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oof Greening applied a Sallow Green Roof Module System Out of Management - Focused on the Effects on the Growth of Plants by Difference of Soil Mixture Ratio -

식생모듈박스를 이용한 저토심 무관리형 옥상녹화 - 토양 배합비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 Kang, Ta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Zhao, Hong-Xi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Li, 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Kang, Sung-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강태호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조홍하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 이홍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 강성훈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2.01.12
  • Accepted : 2012.06.25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n the growth of Sedum species by different soil in shallow green roof module system, and to find the best soil mixture. The experiment used a module system, 7cm soil depth, five types of soil mixture ratio, and it was carried out on 7th Hoar rooftop in December of 2010. The growth status of the plant showed the most superior of the P5C7P2V1, next P10C1P2V1 and P1P1V1, P1 and C1 showed very poor growth. This result showed that the soil mixture ratio (P5C7P2V1) in green roof module system with minimum management can contribute to the proliferation of rooftop greening in urban settings.

본 연구는 저토심 무관리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위한 토양배합이 세덤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생육 적정성 토양배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식생모듈박스를 이용하여 토심 7cm, 5종 토양배합비가 있어 2010년 12월부터 5층 옥상에서 실시하였다. 식물의 생육현황은 P5C7P2V1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P10C7P2V1과 P1P1V1, P1과 C1의 생육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경과, P5C7P2V1의 토양배합비에서 효과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나, 도시내 대면적 녹화에 기여할 수 있는 토양배합비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규이(2005) 관리조방적 옥상녹화 식재기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예학화 석사학위논문. pp. 76.
  2. 권지오, 김용훈(2007)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인천발전연구원. pp.31-35.
  3. 김성기(2007) 저관수형 옥상녹화에서 토양 유기물함량 및 토심에 따른 식물생장 변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유선(2007)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지의 Sedum속 식물의 생장과 배지특성의 변화. 화훼연구 15(3) : 169-173.
  5. 김인혜, 허근영(2003) 저토심 옥상녹화 시스템에 따른 땅채송화(Sedum oryzifolium)의 생육특성. 원예과학기술지 21(4) : 346-352.
  6. 김형태(2011) 옥상녹화에서 토양 종류에 따른 자생초화류 생육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농촌진흥청(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pp. 29-130.
  8. 박준석, 박지혜, 주진희, 윤용한(2010) 옥상녹화 토심 및 토양배합비에 따른 토양수분변화와 순비기나무의 광합성 특성.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3(2): 31-42.
  9. 어양준(2007) 저관수형 옥상녹화에서 수분과 양분변화에 따른 두메부추의 생장변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은희, 강규이, 신상희, 남미아, 이광우(2005) 옥상녹화용 식생매트에 적합한 토양과 토심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4) : 12-22.
  11. 장하경, 이은희(2011) 관리조방형 옥상옥화 식재식물의 피복률 변화 및 피복유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 404-411.
  12. 조용현, 한규희(2009) (알아야 할)옥상녹화의 Q&A. 서울: 기문당. pp 75-80.
  13. 주진희, 윤용한(2010) 돌나물의 적용한 무관수 옥상녹화시스템 평가.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3(5): 25-31.
  14. 최진우, 김학기, 이경재, 강현경(2009) 저토심 인공지반 녹화공법의 경제성 및 도입 가능한 지피식물의 생육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7(5) : 98-108.
  15. 한국 CCR(2004) 저배수공법 카탈로그 및 설계내역서.
  16. 한수그린텍(2004) 세덤블럭 카탈로그 및 설계내역서.
  17. Amon, D. I.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a vulgaris. Plant Physiol. 24 : 1-15. https://doi.org/10.1104/pp.24.1.1
  18. Autode (2009) Autodesk AutoCAD2009.
  19. Boo, H. O., T. Saito and Y. Tomitaka(1997)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anthocyanim synthesis of Perilla ocymoides L. J. Kor. Soc. Hort. Sci. 38: 9-14.
  20. Kim, P. G., Y. B. Koo, J. C. Lee, S. W. Bae, Y. S. Yi. and Y. M. Cheong(2001) Chlorophyll content and genetic varition of Ginkgo bioloba planted on the street in Seou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orology 3(2): 114-120.

Cited by

  1.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depends on Soil Depths on the Growth of Spiraea bumalda 'Gold Mound' in a Extensive Green Roof System vol.23, pp.2, 2014, https://doi.org/10.5322/JESI.2014.23.2.239
  2.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Application of Roof Green Box Unit System Combined with Engineering P.E.Waterproof and Root Penetration Sheet vol.16, pp.2, 2016, https://doi.org/10.5345/JKIBC.2016.16.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