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counselling program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1초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27-2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36-2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 가운데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하위 영역 가운데 충동억제, 정서통제 등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향상이 되면, 청소년들의 재범 확률이 크게 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54-16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영역 가운데 현실성, 준비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결정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문제해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노인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Health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 박정모;한신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0-227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exercise program o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exercise program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2 elderly over a period exercising for 12weeks, 3 days/week. The phone counselling about exercise and health(control group) was applied for 12 weeks for 10-15minutes/day/week. To identify the health status SF-36 was utilized and the GDS was used for depression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2001 to July 2001. Result: The effect of the exercise appeared significant in the subarea of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physical role, mental health, general health) and depression. The effect of the phone counselling was appeared significant in subarea of health status - bodily pain. The effect of the exercise and the phone counselling did not appear significant. Conclusion: The exercise designed for the elderly promotes health in the elderly and further evaluation about the effect on exercise and phone counselling is needed.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집단따돌림 피해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기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ling on th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of School Bullying Victims)

  • 권효진;강영심;김재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46-57
    • /
    • 2008
  • In an attempt to help improve school bullying victim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the victi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x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as bullying victims by their teachers. They had T-scores of 65 or more on one or more scales in the MMPI-A.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was administered twice a week from November 28 to December 30, 2005, totalling ten occasion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between pre- and post-tests. All the scores on six tests given on a period-by-period basis showed significant change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skills between pre- and post-tests at the level of 5%. All the scores on six tests given on a period-by-period basis also showed significant change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school bullying victim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s.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39-6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보호관찰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영역가운데 일반적, 사회적 자아존중감 향상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 환경적 개입을 통해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 회복, 가족기능의 회복을 도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진로성숙 영역 가운데 계획성, 자기이해, 직업지식, 진로준비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독립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준비하는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가 더욱더 관심을 갖고 진로지도에 대해 구체적인 지원을 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자신과 타인을 존중할 줄 알며, 자신의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더욱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대학생 멘토들을 활용해서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아동복지시설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ocial Skill Enhancement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childre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이대규;변상해;문인숙;정의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5권1호
    • /
    • pp.113-127
    • /
    • 2010
  • 본 연구는 시설 아동에게 맞는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아동선택 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희망하고 시간이 가능한 아동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6주 동안 총 12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시설 아동의 자기주장, 협력, 자기 통제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기주장, 협력, 자기통제 행동 반응이 증진되어졌음을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시설 현장에 활용 할 수 있으며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부적응 병사들에 대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Maladjusted Soldiers)

  • 박신영;이은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33-642
    • /
    • 2017
  • 본 연구는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육군 부적응 병사들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연구로 단일군 전 후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bigcirc}{\bigcirc}$부대 ${\bigcirc}{\bigcirc}$캠프에 참가하고 있는 군 복무부적응 병사 8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10월 15일에서 10월 21일까지였다. 교류분석 프로그램은 1주일에 2회, 1회당 240분(2회기)으로 2주 동안 총 8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실험군에게 사전-사후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을 이용하였고, 연구결과에서 실험군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개인역량(Z=-2.366, P=.018). 개인역량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Z=-2.047, P=.041), 긍정성(Z=-2.058, P=.040)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개인역량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Z=-1.179, P=.238), 군 입대 동기의 자발성(Z=-1.518, P=.129)과 의사소통 능력은 평균점수가 높아지긴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Z=-1.524, P=.128).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류분석 집단상담이 개인역량, 자기효능감, 긍정성을 향상시켜 군 적응을 돕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호스피스 사이버상담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소고 (Operating Report of a Hospice Cyber Counselling Program)

  • 유지수;이윤정;강세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9권1호
    • /
    • pp.30-34
    • /
    • 2006
  • 목적: 본 연구는 말기 질환자 및 가족들의 삶의 질 증진 차원에서 호스피스 사이버 상담을 위한 인력 훈련 및 홍보 시행을 통하여 호스피스 사이버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호스피스 사이버 상담 제공을 위한 상담 인력 훈련, 홍보 전략 구축, 운영 및 효과 평가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결과: 2004년 10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약 9개월 동안 사이버 호스피스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회원가입을 한 대상자는 총 72명으로 20대가 17명(23.6%), 30대가 12명(16.7%), 40대가 17명(23.6%), 50대 이상이 13명(18%)를 차지하였다. 진단명 별로는 암과 관련된 질환이 90%를 차지하였으며, 상담 내용과 상담신청자와의 관계는 가족이 90%를 차지하였으며, 10%만 본인이었다. 회원 중 30명이 온라인 상담을 이용하였으며 상담 건수는 35건이었다. 상담 건수 및 상담 이용 회원수는 적었으나, 상담 이용 후 지속적인 상담원과의 연계 및 사이트 활용의 경향을 보였다. 결론: 말기 질환자 및 가족들의 삶의 질 증진, 호스피스 사업 활성화의 기초 활동으로써 호스피스에 대한사이버 상담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운영하였다. 호스피스 사이버 상담의 활성화를 위해 대중 매체 및 언론을 통한 호스피스 사업에 대한 기본적인 홍보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호스피스에 대한 교육도 계속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을 위한 금연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송미숙;부선주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7-121
    • /
    • 2017
  • Objectives: Given that the expansion of smoking cessation regulations in Korea generates great demand for smoking cessation services,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be up skilled to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obacco control.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to try to find possible ways to incorporate the smoking cessation education in their regular course program. Methods: One group pre- & 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70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S and D city.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a four-hour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increasing knowledge, competency, and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counselling.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s and paired t-tests. Results: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counselling produced a substantial effects in terms of knowledge, competency, and especially for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counselling. Conclusions: Smoking cessation advices and support from health professionals are key aspects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moking cessation. Incorporating the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n the regular baccalaureate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may help increase the involvement of nurses in cessation counseling upon grad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