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Coefficient

검색결과 964건 처리시간 0.029초

수도권 일부지역의 실내 스크린골프장의 공기질 평가 (A Study on the Air Quality of Indoor Screen Golf in Seoul)

  • 조호동;노재훈;김치년;심상효;원종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2-202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severity of indoor air pollutants in screen gold arenas which were not sufficiently investigated in Korea up to now and to help users to enjoy golf in more pleasant indoor environment. The indoor environment survey was conducted with 21 screen gold arenas in Seoul from Oct. 28, 2008 to March 13, 2009. Indoor air quality was measur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Air Pollution Process Test Method specified bu NIOSH(2005). The screen golf arenas are mostly in the underground floors in this study, 4 on the ground floors(19.0%) and 17 in the underground floors(81.0%). In the air in screen golf arenas, the geometric mean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were 2.92 ${\mu}g/m^3$, 70.34 ${\mu}g/m^3$, 14.00${\mu}g/m^3$ and 31.43 ${\mu}g/m^3$, respectively, which exceeded the exposure limites. Each arena exceeded the exposure limit for one pollutant each. However, styrene didn't exceed the limit as 8.09 ${\mu}g/m^3$. Furthermore, the geometric mean of formaldehyde was 63.11${\mu}g/m^3$ and 7 arenas exceeded the limit. The geometric mea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was 428.41${\mu}g/m^3$ and 10 arenas exceeded the limit. For the density distribution of pollutants by location,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 and formaldehyde showed higher density distribution in underground spaces, for which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However, PM10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sity of pollutants in the screen golf arena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thylbenzene and styrene was 0.980, very significant correlation(p<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density of toluene, ethylbenzene, xylene and styrene and that of VOCs were 0.543, 0.434, 0.451 and 0.459, respectively, which demonstrat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동해에서 해색센서를 이용한 CDOM추정 알고리즘 검증 (Verification of CDOM Algorithms Based on Ocean Color Remote Sensing Data in the East Sea)

  • 김윤정;김현철;손영백;박미옥;신우철;강성원;노태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1-434
    • /
    • 2012
  • 동해에서 CDOM의 광학적 특성과 순환을 이해하기 위하여 MODIS의 원격탐사반사도($R_{rs}$)를 이용한 기존의 CDOM 흡광계수 추정 알고리즘들(Semi-Algorithms (3개), Empirical-Algorithms (3개))을 현장관측 자료와 비교 평가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총 7번의 현장 관측 자료는 연안 해역에서부터 외양의 다양한 해양환경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 동해에서 Quasi-Analytical Algorithm (QAA_v5) 이 현장 $a_{CDOM}$(412) 값을 가장 유사하게 추정하였다. Quasi-Analytical Algorithm (QAA_v5) 알고리즘을 기준으로 Semi-analytical 알고리즘은 과소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Empirical 알고리즘은 과대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a_{CDOM}$(412)의 값이 높은 곳에서 위성관측 엽록소-a (Chlorophyll-a)의 값도 높았다. 이 결과는 CDOM이 엽록소-a의 함량 추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 결과는 세계최초 정지궤도 해색위성인 GOCI의 CDOM 알고리즘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전과 답에서의 콩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Potentials of Soybeans in Upland and Paddy Field)

  • 황영현;박상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6-342
    • /
    • 1993
  • 1. 개화성기까지의 지상부와 지하부 대부분 생육형질은 전에서 보다 답에서 더 큰값을 보였으나, 근류수는 다에서 현저히 작아 윤환답 콩재배에서는 근류접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진다. 2. 조파 단작(4월 20일 파종)으로 윤환답에 콩을 재배하면, 만파재배시 양저바이러스(SMV-N)에 저항성을 보였던 대부분 현재의 장려품종들이 심하게 이병되었다. 그러나 경미한 모자이크바이러스(SMV) 이병정도를 보이는 일부 장려품종(장백콩과 은하콩 등)과 대부분의 도입품종들은 양저바이러스에 전연 이병이 되지 않고 대부분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3. 콩의 토양별 평균 종실수량은 전보다 답에서 높았으나, 동일 토양내의 파종시기 또는 동일 파종기내의 토양간 평균 수종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Ha당 4톤 이상의 수량을 보인 품종은 답에서는 Williams79, 남해콩, Union 및 SS77053이었고, 전에서는 Union뿐이었다. 공시품종중 장엽콩과 단엽콩은 답의 모든 파종기에서 종실수량이 ha당 3톤 이상이고 변이계수가 10% 이하로 안정 다수이었다. 5. 답전윤환답의 조파에서 다수성인 품종들은 황금콩에 비하여 경장이 크고 주경전수가 많으며 분지수가 SS77053을 제외하고는 적은 일반적으로 초기발아 및 입묘에 유리한 중소입종들로 내병성, 특히 양저 바이러스에 저항성이 높은것들이었다.

  • PDF

Strand법(法)에 의한 임분재적추정(林分材積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tand Volume Estimation by Strand Method)

  • 이흥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187-192
    • /
    • 1991
  •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법(推定法)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경기(京畿), 강원(江原), 충남북(忠南北), 전북(全北),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낙엽송조사지(落葉松調査地) 380개소(個所)를 재래(在來)의 매목조사법(每木調査法)인 표준지법(標準地法)으로 조사(調査)하고, 그중 20개소(個所)에서 덴드로메타, 스피겔 릴라스코프, 텔레리라스코프를 이용(利用)하여 Plotless Sampling의 일종(一種)인 Strand법(法)으로 조사(調査)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표준지법(標準地法)과 Strand법(法)에 의한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결과(推定結果)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며, 양방법(兩方法)은 Y=bx($b{\fallingdotseq}1$)의 관계(關係)가 있었다. 2. 기계(機械)와 측정자(測定者), 밀도(密度)와 기계(機械), 경사(傾斜)와 기계간(機械間)에도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임분재적(林分材積)에 깊은 관계(關係)가 있는 제일(第一) 큰 인자(因子)는 단면적(斷面績) 수고(樹高)이고, 다음으로 임분(林分) 형상고(形狀高), 평균수고(平均樹高), ha당(當) 단면적(斷面積)의 순(順)이었다. 4. 단면적(斷面積) 수고(樹高)에 의한 임분재적식(林分材積式)은 log V=-0.0375+0.8910 log GH -1.5946 1/GH 이었으며, 이 식(式)에 의하여 임분재적표(林分材積表)를 조제(調製)하였다. 5. 실측재적(實測材積)과 추정재적(推定材積) 관계(關係)도 Y=bx($b{\fallingdotseq}1$)의 관계(關係)가 있었고 추정오차율(推定誤差率)은 4.5%였다.

  • PDF

보강날개로 보강된 수중잠제 지지말뚝의 보강효과 분석 (The Reinforcing Effect of Blade Attached Pile to Support Submerged Breakwater)

  • 정상섬;홍문현;고준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863-87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보강날개로 보강된 수중잠제 지지말뚝의 보강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중전이거동을 분석하였다. 먼저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말뚝의 변위 및 하중전이곡선(지반반력) 결과로부터 보강효과를 확인하고, 하중전이곡선에서 극한저항력 비율로 보강말뚝의 수평 및 인발하중에 대한 보강계수를 산정함으로써 보강효과를 정량화 하였다. 산정된 보강계수를 쌍곡선 하중전이함수의 극한저항력 $p_u$$t_{max}$에 곱해서 보정상수(fitting parameter)로 적용하여 보강효과를 고려한 하중전이함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하중전이함수가 수치해석 결과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비교하여 보강말뚝의 하중전이거동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하중전이함수를 하중전이법 해석에 적용하여, 실제 수중잠제를 해석한 결과 보강말뚝의 전단력, 휨 모멘트, 변위가 무보강말뚝보다 작게 발생하고, 지반반력은 더 크게 발생하여 비교적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쇄석다짐말뚝으로 보강된 해상 연약지반의 융기특성 사례분석 (Case Study on Upheaval Characteristics of Marine Soft Ground Improved by Granular Compaction Piles)

  • 여규권;최용규;김홍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C호
    • /
    • pp.137-145
    • /
    • 2011
  • 해상에서 쇄석다짐말뚝(GCP) 타설로 발생하는 해저지반의 융기량을 현장 시공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경험식들에 의해 융기량을 추정하고 시공단계에서 수심측량을 통하여 얻은 실제 융기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측 융기고와 경험식에 의한 융기고를 분석한 결과, 치환율에 따라 융기고가 뚜렷이 증가하였고 실측치가 경험식에 의한 추정치에 비하여 컸으나 비교적 국내 건설신기술품셈(한국건설신기술협회, 2003)에 제시된 경험적 방법이 실측치에 근사하였다. 융기고는 개량심도 보다는 치환율에 보다 민감함을 알 수 있었고, 건설신기술품셈(2003)에서 제시한 방법의 경우 치환율 25%에서 개량심도에 따른 융기고 증가추세가 실측추세와 매우 잘 일치하였다. 경험식에 따른 융기량을 융기율로 비교한 결과, 건설신기술품셈(2003)의 제안식으로써 산정한 융기율이 Shiomi and Kawamoto(1986)의 제안식에 의한 값보다 크게 나타나 비교적 실측치와 근접하는 경향을 보이고 특히, 치환율이 작은 경우에 두 식 사이의 차이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DRASTIC과 지하수 수질에 의한 창원시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Assessing Groundwater Vulnerability Using DRASTIC Method and Groundwater Quality in Changwon City)

  • 함세영;정재열;김무진;김인수;황한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6호
    • /
    • pp.631-645
    • /
    • 2004
  • 본 연구는 DRASTIC 기법과 지하수 자료를 이용하여 창원시의 공단지역과 주거상업지역의 지하수 오염취약성을 평가하였다. DRASTIC 기법은 원래 오염원이 지표에 있으며 강우의 침투와 함께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유입되는 조건에 적용시켰었다. 공단지역은 대체로 주거상업지역보다 높은 DRASTIC 평가지수를 가진다. 그러나, 주거상업지역 중 용지동지역은 연구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DRASTIC 평가지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지하수 오염정도가 높다. 이러한 사실은 도시지역의 지하수 오염이 과잉양수와 이에 따른 지하수위 하강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것을 지시한다. 각 동별 최소 DRASTIC 평가지수와 먹는물 수질 부적합의 상관계수는 0.4로서 비교적 낮다. 그러나, 각 동별 최소 DRASTIC 평가지수와 지하수 사용량의 상관계수는 0.70이고, 각 동별 최소 DRASTIC 평가지수와 지하수 공 분포밀도의 상관계수는 0.87로서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도시지역에서 지하수 오염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DRASTIC 평가요소뿐만 아니라 지하수 사용량과 지하수 공 분포 밀도와 같은 인위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KOMPSAT-3 위성영상의 RPC보정을 위한 국가 통합기준점의 활용 (The Use of the Unified Control Points for RPC Adjustment of KOMPSAT-3 Satellite Image)

  • 안기원;이효성;서두천;박병욱;정동장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39-550
    • /
    • 2014
  •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정밀한 DEM과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해서 지상기준점으로 기하학적인 처리와 보정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우리나라에는 국토지리정보원에 의해 수천 개의 국가 통합기준점이 국토 전역에 걸쳐 설치되고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통합기준점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가기준점발급시스템에서 쉽게 검색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웹 포털사이트의 스카이뷰와 로드뷰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통합기준점 검색과 식별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RPC 보정을 위한 통합기준점 효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 개 통합기준점(영상의 단순 이동 보정용 기준점으로 활용함) 만으로 KOMPSAT-3 영상의 제공 RPC를 보정하였다. 그 결과, RPC 보정후의 위치결정 오차는 거의 한 화소와 1m 내외를 보였다. 이 실험을 통해, 위성 또는 항공영상에 의한 매핑 작업을 통합기준점이 지상 기준점 측량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 지하철 객차내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평가 (A Study of PM levels in Subway Passenger Cabi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노영만;박화미;이철민;김윤신;박동선;김석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20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of PM($PM_{10}$, $PM_{2.5}$, $PM_{1}$) and it's affecting factors in the subway from line 1 to line 8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Sep. 1 to 30, 2005. PM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the entrances and centers in subway passenger cabins by a light scattering equipment. And the affecting factors to PM were estimated based on the number of passenger, door open and close and running area etc. The geometric means of $PM_{10}$, $PM_{2.5}$ and $PM_{1}$ concentration in Seoul subway passenger cabins were $214{\mu}g/m^3$, $86.6{\mu}g/m^3$ and $27.0{\mu}g/m^3$, respectively. These mean concentrations in subway carriage were higher when it ran on an underground track than on a ground track. And running time(7AM-9AM, 11AM-13PM, 6PM-8PM)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concentrations of $PM_{10}$, $PM_{2.5}$ and $PM_{1}$. Daily profile of $PM_{10}$ and $PM_{2.5}$, $PM_{1}$ expressed as an 10 minutes average, showed similar variation pattern over day period. In correlation analysis, significant relations among $PM_{10}$, $PM_{2.5}$ and $PM_{1}$ were detected(p〈0.01). In particula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M_{10}$and $PM_{1}$ was highly significant(r=0.94).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ty the sources of PM in subway cabins and to compare pollutants concentration among subway lines.

GOCI 자료를 이용한 고해상도 에어로졸 광학 깊이 산출 (Retrieval of Aerosol Optical Depth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using GOCI Data)

  • 이서영;최명제;김준;김미진;임현광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1호
    • /
    • pp.961-970
    • /
    • 2017
  • 위성을 이용한 에어로졸 원격탐사에서 높은 공간해상도의 정보에 대한 요구가 많았음에도 그동안 단일화소가 갖는 물리적인 에어로졸 신호의 약화와 구름 등에 의한 오차 증가로 인해 산출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GOCI 자료를 이용하여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 캠페인 기간인 2016년 5, 6월에 대해 GOCI의 최대 공간 해상도인 500 m에서 고해상도 에어로졸 광학 깊이를 산출하였다. 기존의 GOCI 알고리즘은 6 km 해상도로 에어로졸 산출물을 제공해왔으며,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고해상도 산출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에어로졸 모형, 조견표 구성 및 역추산 과정은 동일하게 이용되었으나, 높은 해상도에서의 구름 제거 방법이 개선되었다. 그 결과, 몇 가지 사례에 대하여 6 km 산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500 m 산출물의 분포 및 크기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공간 해상도가 높기 때문에 더 많은 화소에 대하여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 작은 규모의 구름 주위에서도 산출이 되었고, 에어로졸의 공간적인 변화를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정확도 검증을 위하여 지상 관측 장비와 비교를 하였을 때 공간해상도가 크게 좋아졌음에도 상관 계수가 0.76, 기대 오차 내에 들어오는 비율이 51.1%로 6 km 산출물과 유사한 검증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