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19초

초등학생집단 다전문가 협업프로그램에서의 School AMPS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접근의 의미 (Sensory Integr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Elementary Students Collaborative Group Program : Implementing School AMPS)

  • 지석연;이성아;박소연;홍민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7
    • /
    • 2013
  • 목적 : 학교기반 작업치료는 교육전문가와 협업하는 다전문가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진학하는 고위험군 아동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함께 지역사회 기관에서 협업으로 실시하는 집단교육 시간의 작업수행변화를 분석하고, 감각통합 중재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예비 프로그램으로 입학준비 프로그램을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부분적인 협업을 통해 실시한 후, 초등학교 적응프로그램은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전체과정을 협업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6명이었다(7세 5명, 9세 1명). 프로그램 평가는 교육활동 참여에 대해 School AMPS를 실시하였고, 일정하게 구성된 자조활동에 대해 AMPS 수행기술을 관찰하여 중재전략에 활용하였다. 평가를 통한 중재전략과 그에 따라 진행된 변화를 교사와 치료사의 월간 기록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설문을 통해 감각프로파일을 조사하였다. 결과 : 사전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 5명 중 4명이 감각통합적인 어려움으로 수행에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되었고, 이 결과가 본 프로그램 구성에 기반이 되었다. 본 프로그램 구성은 참가 아동이 속한 학년의 교실에서 수업과제(school task)와 집단 활동, 기본 자조활동으로 이루어졌고, 수업과제활동평가 School AMPS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으나 평균 운동기술은 0.14 로짓(logit), 평균처리기술은 0.07 로짓이 향상되었다. 협업적 중재로는 감각 통합이 주된 회복적 중재로 사용되었고, 과제수행을 통해 직접 어려움이 있는 기술을 향상하는 습득적 중재, 교사의 대응전략이나 도구 및 환경 조정을 시행하는 보상/적응적 중재가 적용되었다. 기본적 자조활동들은 도움이 필요한 수준에서 자립적인 수준으로 향상되어서 반복적인 자조활동의 경험과 중재가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개선된 수행기술들 이외에 새롭게 도전이 되는 수행기술이 발생하였고, 이런 문제들은 감정과 행동문제와 더불어 감각통합의 어려움 뿐 아니라 집단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이유 때문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초기에는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참여가 향상될 수 있었다. 그러나, 집단 활동을 통해서 드러나는 초등학생들의 감정조절 문제, 역할 변화에 따른 수행변화, 또래에 대한 반응문제가 드러남에 따라 감각통합적인 중재에서 더 복합적인 개인-환경-과제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였다.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협업은 상호보완적이며 필요한 수행기술을 향상하는 데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School AMPS는 측정 가능한 결과를 일부 제시하는 데 유용하며, 향후에는 질적 분석을 보다 객관화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된다.

  • PDF

단축감각프로파일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y)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0
    • /
    • 200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internal reliability and internal validity for Short Sensory Profile(SSP) and to suggest the useful criteria for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in Korean culture. Methods : The Short Sensory Profile(SSP) was completed by mothers of 304 children typically developing between 3 to 10 years of age in those preschoo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located Seoul and Gyeonggi-do. The total agency for this study was 14 facilities and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July, 2002 to June, 2003. Kim Mi Sun(2001) translated and modified the Short Sensory Profile that Macintoshi developed and the tool for the study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reliability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 1. Internal reliability of the total tests and sections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Cronbach's Alphas. Reliability value of the total tests was .889. 2. For internal validity the correlations range from .131 to .575 in magnitude, suggesting that the sections of the Short Sensory Profile tap relatively unique constructs and support the factor structure developed. 3. The total score of the Short Sensory Profile(SSP) range from 118 to 190, mean and SD was 163.12, 14.87. 4. Of 403 children represented by the survey, 32 children(10.5%) met criteria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based upon parental perceptions. 5. Cut scores were determined by computing the raw score cut scores for -1 SD and -2 SD. The normal group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had score which range from 190 to 149, the probable problem group had score which range from 148 to 134, and the definite problem group had score which range from 133 to 138. Conclusion : Findings from the above study suggest that Short Sensory Profile be the screening tool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within Korean cult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with children with the various sensory processing disabilities(PDD, LD, CP ect,).

  • PDF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Sensory Motor Ability and Behavio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2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3~5세의 발달지연 아동 5명이었고, 실험기간은 2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매 70분), 총 26회기를 실시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임상관찰, Behavior during testing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과후의 임상관찰(Z=-2.023, p=.043) 점수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 변화를 보기 위한 하위 카테고리인 사회성(Z=-2.121, p=.034), 주의집중(Z=-2.032, p=.042)과총B점ehavior during testing (Z=-2.032,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운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기 에는 미흡하며, 사회성 및 주의집중과같은 행동 변화에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개별적인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그룹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내적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변인을 제한하며, 보다 객관적인 자료 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yres의 감각통합중재가 학령전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성향 아동의 운동기능 및 작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yres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the Motor Skills and Occupation Participat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정윤진;강제욱;장문영;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4
    • /
    • 2024
  • 목적 : 학령전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Ayres의 감각통합중재를 적용하여 운동기능 및 작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선별 검사를 통해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부합하는 만 4~6세의 ADHD 성향 아동 중 무작위로 선별한 실험군 10명, 대조군 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도구는 운동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 작업수행을 통한 참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와 목표달성척도(Goal Attainment Scale;GAS)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Ayres의 중심원리를 적용한 개별 감각통합중재를 40분씩, 주 2회, 8주간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군의 차이는 맨휘트니 U 검정과 Cohen'sd 검정을 사용하였고, 실험군 내의 중전 전 후 차이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Ayres의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한 실험군은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운동기능에서 전체 운동영역 점수와 손의 협응, 신체 협응, 근력과 기민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작업참여(PEDI)는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GAS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Ayres의 감각통합중재는 학령전기 ADHD 성향 아동의 운동기능과 작업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대소변 가림 여부에 따른 사회지수 및 감각처리기능 비교 (Comparison of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oilet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이철상;김태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3-142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function between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e aims to provide a basis for the training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hildren with ASD, aged from 4 to 7, receiving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t the H-Child Development Research Center in Busan, South Korea. After recruiting 30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ASD, we interviewed them and we divided their children into completed-toileting group and incomplete-toileting group based on the past researches. We assessed them using the Social Maturity Scale and Sensory Profile. Spearman correlation was used to analyze between the sensory processing score and social quotient.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Sensory Profile scores of the two groups. Results : The social quotient was correlated with the sensory processing score in the most of component as for auditory processing, vestibular processing, touch processing, multisensory processing, orosensory processing, except for visual processing. The groups of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sensory seeking, emotional reactive, oral-sensory sensitivity, and inattention/distractibility in the sensory factor reg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intergroup was observed in any modulation areas, nor in behavioral & emotional response domains. Conclusion : A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ost of sensory processing areas, except for modulation areas and behavioral & emotional response domains. The result revealed that toileting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nsory process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nsory processing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oilet training of children with ASD.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Play in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작업만족도, 감각처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조절장애 아동 5명으로, 실험기간은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감각통합치료는 주 2회(매50분), 총 48회기를 실시하였다.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감각처리를 측정하기 위해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RKPPS), 사회성숙도 검사,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apanese Sensory Inventory Revised(JSI-2)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RKPPS, 사회성숙도, COPM, JSI-2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RKPPS(Z=-2.023, p=.043), 사회성숙도(Z=-2.023, p=.043), 작업수행도(Z=-2.023, p=.043) 및 만족도(Z=-2.032, p=.042), 그리고 JSI-2 중 촉각계(Z=-2.032, p=.042)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촉각계 처리와 같은 작업수행요소뿐 아니라 놀이, 사회성과 같은 작업수행영역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감각통합 평가 및 중재 시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대해 고려해보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 변인을 제한하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유수용성감각운동이 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bility to Balance Sensory Integration Exercise for Adults)

  • 장상훈;이진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6-44
    • /
    • 2017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exercise(PE) on muscle activation and balance of healthy subjects. Methods: 20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proprioceptive exercise(PE, n=10) and general exercise group(GE, n=10). To measure muscle activation of the lower limb and balance. For evaluation of muscle activation(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lateral and medial head), the Electromyogram was used, and balance was measured using the one-leg standing test, OLST. Results: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mius medial head(GM) and Gastrocnemius lateral head(GL) muscle activ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improved in PE group and GE group. an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s(p<0.05). Regarding balance, eye open and close OLST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PE group and GE group. an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s(p<0.05). Conclusion: Proprioceptive exercise can improve muscle activation of the lowe limb and balance in subjects.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 박영주;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3-51
    • /
    • 2015
  • 목적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scale),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의 관계,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은 감각처리특성 중 등록저하와 감각예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감각찾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감각찾기 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해 체계적인 조사와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 (A Study on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With Feeding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 김미수;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40
    • /
    • 2019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107명으로 조산아 51명, 만삭아 56명이었다.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영유아 감각프로파일 2(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2; ITSP 2)를 사용하였고 섭식을 평가하기 위해 아동섭식행동평가(Behavioral Pediatrics Feeding Assessment; BPFA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산아와 만삭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조산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한 결과 감각특성 중 감각예민(p=.019), 하위영역 중 구강감각처리능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산아와 만삭아의 섭식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 조산아의 감각처리특성 중 감각회피(r=.443), 감각예민(r=.374)은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각처리 하위영역 중 일반적 행동(r=.390), 구강감각처리(r=.513)는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감각처리(r=.529)는 섭식문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조산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은 섭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산아의 섭식을 이해하기 위해 감각처리능력이 중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흰쥐 해마의 치상회에서 압박자극 적용이 뇌 신경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ression Stimulation Application on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of the Sprague-Dawley Rats)

  • 유병규;김경미;김창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32
    • /
    • 2004
  • Objective :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hippocampal neural cell proliferation under normal conditions and alcohol intoxication conditions has been recently studied; however, this effect under sensory stimulation application has not clarified yet.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compression stimulation application on hippocampal neural cell proliferation in the dentate gyrus in normal and alcohol intoxicated rats was investigated. Methods : Experimental design: comparative investigation on number of 5-Bromo-2'-deoxyuridine(BrdU)B-positive cells in dentate gyrus 5 days after commencement. Setting: animal laboratory. Participants: male Sprague-Dawley rats of 3weeks old in age weighing $80{\pm}10gm$. Intervention: animal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4 groups; control-rest group(n=8), control-compression group(n=8), alcohol intoxication-rest group(n=8) and alcohol intoxication-compression group(n=8). Animals of the alcohol intoxicated group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alcohol(2g/kg) twice per day for 3 days. All animals were injected BrdU(50mg/kg) intraperitoneally, and rats compression stimulation application groups were compressed using sphygmomanometer cuff times per day, for 5 days following alcohol administration. Measures: mean number of BrdU-positive cells in dentate gyrus was observed via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Compression stimulation appl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BrdU-positive cells in the dentate gyrus. Also, treatment with alcohol for 3 days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compression stimulation application alleviated alcohol-induced inhibition of new cell form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compression stimulation application may help in improvement following alcohol-induced brain damag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