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3.633

Effect of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Maladjusted Soldiers  

Park, Shin-Young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Lee, Eun-Mi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influence on personal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for maladaptive soldier. 8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pre and post test was performed.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group counselling program by Transactional Analysis(TA) sessions during 4day, which one session offered for 240 minutes' 8 hour a da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ling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 revealed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positively influence on personal competence(self-efficacy, positive character) for maladaptive soldier. This study has a meaning and great achievement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program in practical and clinical field, which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sonal competence, self-efficacy, positive character.
Keywords
Maladaptive Soldier; Transactional Analysis; Personal Competence; Communi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G. M. Gazda, E. J. Ginter, and A. M. Horne, Group counseling and group psychotherapy : Theory and application, Allyn and Bacon, 2001.
2 우재현, 임상교류분석(TA)프로그램, 정암서원, 2007.
3 이영호, 박성애, "TA집단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 동기와 변화전략. 금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제9권, 제4호, pp.1585-1600, 2008.
4 전정연, 외식기업의 핵심역량 개인역량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패밀리레스토랑 중심으로, 세종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5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DOI
6 홍성례, "청년기 남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6호, pp.71-87, 2011.   DOI
7 M. J. Steven and M. A. Campion, "The knowledge, skilling ability requirements for teamwork :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Vol.20, pp.503-530, 1994.
8 송경재, 한민, 배준성, 한성열, "군대 "꼭 가고 싶습니다", "끌려갑니다"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9 최은연, 의사소통 기술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L. Navran,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age," The Family process, Vol.6, pp.173-184, 1967.   DOI
11 모의희,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2 박수희, 자살예방교육이 노인의 우울, 자아 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서혜석, "신세대 병사의 대인관계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교정복지연구, 제11권, pp.97-116. 2008.
14 최응용, 홍종관, 김춘경, 이수연, "대구지하철참사 유가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적 위기상담의 효과," 상담학연구, 제5권, 제3호, pp.505-518, 2004.
15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6 서혜석, 김정은, "육 해군병사의 진로발달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6호, pp.25-43, 2009.
17 정원철, 박영주, "관심병사의 군 생활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 제19권, 제11호, pp.91-115, 2012.
18 장경숙, 신세대병사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가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9 유종훈, 김완일, "상시 비전캠프 제도가 복부 부적응 병사의 군 생활 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군상담학회, 제4권, 제1호, pp.15-30, 2015.
20 김상균, 송병호, 강성록, 김윤나, 이정원, "군복무 부적응자 인권상황 및 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2.
21 최혜란,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부적응 병사의 인간관계 증진에 미치는 영향," 교육 종합연구, 제9권, 제1호, pp.103-12, 2011.
22 김정은, 병사의 군생활 적응을 위한 개인역량과 사회적 관계망 연구-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3 서혜석, 김정은, "해병대 부적응 병사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교류분석 집단상담 중심으로," 제7권, 제1호, pp.5-30, 2014.
24 윤민재, "군인 인권과 사고(자살)예방프로그램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제8권, 제1호, pp.79-109, 2008.
25 정현주, 권재철, 전은령, 차영은, 민경옥, "한국적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전입신병의 인간관계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군진간호연구, 제32권, 제2호, pp.82-95, 2014.
26 김천환, 전종순, "군 조직 내 의사소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7권, 제2호, pp.207-226, 2010.
27 최권태, 김창곤, "부적응 병사들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군사회복지학, 제8권, 제1호, pp.69-103, 2015.
28 한상황, 송미림, "군 병사 복무부적응 식별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 제4권, 제1호, pp.49-83, 2011.
29 한인영, 이지영, 구승신, "군 병사들이 복무 중 경험한 외상적 사건과 PTSD증상, 우울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군사회복지학, 제2권, 제2호, pp.25-51, 2009.
30 정원철, 지향숙, "군 생활스트레스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311-350, 2014.   DOI
31 서혜석, 이대식, 해병대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해병대 사령부, 2013.
32 김미현, 김민호, 이영호, "교류분석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상태와 생활자세 변화에 미치는 효과,"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제6권, 제1호, pp.25-47, 2009
33 E. Berne, Games people play - The psychology of Human Relationship, NY: Grove press, 1964.
34 이성태, 이해중심 TA와 재경험중심 TA프로그램이 자율성과 생활 자세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35 임원선, "교류분석의 스트로크기법으로 집단압력을 극복한 청소년 상담사례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제7권, 제4호, pp.1-26, 2011.
36 서혜석,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 예수대학교 정신건강상담소, 2011.
37 서혜석, "도구를 활용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래밍 대학생의 자율성, 생활자세, 가족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인간이해, 제34권, 제2호, pp.43-59, 2013.
38 김유리, 교류분석이론을 기반으로 한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 또래상담자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기술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9 방소희, 이동훈,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 연구, 제14권, 제4호, pp.2641-2660, 2013.
40 박영주, 정원철, "병사의 군 부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2호, 제2호, pp.73-93, 2006.
41 차명진, 김소은, "교류분석이론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8권, 제2호, pp.73-98, 2013.
42 김세원, 신창식, "군 병사의 군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216-227, 2015.   DOI
43 조병금, 박민수, "고등학생의 자기 존중감 및 대, 관계 향상을 위한 TA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제5권, 제1호, pp.27-5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