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ing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6초

Evaluation Indicators for Green Libraries and Library Eco-friendliness

  • Noh, Younghee;Ahn, In-J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51-77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eco-friendly factors on the aspects of library service, materials provided or handled by the library, and programs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s. Furthermore, it was setup to perform a trial evaluation for the eco-friendliness of the library based on the determined evaluation standards by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question of 'Do employees of the library think that establishment of green libraries is necessary?', the employees of the libraries responded yes by 65.52%, but only 4.6% responded that it would not be necessary. Second, in analyzing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areas of green libraries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the libraries' employees, they were ranked in order: the indoor environment, energy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aterial and resource areas. Third, 11 areas were determined to evaluate the level of greening in the libraries; the highest averages were scored 510 for the area of energy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415 for the area of library resource, and 320 for the area of indoor environment. Last, the libraries were graded based on actual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to measure the level of greening, two libraries were graded as Diamond, the highest grade, accounting for 15.39% of all libraries; Gold and Silver grades accounted for another 15.39%, together five Certified graded libraries accounted for 38.46%, which was the highest rate among the libraries. Any library scoring less than 20% when compared to the full score was graded as Non-certified, and one library, which scored 15.06% fell into this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et up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green libraries in our country, as well as reference for the employees of libraries in constructing or remodeling library buildings, establishing service infrastructure,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and planning library duties in an eco-friendly way.

산성 전해수가 보리(Hordeum vulgae L.) 엽록체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idic Electrolytic Water on the Development of Barley Chloroplast)

  • 정화숙;송승달;노광수;송종석;박강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55-261
    • /
    • 1999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ong acidic electrolytic water on the chloroplast, barley leaves were treated with strong acidic electrolytic water(pH 2.5).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ak acidic electrolytic water on the chloroplast development, etiolated barley leaves were treated with weak acidic electrolytic water(pH 6.5) during greening period. Chl contents, Fo, Fv, and Chl fluorescence quenching coefficient in barley leaves were measured during and after treatment of acidic electrolytic wat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Chl a, b, and carotenoid were decreased with treatment of strong acidic electrolytic water. Ch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5 min.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strong acidic electrolytic water dissimilate the Chl and so that the value of Fo was slightly increased. The strong acidic electrolytic water damaged PS II because Fo was increased and Fv, Fm, and Fv/Fm ratio were decreased. qP, qNP and qE we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qI was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But Chl content and Chl fluorescence patterns were a little changed as the pH increase over 4.0 Chl a, b, and carotenoid were increased with treatment of weak acidic electrolytic water during greening period. Ch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control after 12 hours greening.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weak acidic electrolytic water accelerated the chlorophyll synthesis. And the weak acidic electrolytic water accelerated PS II development because Fv, Fm, qP and Fv/Fm ratio were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 PDF

레몬 하우스 재배에 있어 시기별 과즙의 Hesperidin 함량변화에 따른 적정수확 기준 (Index of Optimum Harvest Time as Seasonal Hesperidin Content Changes for Citrus lemon Juice in Plastic Film House)

  • 이광주;한상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5-59
    • /
    • 2013
  • 본 연구는 레몬과즙의 헤스페리딘 함량이 가장 많은 수확시기 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수관내부 및 외부에 착과된 과실에 대해 시기별 헤스페리딘 함량을 착색시기 및 과중과 연관시켜 평가했다. 그 함량은 과실생장에 따라 달랐으며 수관내부 및 외부에 있어 착색이 막 시작되는 개화 후 162일과 176일째에 가장 많았다. 그리고 수관외부가 내부보다 많았다. 이상의 결과는 레몬과실의 헤스페리딘 함량이 가장 많은 적정 수확 시기는 착색이 막 시작이 되고 과실의 생장이 멈추기 직전이라는 것을 나타냈다.

도시 녹화를 위한 질소고정 균 선별 및 식물 생장 평가 (Nitrogen Fixation Screening and Plant Growth Assessment for Urban Greening)

  • 정순환;이상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4-161
    • /
    • 2018
  • 현재 도시의 도시열섬현상을 완화시키는 방안으로 도시 녹화사업 및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질소고정균을 분리하고, 식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먼저 질소고정 균을 분리하기 위해, 질소원이 없는 배지에서 enrichment를 실시했고, 질소원이 제한된 배지에서 높은 성장을 보인 colony를 분리하여 순수분리 했다. 순수 분리된 균은 ARA를 통해 acetylene이 90% 이상 감소되고, ethylene 생성을 통해 nitrogenase의 활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했다. 재현성이 확인된 Cedecea sp. MK7과 Enterobacter sp. Y8을 선별했다. 선별된 질소고정 균을 perennial rye grass의 성장에 적용한 결과 건조중량이 18.65 mg인 대조군에 비해 34.80 mg (186.60%)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식물 성장 후, 질소고정 균이 접종된 토양의 미생물 군집 분석은 대조군과 유사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녹화 시스템에 질소고정 균을 이용하여 식물 성장을 촉진한다면 그 효율이 증대될 것이다.

남부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상록벽면녹화 공법 개발 -경남 통영시를 사례로- (Development of Green Retaining-wall System with Native Evergreen Plants Corresponding to the Southern Region - A Case Study of Tongyeong City in Gyeongsangnam-do -)

  • 강호철;김광호;허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2-47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propose a green-wall system with evergreen plants for urban greening of Tongyeong City. To achieve these goals, the requirements and possibilities for wall greening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considering the location, topography, and climate of Tongyeong City. Existing walls were analyzed and then a suitable green wall system is proposed. Tongyeong City and its 151 islands covers the central and the southern parts of the Goseong peninsula. Most of the land is covered with hills and mountains; $43.9\%$ of the land area has a slope greater than $15\%$ and most hills and mountains near the urban area have a slope of more than $30\%$. As a result of the topographical properties, concrete retaining walls can often be seen along the streets in urbanized areas. These retaining walls are not only unattractive, but they also creat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us should be replaced with native evergreen plants. Options for replacing the retaining walls include evergreen vine-plants such as Hedaa spp. and Euonymus radicans, but native evergreen shrubs such as Pittosporum tobira, Nandina domestica, Raphiolepis umbellata, Ilex cornuta, flex crenata, Fatsia japonic, and Aucuba japonica may be a more attractive option. Current wall conditions are unsuitable for planting vines, therefore, a reservoir-drainage-type plant box filled with a light artificial substrate is required for greening these concrete retaining walls. These might be irrigated in the dry season and fertilized annually by an appropriate system. These plant boxes could be attached along the entire walls. An experiment investigating effects of substrates and bark-chip mulching on the growth of Hedera spp. showed that the mixture of cerasoil and field soil(v/v, 4:6) was superior to field soil alone and to the mixture of perlite small grain, large grain, and field soil(v/v/v, 2:2:6). Bark-chip mulching tended to increase the growth of Hedera spp..

심리적 인지특성을 고려한 교량하부 녹화유형별 선호요인 분석 (Preference Factor Analysis of Greening Plan for Under Space of Elevated Rail Track Considering Cogn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 정성관;최철현;신재윤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56-264
    • /
    • 2013
  • 본 논문은 경전철 건설로 인한 도심의 경관훼손 저감 및 쾌적한 가로경관을 위한 교량하부녹화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대구광역시 도시철도 3호선이 건설되는 구간이며, 고층아파트 및 상업시설이 밀집된 지역을 사례지로선정하였다. 교량하부 녹화방식을 유형화한 뒤, 유형별 선호도의 차이와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하고자 3차원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각 장면을 제작하였으며, 경관형용사를 이용하여 설문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화목열식유형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교량경관에 대한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화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량하부의 효율적인 녹화계획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모듈박스를 이용한 저토심 무관리형 옥상녹화 - 토양 배합비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Roof Greening applied a Sallow Green Roof Module System Out of Management - Focused on the Effects on the Growth of Plants by Difference of Soil Mixture Ratio -)

  • 강태호;조홍하;이홍;강성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91-98
    • /
    • 2012
  • 본 연구는 저토심 무관리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위한 토양배합이 세덤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생육 적정성 토양배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식생모듈박스를 이용하여 토심 7cm, 5종 토양배합비가 있어 2010년 12월부터 5층 옥상에서 실시하였다. 식물의 생육현황은 P5C7P2V1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P10C7P2V1과 P1P1V1, P1과 C1의 생육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경과, P5C7P2V1의 토양배합비에서 효과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나, 도시내 대면적 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토양배합비로 판단된다.

감자의 세척유무 및 저장온도에 따른 녹화 및 상품성 유지 기간 구명 (Determination of Greening and Shelf Life of Potato Based on Washing and Storage Temperature Conditions)

  • 김수정;손황배;홍수영;남정환;장동칠;서종택;김율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6-72
    • /
    • 2017
  • 감자에서 녹화는 유통과정에서 괴경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품질 지표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감자 품종인 '수미'의 수확후 세척유무 및 보관온도에 따른 녹화와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Hunter a값은 세척하지 않은 감자(대조구)에 비해 세척한 감자가 a값의 변화가 심하였으며, 특히 세척감자의 경우 고온($20^{\circ}C$)보다 저온($4^{\circ}C$) 보관할 경우 실온저장 3일부터 -0.8로 시작하여 15일에 -2.5로 떨어져 녹화가 심하였다. 색차값 역시 세척하지 않은 감자(대조구)보다 세척감자에서 실온저장 3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엽록소 함량이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는데, 저온($4^{\circ}C$)에서 1개월 보관한 후 실온에 저장한 세척감자에서 저장 12일에 $26.7mg{\cdot}g-1$로 가장 함량이 많았다. 괴경녹화와 각 녹화평가 요인의 상관성을 피어슨 상관분석한 결과, 엽록소 함량은 Hunter a값와 b값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색차값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색도, 색차 및 엽록소 함량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녹화는 세척유무 및 보관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화중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효과 (The Effect of Light on the Formation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in Oat Seedlings during Greening)

  • 이동희;문연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43-656
    • /
    • 1996
  • 백색광 및 여러 파장의 광선 (적색, 청색, 그리고 녹색광)이 녹화중인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 함량 변화 및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높은 광도의 백색광은 낮은 광도의 백색광에 비하여 귀리 유식물의 전체 엽록소 함량 및 엽록소 a/b 비율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에 있어서 높은 광도의 백색광은 낮은 광도의 백색광에 비하여 PSI, CCI, 및 CCII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하였다. 한편, 여러 파장의 광선하에서 생장한 귀리 유식물은 유사한 광도를 가진 백색 광하에서 생장한 유식물에 비하여 엽록소의 축적 및 엽록소 a/b 비율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적색광은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에 있어서 백색광에 비하여 LHCII trimer형성에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나, 청색광은 백색광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청색광과 적색광을 비교하였을 때, 청색광은 적색광보다 LHCII monomer의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엽록체의 발달과정동안 광도의 효과가 광질의 효과보다 엽록소 축적 및 엽록소 a/b비율의 증가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여러 파장의 광선은 엽록체-단백질 복합체의 조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판매용 숙주나물의 형태(形態) 및 녹화(綠化)에 미치는 광질의 효과 (Effect of Light Quality on Shape and Greening of Selling Mungbean Sprouts)

  • 홍동오;전승호;강진호;류영섭;이야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9-124
    • /
    • 2008
  • 유통기간중의 환경조건은 숙주나물의 상품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유통과정중 필연적으로 부딪히는 빛이 숙주나물의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여 판매용 소봉지 도안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광질(청색, 녹색, 황색, 적색 및 초적색) 처리가 $8^{\circ}C$에 저장중인 숙주나물의 녹화 시간, 저장 5일후까지 매일 형태와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숙주나물의 녹화에는 $2.5{\sim}3.5$일이 소요된 청색광, 적색광과 초적색광에 비하여 6일 이상 소요된 녹색광과 황색광 처리에서 상대적으로 길었다. 2. 발생된 개체당 세근수는 광질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 길이는 황색광 처리에서, 하배축 직경은 청색광 처리에서 가장 길고 굵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개체당 전체 생체중과 건물중은 적색광 처리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초적색광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4. 녹화에 걸리는 시간이 가장 길었던 녹색과 황색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숙주나물의 길이, 직경과 무게가 감소되었으나 그 영향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이상의 결과로부터 숙주나물의 판매용 소봉지는 형태와 무게의 변화보다는 녹화로 인한 상품성 손실이 크기 때문에 주로 녹색과 황색으로 도안이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