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and survival

검색결과 2,388건 처리시간 0.032초

서해안에서 사육시스템 종류별 참전복 치패의 성장 비교 (Growth Comparis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 Different Culture System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문성용;윤호섭;서대철;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2-246
    • /
    • 2006
  • 서해안에서 사육시스템 종류에 따른 참전복 치패의 성장과 생존율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1년 6월부터 8월까지 연구하였다. 참전복 치패의 일간 성장률은 정체식 수조에서 $148.6{\pm}48.96\;{\mu}m$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살수식 수조에서 $95.3{\pm}21.45\;{\mu}$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존율은 살수식 수조보다 회전식 수조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회전식 수조에서는 50.0%의 높은 생존율을 보인 반면, 정체식 수조에서 38.3%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회전식 수조에서 치패의 성장과 생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라산 구상나무림 복원을 위한 묘목식재시험 (Experimental Planting of the Seedlings for the Restoration of Abies koreana forest in Hallasan)

  • 김갑태;추갑철;고정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7-212
    • /
    • 2001
  • 구상나무의 묘목을 이식하여 활착률을 높이는 방법을 찾고자,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대피소(해발 900m)에서 양묘된 2~6년생 묘목을 식재시기별(하기와 춘기), 지표처리별(코이어 매트. 코이어 네트 및 무처리)로 시험식재하고 활착률과 신초생장량을 조사.비교하였다. 하기식재의 경우 묘목의 연령이 높을수록 활착율이 높았으며, 지표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춘기식재의 경우에는 묘목의 연령이 낮을수록 활착률이 높았으며, 지표처리 및 차이는 없었다. 하기식재된 구상나무 묘목의 신초생장에 있어서는 지표처리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인정되었다. 코이어 매트를 처리한 시험구가 평균 2.11mm로 가장 많이 성장하였고, 대조구는 평균 1.47mm 성장하는 데 그쳤다. 묘령은 신초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며. 상대적으로 3년생 묘목을 코이어 매트 처리한 경우가 2.26mm로 가장 잘 자랐다. 춘기식재된 구상나무 묘목의 신초생장에 있어서는 지표처리나 묘령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염화칼슘과 친환경 제설제가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Chloride and Eco-Friendly Deicer on the Plant Growth)

  • 신승숙;박상덕;김호섭;이규송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7-498
    • /
    • 2010
  • 기존 제설제인 염화칼슘($CaCl_2$)과 유기산 제설제 EFD(Eco-Fridendly Deicer)가 식물의 생존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도로주변의 주요 자생종인 소나무와 참싸리 그리고, 재배종인 열무와 강낭콩 유식물에 대하여 제설제의 농도 구배에 따른 생존과 생장반응을 분석하였다. 네 종중에서 참싸리는 제설제에 가장 민감한 생존반응을 보였다. 소나무의 생장은 제설제 종류와 농도변화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참싸리와 강낭콩의 경우는 $CaCl_2$와 EFD1의 3%이상의 농도에 생장저해를 보였으나, EFD2에 대해서는 생장이 양호했다. $CaCl_2$에 대한 생존 및 생장반응으로 확인된 염에 대한 내성이 있는 식물은 열무와 소나무이었고, 민감한 식물은 참싸리와 강낭콩이었다. 화학약품으로 제조한 EFD1은 식물생장의 저해영향이 컸지만,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한 EFD2는 염에 내성이 약한 식물들에게도 생존 및 생장의 피해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생존, 성장 및 산소 소비율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s of Salinity on Survival, Growth and Oxygen Consumption Rates in the Mysid, Neomysis awatschensis)

  • 지정훈;황운기;강주찬
    • 환경생물
    • /
    • 제21권1호
    • /
    • pp.66-71
    • /
    • 2003
  • 곤쟁이, Neomysis awatschensis의 염분 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40일동안 다양한 염분에 노출시켜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6.7$\textperthousand$ 이하의 염분에서 40일 이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곤쟁이의 체장과 일간 성장률도 40일 이후, 6.7$\textperthousand$이하의 염분에서 10.1% 이상의 염분 농도구와 비교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산소소비율은 40일 동안 10.1~33.6$\textperthousand$에 노출된 곤쟁이의 경우에는 염분처리 전과 비교해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6.7$\textperthousand$ 이하에 노출된 곤쟁이의 산소소비율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6.7$\textperthousand$ 이하의 낮은 염분 농도에서는 곤쟁이의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율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구나 연안지역에서 염분이 6.7$\textperthousand$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 서식하는 곤쟁이의 자연 사망률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동자개 (Pseudobugrus fulvidraco) 치어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Parathion의 영향 (The Toxic Effects of Parathion on Survival and Growth of Juvenile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 조규석;박종호;지정훈;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80-384
    • /
    • 2004
  • The toxic impact of parathion on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juvenile was examined 96 hr $LC_{50}$ value of parathion estimated as 1 90 mg/L. Chronically, bagrid catfish were exposed for 30 days to concentrations of parathion, i.e. 63, 95, 190 and $380\;{\mu}g/L$, representing 3.3, 5.0, 10.0 and $20.0{\%}$ of the 96 hr $LC_{50}$.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ver $63\;{\mu}g/L$ after 10 days. Growth rate,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feed efficiency were reduced in time as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Growth rates of the exposed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28.06-60.63{\%}$ to the control fish, SGR was decresed as $1.50-4.72{\%}$ and feed efficiency was declined as $6.10-11.90{\%}$. It can be concluded that if p. lulvidraco is chronically exposed to parathion over $63\;{\mu}g/L$ concentration, the physiological damages might affect growth factors of the fish.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 자원조성을 위한 양식생물학적 연구 I. 난발생과 유생사육 (Biological Studies on Aquaculture for Resources Enhancement of Protothaca jedoensis I. Egg Development and Larva Reared)

  • 윤호섭;김정;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0-266
    • /
    • 2005
  • 살조개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온별 난발생, 먹이생물, 밀도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살조개의 발생가능 수은은 $15{\~}30^{\circ}C$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D형 유생에 이른시간은 $15^{\circ}C$에서 $30^{\circ}C$까지 각각 39.7, 31.2, 26.8, 26.2시간이 소요되었다 수온별 유생사육에서는 $30^{\circ}C$에서 성장과 생존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4${\~}$6 ind./ml의 밀도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먹이생물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먹이생물농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1{\times}10^4$ cells/ml에서 $218{\mu}m$$45\%$로 가장 높았다.

몇 가지 도자기 분 식물의 계절별 식재시기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Time on the Growth of Pottery Pot Plants)

  • 송천영;문자영;김리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75-87
    • /
    • 2018
  • 도자기 분 식물 식재시기가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청미니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Lindl.), 무늬호랑가시나무(Ilex aquifolium 'Silver Queen'), 무늬산호수(Ardisia pusilla 'Variegata') 및 철쭉(Rhododendron indicum(Satsuki azalea))을 2017년 4월 1일부터 12월 1일까지 6차례(4월 1일, 6월 1일, 7월1일, 8월 1일, 10월 1일, 12월 1일) 식재하여 12주간 생존율 및 생육을 조사하였다. 식재 시기에 따른 생존율에서 청미니 호랑가시나무는 4월, 10월, 12월 식재 시 100%이였으나 6월 식재는 90%, 7월 식재는 50%, 8월 식재는 60%를 보였다. 무늬호랑가시나무 및 철쭉의 생존율도 7월과 8월이 낮은 경향이고 그 외시기는 100%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무늬산호수는 모든 식재 시기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였다. 식재시기별 청미니 호랑가시나무의 초장 생장율은 6월, 7월 및 8월 식재에서 20.0%, 15.5% 및 16.5%이었으나 4월, 10월 및 12월 식재는 13.2%, 12.3% 및 10.7%로 낮았다. 엽수 및 초폭의 증가율도 6월부터 8월 한여름의 식재는 높게 나타났으나 4월, 10월 12월은 낮았다. 무늬호랑가시, 무늬산호수 및 철쭉의 식재시기에 따른 식물생장도 한여름에는 촉진되고 봄과 가을에는 정상적인 생장을 보였다. 따라서 도자기 분화를 계절별로 식재 했을 때, 7월과 8월 한여름의 식재는 식물 생장은 촉진되지만 생존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한여름의 식재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호도나무 유경접목 후 처리가 활착율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s of Post-Epicotyl grafting on the Survival Percentage and Growth in Walnut Trees(Juglans sinensis Dode))

  • 이욱;이문호;정명석;변광옥;현정오;권용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40
    • /
    • 2008
  • 본 연구는 호도나무 유경접목 활착율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접목묘 생산 및 원활한 보급체계 구축을 위하여 접목 후 이식유형 및 처리에 따른 활착율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호도나무 유경접목 후 이식유형에 따른 처리별 평균 접목활착율을 조사한 결과, 접목상 이식 후 비닐덮개 처리구(TPGB1)가 89.02%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처리간 온도와 습도유지 정도에 따라 활착율의 차이가 있었다. 품종별 평균 접목활착율은 KWN-3 개체가 81.59%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처리에서도 높은 활착율을 보였다. 동일처리 내에서도 품종별 활착율의 차이가 심한 것은 접수의 영양상태와 채취부위 등이 접목활착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접목 후 이식유형에 따른 활착묘의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접목묘의 묘고생장 및 직경생장, 접수의 직경생장 등 조사항목 모두 처리별 활착율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묘고생장은 TPGB1이 평균 15.97cm($2.0{\sim}59.0cm$)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나타냈으며 신초지 및 접수의 직경생장에서도 모두 TPGB1 처리구가 평균 7.55mm($1.65{\sim}14.71mm$)과 8.12mm($1.82{\sim}13.58mm$)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다. 접목묘 신초지의 발생위치에 따른 처리별 생장량의 비교분석에서 묘고생장에서만 측아가 12.05cm로 정아의 9.57cm 보다 매우 우수하였으며 동일 처리내 접수채취 부위 및 신초지 발생위치 따른 활착율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외인성 3,5,3'-triiodo-L-thyronin ($T_3$) 효과 (Effects of Dietary 3,5,3'-Triiodo-L-Thyronine ($T_3$) on Growth and Survival Rate in Juvenile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legeli)

  • 강덕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5-222
    • /
    • 1996
  • 감성돔, A. schlegeli 자치어의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T_3$) 경구투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T_3$를 0, 10, 20, 50 및 100 ppm으로 사료에 섞어 경구 투여하였다. $T_3$ 경구투여에 따른 사료섭식률은 10 ppm구와 20 ppm구에서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T_3$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료효율의 경우 10 ppm구가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높았으나, 큰 차는 없었다. 생존율의 경우 100 ppm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 처리구는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장과 체중의 성장은 10 ppm 구가 다른 실험구보다도 높았고, 20 ppm구는 대조구와 거의 같은 수준에 있었으나, 50 ppm과 100 ppm구는 오히려 대조구보다도 느린 성장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만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10 ppm구를 비롯한 모든 $T_3$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T_3$ 투여량이 많아짐에 따라 비만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유기주석 노출에 의한 Mysid, Neomysis awatschensis의 독성 영향 (The Toxic Effects of Mysid, Neomysis awatschensis Exposed to Organotin)

  • 지정훈;김상규;황운기;강주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4호
    • /
    • pp.357-362
    • /
    • 2002
  • Tests for the toxicity of tributyltin (TBT) were conducted on mysid collected from Dadepo beach, Pusan, Korea. The toxic effects of tributyltin on the survival, growth and oxygen consumption of the mysid, Neomysis awatschensis have been evaluated. Mysids were exposed to several concentrations of TBT (0, 0.56, 1.15, 3.07 and 6.12 $\mu\textrm{g}$/L) for 6 weeks. Survival rate was decreased with increases in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 and the reduction of more than 40% occurred at TBT concentration greater than 1.15 $\mu\textrm{g}$/L after 6 weeks.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1.15 $\mu\textrm{g}$/L. Oxygen consumption rate was also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way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o 39,47 and 69% of the control at 1.15, 3.07 and 6.12 $\mu\textrm{g}$/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amination of aquatic environment by TBT has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reduce coastal and estuaries recruitment of mys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