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roads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4초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도시공원녹지체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 in Terms of the Open Space Network - Focused on the City of Daejeon -)

  • 이시영;임병호;심준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3-63
    • /
    • 2009
  • 본 연구는 공원녹지체계를 광의의 개념으로서 오픈스페이스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설정하고, 그 방법론을 모색하고 실증적으로 대전광역시 도심지역에 적용하였으며, 그 적용 결과에 기초하여 대전광역시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대전광역시 구도심을 대상으로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며, 둘째, 사례지역의 결과를 토대로 대전광역시의 오픈스페이스 유형별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함으로써 대전광역시 오픈스페이스네트워크를 구상토록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활동오픈스페이스 요소인 관공서 및 업무시설들은 자체적으로 또는 건물 전면부에 공개공지가 조성되어 있고, 이들 전면부 공개공지는 보행로(그레이 오픈스페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보행로는 결과적으로 대규모 공원이나 하천(그린 및 블루 오픈스페이스)으로 연결되어, 통합하여 하나의 공간체계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 중심부에는 그동안 공원녹지체계의 기본적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공원과 녹지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공원녹지의 추가적 확보가 이루어져야 공원녹지체계의 개선이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도심부에 새로운 공원녹지의 신규조성은 매우 어렵다는 전제하에 도심부에 마치 실핏줄처럼 분포하고 있는 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체계로 접근할 경우, 도심부에 보다 건강한 휴식공간체계가 형성될 것이다.

Optimal Traffic Information using Fuzzy Neural Network

  • Hong, You-Sik;Lee, Choul--Ki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3권1호
    • /
    • pp.105-111
    • /
    • 2003
  • This paper is researching the storing of 40 different kinds of conditions. Such as, car speed, delay in starting time and the volume of cars in traffic. Through the use of a central nervous networking system or AI, using 10 different intersecting roads. We will improve the green traffic light. And allow more cars to easily flow through the intersections. Now days, with increasing many vehicles on restricted roads, the conventional traffic light creates prove startup-delay time and end-lag-time. The conventional traffic light loses the function of optimal cycle. And so, 30-45% of conventional traffic cycle is not matched to the present traffic cycle. In this paper proposes electro sensitive traffic light using fuzzy look up table method which will reduce the average vehicle waiting time and improve average vehicle speed. Computer simulation results prove that reducing the average vehicle waiting time which proposed considering passing vehicle length for optimal traffic cycle is better than fixed signal method which dosen't consider vehicle length.

도시녹지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Function and Effect of Urban Openspace - Focusing on Urban Roadside Trees -)

  • 성현찬;민수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8-5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verify whether the functions and effect of roadside trees generally hewn in theory are actually realized in urban roads and how well they are performed if the function and effect are realize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3 functions and effects including roadside tree's urban landscape improvement function (green area visibility ratio), effect of introducing green area within a city, and urban green network building function.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of 41 study areas is currently about 25.90%. Th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of commercial area within downtown was lowest among 5 road types. It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the average green area visibility ratio up to 32.49% through roadside tree management and additional plantation. Second, in a section between Paldal Mountain and Suwon City Hall where there is no forest fragments and parks at all, a green area of 4,826 roadside trees represented 2.4% of total area and served as the only linear green area. Third, an analysis of 15 cities in Kyonggi province showed that urban forests are concentrated in outskirts. The suey showed that because forest fragments and parks exist in a form of points in urban areas, roadside trees are the only green areas that link each other and build a network.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기술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Priorities for Green Highway)

  • 이유화;조원범;김세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51-162
    • /
    • 2012
  • 기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뉴스는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녹색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소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를 실현하고, 미래지향적인 녹색도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녹색도로기술을 정의하고, 기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도로와 교통 전문가 29인에게 AHP기법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에,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택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생애주기 변화와 도로 건설 특성을 고려한 1계층 분야와 녹색도로기술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2계층 분야를 구분하여 전문가들의 선택을 분석한 결과, 탄소저감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1계층에서는 교통운영 인프라개선, 도로교통정책, 녹색교통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으며, 2계층에서는 녹색도로 관련 기술 R&D투자 및 정책 지원, 녹색교통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계획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았다. 추가적으로 전문가들의 기술 우선순위와 국가 재정투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2011년까지 5년간의 국토해양부 도로투자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최근 도로건설에 대한 투자보다는 도로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도로 관리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응답한 기술 목표를 달성하고 최종적으로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핵심 및 요소기술 개발과 중소기업 기반 도로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는 아직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녹색도로 건설 구현을 위하여 녹색도로기술 개발 R&D투자를 도모하고 상업화를 지원하는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독립 구동 굴절차량의 회전반경 감소를 위한 토크분배 알고리즘 (Torque Distribution Algorithm of Independent Drive Articulated Vehicle for Small Radius Turning Performance)

  • 이기범;황가람;탁준영;서인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336-341
    • /
    • 2014
  • 기차나 군용 트럭 등에 이용되던 굴절차량이 승객의 대량 수송을 위하여 일반 도로에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레일을 따라가지 않고 일반 도로에서 주행하는 굴절차량은 회전반경, 차량 선회 폭, 이탈궤적, 스윙아웃등 다양한 제어 요소를 갖는다. 현재 승객 수송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굴절차량은 각 바퀴에 하나의 모터를 장착하고 구동하는 독립 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각 바퀴의 독립 제어를 통하여 차량의 빠르고 정확한 자세제어가 가능하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제어 요소 중 굴절차량의 최초 목적인 회전반경 감소를 위한 토크 분배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회전 반경이 감소함을 검증하였다.

미세먼지 배출원과 취약계층 분포 추정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녹지 입지 선정 연구 - 서울시 성동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Green Space Location Selection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by Projecting Distributions of Emission Source and Vulnerable Groups - focusing on Seongdong-gu, Seoul -)

  • 신예은;박진실;김수연;이상우;안경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68
    • /
    • 2021
  • The study aims to propose a locating method of green space for reducing Particulate Matter (PM) in ambient air in conjunction with its source traces and vulnerable groups. In order to carry out the aims and purpose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rive indicators of vulnerable area to PM. Based on the developed indicators, the vulnerable areas and green spaces creation strategies for each cluster were developed for the case of Seongdong-gu, Seoul. As a result, six indicators for vulnerability analysis were came out including the vulnerable groups (children's facilities, old people's facilities), emission sources (air pollutant emission workplaces, roads),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NDVI). According to the six selected indicators, the target area was divided into 39 hexagons and analyzed to result the most vulnerable areas to particulate matter.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vulnerability analysis, the Seongsu-dong area was found to be the most vulnerable to particulate matter, and 5 clusters were derived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Cluster 1 was analyzed as areas that most vulnerable to particulate matter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erefore urgent need to create green space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Cluster 2 was areas that mostly belonged to the Han River. Cluster 3 corresponds to the largest number of hexagons, and since many vulnerable groups are distributed, it was analyzed as a cluster that required the creation of a green space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focusing on facilities for vulnerable groups. Three hexagons are included in cluster 4, and the cluster has many roads and lacks vegetation in common. Cluster 5 has a lot of green spaces and is generally distributed with fewer vulnerable groups and emission sources; however, it has a high level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a situation where various green spaces creation projects for reducing particulate are being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ulnerable groups and emission sources and to present green space creation strategies for each space characteristic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uch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s regarded as meaningful in suggesting a method for selecting a green area for reducing PM.

도시도로 녹지의 도로 표면온도 져감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Urban Road Vegetation on a Decrease of Road Surface Temperature)

  • 조혜진;임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07-116
    • /
    • 2011
  • 도시의 온도상승의 주요 인자 중 하나가 도시부 도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도로 녹지가 표면온도의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도로 18개 지점을 선정하여 도로횡단구성요소(주변토지이용, 차도, 보도, 식수대, 중앙분리대)별로 열화상 카메라로 표면온도를 조사하고, 도시도로 녹지 면적을 측정하였다. 도시도로 녹지의 도로 표면온도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로 주변토지이용이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일 경우 도로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며, 식생중앙분리대의 면적, 식수대의 면적 순으로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주변 뿐만 아니라 도로설계의 구성요소 내에서 식수대, 중앙분리대 등의 녹지면적 증가는 도로의 표변온도 저감에 영향을 미친다. 도시의 고온화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도시도로 녹지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도 한 방편이다.

경관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로 녹시율 증진방안 및 목표수준 설정 - 서울시를 사례로 - (The Methods of Promoting Greenness and the Target Levels of Greenness in Streetscape Suggested by Computer Simulation - The Case of Seoul -)

  • 조용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3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planting methods and the reasonable target levels of IGS for promoting green streetscape in Seoul. Using the three dimensional computer simulations, various greening methods were applie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promoting green streetsca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moting tree planting on car lane is more effective than on pedestrian side walks. In wide streets, the height of tree has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green streetscape. In both car lane and pedestrian side walks, the greening effects of tree planting both in zig-zag pattern and in parallel pattern were similarly most high. The width of strip in side strip planting has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green streetscape. Promoting stratified planting is very effective. Promoting greening wall on pedestrian side walks is more effective than on car lane. Combined the results of IGS survey with the public officials and complex simulations, suggest that the optimal levels of IGS is ranging from 12.0% in alleys to 54.0% in car lanes among arterial roads.

일본 고베시(神戶市)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 구조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Style of Street Green Spaces on Port Island, Kobe, Japan)

  • 곽정인;한봉호;노태환;곽남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74
    • /
    • 2015
  •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神戶市) 해안 매립도시인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별 도로 유형, 주변 토지이용, 식재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녹지량이 풍부한 가로녹지 식재기법 사례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트아일랜드(총면적 826ha)는 일본 내에서도 최초의 인공섬으로 항만시설과 본격적인 도시기능시설을 겸비한 해상문화도시이다. 연구대상지내 $55{\sim}285m^2$ 면적의 조사구 11개소를 설정하여 조사 한 결과,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는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평지형의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인접한 도로의 폭에 따라 지형구조가 변화하였다. 인접한 도로의 차선이 많아서 소음, 공해물질 등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은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등의 지형구조와 광폭의 다층구조 녹지대를 조성하였고, 도로차선이 적은 지역인 경우, 평지형의 지형구조와 화관목 위주의 관목을 식재하여 가로띠녹지를 조성하였다. 인접한 토지이용은 공공기관, 공동주택지, 주상복합지, 상업업무지 등이었고, 식재개념은 중로(4차선)의 경우 완충+경관기능, 소로(2차선)의 경우 경관기능이었다. 식재종은 대만풍나무, 녹나무, 조구나무, 참죽나무, 담팔수, 은행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종가시나무, 향나무, 목련, 철쭉류, 동백나무, 꽃댕강나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식재밀도는 교목층 0.02~0.08(0.04)주/$m^2$, 아교목층 0.02~0.08(0.04)주/$m^2$이었고, 녹피율은 교목층 40.0~173.7(93.0)%, 아교목층 2.1~79.8(34.9)%, 관목층 17.9~64.2(4.13)%이었다.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3{\sim}6.67(4.13)m^3/m^2$, 아교목층 $0.02{\sim}2.01(0.85)m^3/m^2$, 관목층 $0.14{\sim}0.58(0.26)m^3/m^2$이었다.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녹피율은 서울시 주요 가로녹지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고, 특히 관목층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우리나라 주요 가로녹지와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 조성되고 있는 해안 매립기반 도시의 가로녹지 조성 시 지형구조, 식재구조, 식재기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녹지 조성기법 사례지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형 녹색도로인증시스템 평가요소 개발 - 고속도로 및 국도 건설단계 중심 - (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 of Certification System for Korean Green Road -Focused on Design/Construction Stage of Expressway and National Highway-)

  • 박재우;이두헌;구재동;노관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6-25
    • /
    • 2014
  • 최근 국가정책 아젠다인 '저탄소 녹색성장'은 국가의 중요한 비젼으로 전정부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으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국토, 교통의 조성이 중요한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건설산업 부문도 예외가 아니어서 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가장 광범위한 대상인 도로시설물에 대한 녹색도 측정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그것을 기반으로 녹색도로인증제가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선진국 제도 및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국내 도로부문에 있어 적용성을 검증하여 녹색도로인증제도의 성공적인 국내 도입에 일조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