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Finishing Pigs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4초

Meat Quality, Digestibility and Deposition of Fatty Acids in Growing-finishing Pigs Fed Restricted, Iso-energetic Amounts of Diets Containing either Beef Tallow or Sunflower Oil

  • Mitchaothai, J.;Everts, H.;Yuangklang, C.;Wittayakun, S.;Vasupen, K.;Wongsuthavas, S.;Srenanul, R.;Hovenier, R.;Beynen, A.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7호
    • /
    • pp.1015-1026
    • /
    • 2008
  • The influence of dietary beef tallow (BT) versus sunflower oil (SO) on meat quality and apparent digestibility and deposition of individual fatty acids in the whole carcass was investigated in pigs fed diets containing either BT or SO. The diets contained equal amounts of energy in the form of the variable fats and were fed on an iso-energetic, restricted basis. Crude fat in the SO diet was better digested (p<0.001) than in the BT diet. The dietary fat type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arcass and meat quality. The pigs fed the BT diet showed lower (p<0.001) apparent digestibilities for palmitic and linoleic acid, but those of oleic and ${\alpha}$-linolenic acid were not affected. The ratio of deposition in the carcass to intake of digestible fatty acids for the whole feeding period was decreased (p<0.01) for oleic and linoleic acid in pigs fed the SO diet. The pigs fed the SO diet instead of the BT diet had a lower (p<0.05) deposition:intake ratio for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he calculated minimum de novo synthesis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increased for the SO diet, but tha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as not different. In conclusion, the iso-energetic replacement of BT by SO had a marked impact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issues, but did not affect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spite of the marked difference in the deposition of linoleic acid in adipose tissues, loin muscle and the whole body. In addition, it became clear that the type of dietary fat had marked, specific effects on the synthesis and oxidation of fatty acids.

돼지에서 브루셀라병 항체조사 및 Yersinia enterocolitica O:9의 분리 (Seroprevalence of Brucellosis and Isolation of Yersinia enterocolitica O:9 in Pigs)

  • 정병열;변재원;김하영;신동호;박최규;정석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97-702
    • /
    • 2010
  • 2007년 전국 10개의 일반 양돈장에서 다양한 일령의 돼지 578두를 채혈하여 Rose Bengal test 진단액으로 스크리닝을 하고, 양성 혈청에 대해서는 시험관응집반응과 C-ELISA를 적용하여 브루셀라병 항체 분포도 양상과 브루셀라 교차반응 유발균의 분리를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돼지에서 브루셀라병 Rose Bengal 스크리닝 결과, 10주령 미만(양성률; 14.6%, 95% CI; 10.1-19.1)자돈보다 10주령에서 17주령 미만(양성률; 31.3%, 95% CI; 22.8-39.8)과 17주령 이상(양성률; 30.4%, 95% CI; 34.3-36.4)의 돼지에서 양성률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따라서 검사돈 중 139두 (24.0%)에서 Rose Bengal test 양성반응이 나타났다. 양돈장별 Rose Bengal test 양성률 조사에서 6개 양돈장이 10% 미만의 양성률을 보였고, 2개 양돈장에서는 70% 이상의 높은 양성률이 관찰되었다. Rose Bengal test 양성 혈청 139건을 시험관응집반응과 C-ELISA에 적용한 결과, 시험관응집반응에서 100배 이상의 양성이 48건(34.5%)이었으나 C-ELISA에서는 전 두수 음성으로 나타나 돼지 혈청에 대해서는 시험관응집반응 성적과 C-ELISA 성적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시험관응집반응에서 높은 항체가를 보인 돼지의 직장 swab 시료(n=26)에서 브루셀라 균과 교차반응을 유발하는 균종에 대해 균분리를 실시한 결과 E. coli O157:H7, Salmonella N group은 분리되지 않았으나 Y. enterocolitica O:9은 7건(26.9%)이 분리되었다.

돼지 사육밀도가 증체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cking Density of Pigs on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Traits)

  • 김문철;김규일;양영훈;김충남;김훈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1-60
    • /
    • 2006
  • 우리나라의 비육돈 성장단계별 돈사의 소요면적이 제주환경에서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시험이 성장 3단계별로 수행되었고 우리나라에서 추천된 육성돈 돈사의 바닥소요면적 $0.56m^2$을 중간 수준으로 하며 저 및 고밀도 3수준 4반복 난괴법으로 처리하여 일일증체량 및 육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성장단계 1(체중 $43{\sim}65kg$ 범위)에서 중 밀도 구(돈사바닥 소요 면적, $0.56m^2/pig$)의 일일증체량은 저나 고 밀도 구 보다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그러나 성장단계 2(체중$65{\sim}91kg$ 범위)와 3(체중 $91{\sim}105kg$ 범위)에서는 일일 증체량이 처리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 도살시 도체중이나 등 지방 두께는 저밀도구가 중이나 고밀도구 보다 높았다. 최종 육질 등급도 저밀도구에서 높은 추세였다. 결론적으로 볼 때 육성초기(체중 $43{\sim}65kg$ 범위)에는 중간 사육밀도가 다른 두 처리 보다 높은 일당증체량을 보였으나 그 이후는 처리간 사육밀도 차이를 얻지 못 했다.

  • PDF

국내 사육돼지에서의 Yersinia enterocolitica 38 kDa outer membrane protein에 대한 항체가 분포 (Prevalence of antibody against 38 kDa outer membrane protein of Yersinia enterocolitica in swine)

  • 신성재;박주연;최인수;신나리;유한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3-78
    • /
    • 2001
  • Yersinia enterocolitica is an inhabitant in the lower intestinal tract of many domestic and wild animals as well as in the nature. Of the several forms of diseases caused by Y. enterocolitica, an acute enteritis, especially in young children, is the most common form. Infection of the bacteria usually occurs through fecal-oral route by contaminated foods or water, especially mountainspring water. Of the domestic animals, swine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rrier in the human infection. Based on the knowledge, prevalence of antibody against Y enterocolitica was investigated with swine sera collected from Korea for the survey of Y enterocolitica infection in swine. As the first step of this survey, we analyzed outer membrane protein (OMP) profiles of the representative strains of Y enterocolitica isolated from the feces of piglets and mountainspring water in Korea. Thirty-eight kDa OMP was identified as the common OMP regardless of origin, serotype, or biotype of Y enterocolitica isolates. Presence of antibody specific for 38 kDa OMP of Y enterocolitica in 1,076 swine sera collected from November 1999 to October 2000 was analysed with ELISA. Antibody titer in sow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piglets, growing pigs and finishing pigs (p<0.05). Also, there was seasonal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antibody against Y enterocolitica. These results would provide the basic knowledge for controlling the Y enterocolitica infection in human as well as swine.

  • PDF

양돈 사료에 있어 대두의 이용 (Utilization of Soybean for Swine Diets)

  • 유종상;김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56-166
    • /
    • 2007
  • 대두박은 가축사료에 사용되는 식물성 단백질원이다. 대두박은 대두에서 기름을 추출한 부산물로서 높은 단백질 함량과 낮은 섬유질 함량을 가지고 있어 양돈 사료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두는 여러 종류의 항영양인자를 가지고 있어 소화율과 성장능력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열처리하는 방법, HP 100, HP 200 및 HP 300과 같이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 수용성 비단백질 구성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정제대두단백과 비단백태화합물 제거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대두를 적당히 열처리를 하면 대부분의 항영양인자가 파괴되어 성돈에서 피해가 없지만 어린돼지에서는 영양소 소화율을 감소시킨다. 그래서 자돈에서는 유제품과 유사한 사양능력을 가지는 농축대두단백이나 정제대두단백 같은 가공대두제품을 이용하여 급여해야 한다.

  • PDF

Rapid detection of Brachyspira hyodysenteriae in swine intestinal specimens by PCR

  • Dong-Kyun Suh;Yun-Jeong Do;Jong-Su Ha;Kyeong-Hyeon Lee;Dong-Jun Song;Chun-Sik Lee;Young-Chan Bae;Suk-Chan Jung;Won-Pil Choi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5-341
    • /
    • 2001
  • Swine dysentery caused by Brachyspira hyodysenteriae, an anaerobic, beta-hemolytic spirochete, is a severe mucohemorrhahic diarrheal disease that primarily affects pigs during the growing and finishing period. The current standard laboratory procedure to culture and identify B hyodysenteriae takes 3 to 7 days. This report present a rapid PCR for detection B hyodysenteriae in a single reaction using DNA from swine intestinal samples. The PCR produced a specific 421bp PCR product with template DNA purified from B hyodysenteriae, and the accuracy for detection of B hyodysenteriae by PCR results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method was 100% in intestinal specimens. Nonspecific bands were not detected with B innocens, a nonpathogenic common inhabitant spirochete, including other enteric bacterial organisms. This procedure could detect as little as 50 pg of template DNA for B hyodysenteriae.

  • PDF

효모배양물의 수준별 급여가 육성·비육돈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ast Culture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rk in Growing-Finishing Pigs)

  • 박재홍;임오채;나종삼;류경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19-228
    • /
    • 2003
  • 본 연구는 양돈 사료에 효모배양물을 수준별로 급여(0, 0.1, 0.2, 0.4%)하여 총 2회 시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처리구당 3반복으로 반복당 10두씩 총 120두를 공시하여 이유시부터 출하시까지 112일 동안 사양실험을 통하여 생산성을 조사하였고, 실험 2에서는 실험 종료후 도축된 돈육 등심의 품질을 고찰하였다. 효모배양물을 급여하여 112일 동안 성장 단계별로 조사한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효모배양물 급여구와 대조구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소 소화율은 조단백질과 조섬유 소화율에서 효모배양물 0.1과 0.2%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효모배양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돈육 등심의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의 함량은 효모배양물 0.1%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돈육의 pH, 포장 감량 및 조리 감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고, 육색도 대조구와 비교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육의 shearing force는 효모배양물 0.1%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으나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및 brittleness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돈육의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은 효모배양물 급여구와 대조구간에 아무런 차이도 없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육성$\cdot$비육돈사 내에서 환기형태별 환경조사 연구 (Effects of Ventilation Systems on Interior Environment of the Growing-finishing Pig House in Korea)

  • 송준익;유용희;정종원;김태일;최희철;강희설;양창범;이영윤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100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건축되어져 있는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나 무창식 육성$\cdot$비육돈사에 대한 효율 비교분석 연구가 없는 실정으로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와 무창식 육성$\cdot$비육돈사의 환경효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겨울철과 여름철로 나누어 실시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창식 육성 비육돈사는 외부의 기온 변화가 심하더라도 돈사내부의 온도는 외부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여름철 $31.8\~33.8^{\circ}C$, 겨울철 $17.9\~19.5^{\circ}C$를 유지하였으나 개방식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32.1$\~$32.9, 겨울철 $15.8\~16.7^{\circ}C$를 유지하여 온도효율이 낮았다. 2. G2, G4 육성$\cdot$비육돈사는 돼지생활 공간(하부) 지점에서의 공기유속은 겨울철 최소환기($5\%$) 수준으로 하였을 때 0.2$\~$0.3 m/s 였으며, 여름철 최대환기($95\%$) 수준에서는 0.5$\~$0.6 m/s로 분포되어 여름철 및 겨울철의 육성$\cdot$비육돈사내 공기유속이 G1, G3 육성$\cdot$비육돈사보다 양호하였다. 3.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바 G2, G4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13.3$\~$16.6 ppm, 겨울철14.0$\~$~14.6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G1, G3 육성$\cdot$비육돈사는 여름철 14.6$\~$20.3 ppm, 겨울철 20.3$\~$25 ppm을 유지하여 G1, G3 육성$\cdot$비육 돈사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 PDF

양돈 슬러리의 암모니아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mmonia Emission Characteristic of Pig Slurry)

  • 이성현;윤남규;김경원;이인복;김태일;장진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육성 비육돈 슬러리를 이용하여 슬러리의 환경조건에 따라 슬러리로 부터의 암모니아 발생 특성을 분석코자 하였다. 슬러리의 온도와 pH를 조절하여 슬러리로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 분석한 결과 슬러리의 온도가 높을수록 슬러리로 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슬러리의 pH를 5, 6, 7, 8의 4수준으로 조절하여 각각의 온도에 따라 발생하는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결과 pH 5, 6에서는 암모니아 가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pH 7, 8에서는 많은 양의 암모니아 가스가 검출되었고 양돈 슬러리의 pH가 높을수록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슬러리의 온도를 낮추어 주거나 슬러리의 pH를 낮춤으로써 슬러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s of the plane of nutrition for grower pigs on their grow-finis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winter

  • Yang, Bo-Seok;Kim, Myeong Hyeon;Choi, Jung-Seok;Jin, Sang Keun;Park, Man-Jong;Song, Young-Min;Lee, Chul 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1호
    • /
    • pp.1-9
    • /
    • 2019
  •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the plane of nutri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grow-finish pigs under commercial production conditions. The present study was thus addressed to this virtually unanswered question. One hundred and two barrows and 102 gilts weighing approximately 24 kg were fed phase I and II grower diets with a high, medium, or low plane of nutrition (HP, MP, or LP) to approximately 43 and 70 kg, respectively, in 6 replicates (pens). Subsequently, the HP and MP groups were fed the HP and MP1 finisher diets, respectively, the LP group being fed a second MP (MP2) finisher diet (LP1 group). Moreover, 68 LP-grower-fed barrows and gilts were added to the feeding trial and fed the MP1 and LP finisher diets to approximately 95 kg and thereafter, respectively (LP2 group). All MP diets had the lysine:calorie ratios comparable to the RNC recommendations, with < 18% differences between those of the HP and LP diets. The finisher pigs were reared in 16 pens and slaughtered at approximately 115 kg. The gain:feed ratio, but not average daily gain (ADG), was greater for the HP group than for the MP and LP during the grower phase I whereas during the grower phase II, ADG was greater (p < 0.05) for the HP and LP groups vs. MP. During the finisher phase I, ADG was less for the LP (LP1 + LP2) group vs. HP and MP,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 HP and MP groups; the gain:feed ratio was less for the LP vs. MP group. Backfat thickness was greater for the LP vs. HP group.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fresh longissimus dorsi muscle (LM) and the sensory juiciness score for cooked LM were greatest for the LP group, the sensory flavor and tenderness scores being greater for the LP group vs. MP. In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compensatory growth occurred for the LP and MP groups during the grower phase II and finisher phase I, respectively, with fat deposition increased for the LP group and that meat quality could be improved by the use of 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