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Infrastructure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41초

조류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 및 지질추출 (Nutrients Removal of Municipal Wastewater and Lipid Extraction with Microalgae)

  • 박상민;김은석;정원화;김근수;안경희;한진석;권오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96-803
    • /
    • 2012
  • Potential feasibility of nutrients removal and biofuel production with microalgae was evaluated in batch culture. Distribution of microalgae in fresh water including reservoir and river was investigated to search for the species with high content of lipid that could converted into biofuel. Green algae, Chlorella and Scenedesmus sp., these are known as species containing high lipid content for biodiesel production, were observed in both summer and autumn season. However another highly lipid-containing species, botryococcus sp.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In mixed culture of microalgae using synthesized wastewater medium, green algae were found to be dominant, comparing to other species of diatoms and blue-green algae. And microalgae were also capable of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in batch experiments. During the culture period of 14 days, removal efficiencies of nitrate and phosphorus were 30% and 82%, respectively. Furthermore, content of the intracellular lipid extracted from algae cell was as favorable as 12-30% in the mixed culture where Scenedesmus and Chlorella sp. were dominant. Therefore the mixed culture of microalgae could be applied to biofuel production and tertiary wastewater treatment, even though there are economic barriers to overcome.

국내 그린 인프라의 도입과 그 기대효과 : 도시 회복력 정의 (The Introd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 in South Korea and Its Implication focusing on Urban Resilience)

  • 강다원;서용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3-253
    • /
    • 2020
  • 최근 전 세계는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집중 등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수문학적인 문제, 특히 도시 내 홍수 피해 규모와 빈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도시 개발은 그레이 인프라(Gray Infrastructure)형을 중심으로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 결과로 자연적 투수층이 감소하여 첨두유량 증가, 침투량 감소와 같은 도시물 순환의 문제점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에 많은 국가들이 그린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그와 관련된 정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그린 인프라는 모든 개발사업의 계획 이전에 고려되느냐 기타 기반 시설의 계획 후 입지를 결정하느냐에 따라 입지 선정 기준을 크게 두 가지로 구축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도시 내 물 순환을 관리하여 유출수를 지표로 침투시켜 도시의 회복력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후자에 해당된다. 자연과 분리되거나 별도로 적용하지 않으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 수 있으며 소규모로도 물 순환을 가능하게 해 도시의 큰 구조적 변화 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신월지구에 선행 된 시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도시 내 그린 인프라의 설치에 따른 도시 회복력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았다.

  • PDF

지속가능도로의 건설과 관리를 위한 방안 (Suggestion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Sustainable Highways)

  • 노관섭;백종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56-161
    • /
    • 2016
  • 세계적 기후변화 대응 관련하여, 도로분야에서는 국토교통부의 국가 R&D인 '탄소중립형 도로 기술개발' 연구단 과제가 수행되었고,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다시 논의되고 있다. 연구단에서는 녹색도로 인증제 (안), 탄소저감형의 친환경 도로를 만들기 위한 녹색도로 설계와 시공 기술 개발, 도로에서의 탄소배출량을 산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녹색도로기술 투자평가 시스템(G-TIES) 등이 개발되었다. 앞으로는 이들 기술의 적용 확대와 함께, 그 내용의 범위를 보다 확대한 지속가능의 개념을 고려하여 지속가능도로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하며, 본 논문에서는 그 방안을 제안하였다.

Assessment of the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Potential of Climbing Plants on Green Walls for Air Quality Management

  • Jeong, Na Ra;Kim, Jeong-Hee;Han, Seung Won;Kim, Jong-Cheol;Kim, Woo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7-38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o improve air quality, particulate matter (PM) can be reduced using green infra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potential of climbing plants used for green walls, an element of vertical green infrastructure. Methods: A sealed chamber with controlled environmental variables was used to assess the PM reduction level caused by climbing plants. PM concentration in the plant chamber was measured after two and four hours of PM exposure, and the reduction potential was assessed based on the leaf area. Results: Compared to the empty chamber (Control), the PM reduction speed per hour was higher in the plant chamber, which confirmed that climbing plants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M in the air. The PM reduction speed immediately after exposure in the plant chamber was high, but this slowed over time. Additionally, PM has been continuously reduced in plants with large leave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level based on leaf area,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y particle size. Actinidia argut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Trachelospermum asiaticum, and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showed a high reduction effect. The trichomes on the leaf surface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were found to affect PM reduction. Conclusion: PM adsorption on the leaf surface i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its concentration. It was possible to compare different plants by quantifying the amount of PM reduction during a fixed time perio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select the plant species suitable for urban green walls in terms of PM reduction.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개발제한구역의 활용가치: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The Utilization Value of Greenbelts as Green Infrastructure: A Case Study of the Daejeon Metropolitan Area)

  • 최재혁;임병호;이시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67-84
    • /
    • 2022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분석 결과를 기존의 방식이 아닌 그린인프라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제한구역을 그린인프라 네트워크에 어떻게 활용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봄으로써 개발제한구역의 활용가치를 밝혀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그린인프라 네트워크 구성의 적정성 측면에서, 공간구조와 주변지역과의 광역적 연결성 등을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권 개발제한구역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공간은 유성구에 존재하며, 이는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 주택개발을 위해 개발구역을 해제하면서 발생한 문제이다. 따라서 정확한 환경평가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을 추가로 해제할 것인지 아니면 녹지를 복원하여 그린인프라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인지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다. 둘째, 남북으로 연결되고 있는 대도시들의 축이 전체 충청권의 녹지축뿐만 아니라 대전권 개발제한구역과 주변지자체의 개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개발제한구역 조정안을 마련할 필요성 있다. 셋째, 개발제한구역의 강력한 집행으로 인해 주변 도시들의 인접부에 개발 압력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중 북쪽으로는 세종시 남쪽으로는 논산 쪽이 주요 개발 타겟이 될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거나 보전하는 양면적 접근보다 기존의 평가기준에 그린인프라적 가치를 추가하여 종합적인 광역계획과 연동된 방향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녹색사회기반시설의 소음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기초실험 연구 (A Basic Experimental Study on Noise Energy Harvesting for Green Infrastructure)

  • 조병완;김현식;김경태;윤광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559-565
    • /
    • 2010
  • 지구온난화 증가에 따른 교토협약으로 전 세계적으로 녹색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 도로, 지하철 등 터널 내에서 상상을 초월하는 차량의 진동 소음으로 인한 소모에너지를 음력 발전을 통하여 에너지를 하베스팅 하는 녹색사회기반시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전자기유도를 활용한 자체적인 소음발전 디바이스를 적용하여 실제 사회기반시설의 종류별 소음특성에 따른 소음발전 디바이스의 적용성 및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소음발전 디바이스는 특정 진동수의 소음에서 최대 전압 및 전력을 나타냈으며, 소음원으로부터의 거리 및 소음의 음압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및 전력이 특정한 관계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작동하는 복합환경조절장치 및 녹색기반시설로서 조경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옥외공간 설계 - (Constructing Landscape as an Operational Multi-Environmental Control Utility and Green Infrastructure - Landscape Design for National Marine Biology Resource Institute -)

  • 성종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1-56
    • /
    • 2012
  • Landscape space can and should play as a multi-functional agent : healing contaminated soil, reducing natural hazards, supporting living things, making comfortable environment for human, and appealing to human aesthetics, etc.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 possibility and role of landscape space as such agent. In landscape design for National Marine Biology Resource Institute, distributed rain water treatment system and rain gardens are introduced to replace a mono-functioning large detention pond which was suggested by disaster impact assesment. Phytoremediation and vegetation filtering system with muti-cell wetlands are also adapted to heal the contaminated soil. This kind of landscape as a 'living machine' which can play as an operational control utility of multi-environment and thus can be combined effectively into green infrastructure is important for post-industrial city, especially in an era of climate change.

경상남도 공공청사형 그린빗물인프라(GSI) 조성 체계 구축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planning process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in the public building in Gyeongsangnam-do)

  • 이효정;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4호
    • /
    • pp.301-310
    • /
    • 2023
  • 환경부에서는 2013년부터 소규모 분산식 빗물 관리 방식인 '그린빗물인프라(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조성 사업'을 추진하여 설치비를 지원함에 따라 각 지자체의 GSI 조성 사업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저영향개발 사전협의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서울시를 제외하면, 각 지자체별 가이드라인, 추진체계 부존의 문제로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공공청사의 적용 범위 및 우선 순위 설정, 시범 구역 GSI 적용 효과 검토를 수행하고 이를 통합한 추진체계 구축을 연구 결과로써 제안하고자 한다.

도시 호우 유출에 관한 그린인프라의 비점오염원 저감 모델 평가 분석 (Model Evaluations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in a Green Infrastructure regarding Urban stormwater)

  • 전설;김시연;이문영;엄명진;정기철;박대룡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93-393
    • /
    • 2021
  • 도시화는 도시 호우 유출 발생으로 인한 수질 악화를 초래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설계를 위해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GI)의 구조적 특성과 수문학적인 특성을 이용해 어떤 인자들이 설계에 필요한지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GI의 종류 중 저류지와 저류연못의 총부유사량(Total Suspended Solids, TSS)와 총인 (Total Phosphorous, TP)의 유입수, 유출수, 비점오염원 농도, 수문학적인 특성 그리고 GI의 구조적 특성을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OLS)과 Multi Linear Regression(MLR) 방법을 적용하였다. GI의 구조적인 특성은 한 BMP마다 달라지지 않으나 호우사상의 데이터 개수에 의한 편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한 범위를 가지고 무작위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과 이상치를 제외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OLS와 MLR 모델들의 정확도를 PBIAS(Percent Bias), NSE(Nash-Sutcliffe efficiency), RSR(RMSE-observations standard deviation ratio)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유입수의 비점오염원의 농도뿐만 아니라 수문학적 특성과 GI의 구조적 특성이 함께 들어갈 시 더 좋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류지가 저류연못보다 모델의 성능평가 면에서 좋은 값을 가지고 있지만 특성별 상관관계는 저류연못이 더 뚜렷한 결과를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