a thermophilic species having high heat-resistance. Viable cell numbers in wet noodles and broth medium inoculated with B. amyloliquefaciens were decreased by 2-4 log cycles by combined treatment with 0.03 or 0.05% OA and 0.3% SD. These results revealed that OA combined with SD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agent to inhibit B. amyloliquefaciens in wet noodles.

투농산(透膿散) 및 과루우방탕(瓜蔞牛蒡湯)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In Vitro 항균력 평가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s of Tunong-san and Kwaruwoobang-tang Aqueous Extract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장세란;박영선;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39
    • /
    • 2012
  • Objectives: Recently Ciprofloxacin, used in the treatment of mastitis, showed many serious side effect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whether TNS and KWT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of mastitis by observing the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s of TNS and KWT aqueous herbal extracts against S. aureus. Methods: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NS and KWT aqueous extracts against S. aureus ATCC 25923 were detected using standard agar microdilution methods. In addition, the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curve were monitored at MIC and $MIC{\times}2$ levels. The effects on the intracellular killing and bacterial invasion of individual test materials were also observed using Raw 264.6 and MCF-7.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iprofloxacin, a second generation of quinolone antibiotics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MIC of aqueous extracts of TNS and KWT against S. aureus were detected as ($0.313{\pm}0.107$) and ($0.137{\pm}0.053$) mg/ml, respectively. MIC of Ciprofloxacin was detected as ($0.469{\pm}0.297$) ${\mu}g/ml$ at same conditions. In addition, TNS, KWT aqueous herbal extracts and Ciprofloxacin were also showed marked dosage-dependent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and dramatical inhibitions on the both intracellular killing assays and bacterial invasion using Raw 264.6 and MCF-7 cells were detected. Conclus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NS and KWT aqueous herbal extracts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S. aureus, and they also showed dosage-depend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bacterial growth. And they showed the significant intracellular killing and bacterial invasion effects. It means, KWT and TNS may show more potent anti-infectious effects against S. aureus in viv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