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teloupia filicin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6초

미이용해조류의 이용화에 관한 연구 II. 홍조류의 carrageenan함량과 그 화학적성상 (UTILIZATION OF UNEXPLOITED ALGAE FOR FOOD OR OTHER INDUSTRIAL USES)

  • 박영호;변재형;오후규;강영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3-168
    • /
    • 1976
  • 부산시해운대연안에서 1975년 6월 23일 채취한 진두발, 지누아리 및 돌가사리의 3종류의 홍조류를 시료로 하여 이들 원조의 carrageenan함량과 이로부터 추출한 carrageenan의 $SO_4$ 및 3,6-anhydrogalactose의 함량, KCl 용액에 대한 용해도, KCl 논도별에 따라 분획한 획분의 3,6-anhydrogalactose의 함량에 대하여 조사검토하였다. 1. 원조별 carrageenan의 함량은 진두발이 가장 높고, 다음이 돌가사리, 지누아리의 순이었으며, 모두 $35\%$이상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2. Carrageenan의 $SO_4$함량은 지누아리, 진두발, 돌가사리의 순으로 높았고, 3,6-anhydrogalactose의 함량은 반대로 돌가사리, 진두발, 지누아리의 순으로 높았다. 3. Carrageenan의 KCl 용액에 대한 용해도를 보면, 0.125 M KCl 농도에서 침전하는 비율은 진두발, 지누아리, 돌가사리의 Carrageenan 순으로 높았고, $0.125M\~2.0M$ KCl 농도에서 침전하는 비율은 돌가사리, 지누아리, 진두발의 carrageenan 순으로 높았으며, 2.0 M 이상의 KCl 농도에서도 용존하는 비율은 지누아리, 돌가사리, 진두발의 carrageenan 순으로 높았다. 4. Carrageenan을 0.0625 M와 0.25 M의 KCl 농도범위에서 3획분으로 분획하였을때, 각 획분의 수율은 진두발 및 돌가사리 carrageenan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지누아리 carrageenan은 앞의 2종류에 비하여 가용획분의 수율이 많이 높았다. 5. 각획분의 $SO-4$ 및 3,6-anhydrogalactos 의 함량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KCl에 대한 용해도가 큰 획분일수록 $SO-4$ 함량이 높고 3, 6-angydrogalactose의 함량이 낮았다.

  • PDF

춘계 제주 연안에서 유독 저서성 와편모류 Ostreopsis sp.의 분포와 분자계통학적 위치 (Distribution and Molecular Phylogeny of the Toxic Benthic Dinoflagellate Ostreopsis sp. in the Coastal Waters off Jeju Island, Korea)

  • 김선주;서효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2호
    • /
    • pp.236-248
    • /
    • 2019
  • 본 연구는 2017년 4월 춘계 제주 연안에서 총 7개의 정점(협재, 이호테우, 함덕, 성산, 표선, 남원, 사계)을 선정하여 해조류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유독 착생 와편모류 Ostreopsis의 출현양상을 조사하고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해역의 표층 수온은 $15.7^{\circ}C-18.3^{\circ}C$의 범위를 보였으며, 염분은 33.4-34.9의 범위로 나타났다. 각 연구 정점에서 채집된 전체 13종의 해조류 가운데 8종에서 Ostreopsis가 출현하였으며, 정점 6에서 출현한 홍조식물 참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에서 해조류 단위 무게당 Ostreopsis의 출현밀도($cells\;g^{-1}$)가 $157.5cells\;g^{-1}$로 가장 높은 농도로 출현하였다. Ostreopsis가 출현한 4개의 연구정점에서 분리한 종주들의 LSU rDNA D8/D10 영역의 염기서열은 모두 100%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LSU rDNA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한 분자계통수에서 이들은 모두 Ostreopsis cf. ovata의 잠재종(cryptic species)으로 알려진 Ostreopsis sp. 1의 분기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streopsis sp.1 종주를 이용하여 수온과 염분에 따른 생장 반응을 측정한 결과, $10-30^{\circ}C$의 광범위한 수온과 20-35의 염분 범위에서 뚜렷한 생장을 나타내었고, 수온 $25^{\circ}C$와 염분 30에서 $0.49d^{-1}$의 최고 생장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온 $10^{\circ}C$의 저온에서도 염분 35에서 뚜렷한 생장을 보여, 이들은 온대 해역에서 적응하여 정착한 종으로 판단된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Algae from Jeju Island

  • 허수진;차선희;이기완;전유진
    • ALGAE
    • /
    • 제21권1호
    • /
    • pp.149-156
    • /
    • 2006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algae in Jeju Island. The algal extracts were obtained with MeOH and fresh water at 20 and 70°C, and screen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hydroxyl radical (HO·), superoxide anion (O2–), hydrogen peroxide (H2O2)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s. Among them, Gracilaria verrucosa methanolic extract at 20°C (20ME, 96.85%), G. textorii aqueous extract at 20°C (20AE, 88.01%), Grateloupia filicina 20AE (85.35%), and Polysiphonia japonica 20ME (94.92%) exhibit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HO·, O2–, H2O2, and DPPH free radicals, respectively. Moreover, P. japonica (20ME and 70ME) is correlated betwee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ic cont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me red algae in Jeju Island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development of antioxidants.

강릉 연안의 해조군락과 유용 해조자원 분포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 손철현;최창근;김형근
    • ALGAE
    • /
    • 제22권1호
    • /
    • pp.45-52
    • /
    • 2007
  • An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l vegeta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at Kangnung and it’s vicinity,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to clarify the community structure and vertical distribution by quadrat method. Marine algae identified from the area were 116 species; 15 green, 31 brown and 70 red algae. The dominant species were Ulva pertusa, Codium fragile, Undaria pinnatifida, Dictyota dichotoma, Gelidium amansii, Corallina pilulifera, Carpopeltis affinis, Grateloupia filicina, Pachymeniopsis elliptica and Chondrus ocellatus at study site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intertidal marine algae wa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zones. They were characterized by Porphyra tenera at the upper, Enteromorpha spp. and Ulva pertusa at the middle, and Sargassum thunbergii, Hizikia fusiformis and Pachymeniopsis elliptica at the lower zones, respective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zone algae were characterized by Laminaria spp. at 15m depth and Kjellmaniella crassifolia at 15 to 25 m depths, whereas Agarum cribrosum was dominant at the lower zone than 25 m depth.

Characterization of a Glycoside Hydrolase Family 50 Thermostable β-agarase AgrA from Marine Bacteria Agarivorans sp. AG17

  • Nikapitiya, Chamilani;Oh, Chul-Hong;Lee, Young-Deuk;Lee, Suk-Kyoung;Whang, Il-Son;Lee, Je-H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36-48
    • /
    • 2010
  • An agar-degrading Agarivorans sp. AG17 strain was isolated from the red seaweed Grateloupia filicina collected from Jeju Island. A beta-agarase gene from Agarivorans sp. AG17 was cloned and designated as agrA. agrA has a 2,985 bp coding region encoding 995 amino acids and was classified into the glycoside hydrolase family (GHF)-50. Predicted molecular mass of the mature protein was 105 kDa. His-tagged agrA was over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purified as a fusion protein. The enzyme showed 158.8 unit/mg specific activity (optimum temperature at $65^{\circ}C$ and pH 5.5 in acetate buffer) with unique biochemical properties (high thermal and pH stabilities). Enzyme produced neoagarohexaose, neoagarotetraose and neoagarobiose by degrading agar, and hydrolyzed neoagaro-oligosaccharides were biologically active. Hence the purified enzyme has potential for use in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저서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동해안, 죽도) II. 해조류 식생의 계절변화와 대형갈조류 성장상태의 관계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Phytobenthos in Juckdo (Eastern Coast of Korea) II. Seasonal Changes of Algal Vegetation in Relation to Annual Growth of Large Brown Algae)

  • 고철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6권4호
    • /
    • pp.181-190
    • /
    • 1983
  • Seasonal occurrence of benthic algae and changes of subtidal vegetation were studied for their species composition, diversity and biomass during 1982 and 1983 at several selected sites at Juckdo Island (38$^{\circ}$12'N, 128$^{\circ}$32'E), eastern coast of Korea. Three large brown algae which played a role in change of algal vegetation through their great biomass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ir seasonal growth. Large brown algae such as Undaria pinnatifida, Costaria costata, Laminaria japonica, Agarum cribrosum, Sargassum confusum and S. hornerii constitute the major portion of vegetation in this area throughout the year. Algal vegetation in spring time is characterized by dominance of species U. pinnatifida and C. costata, whereas the summer vegetation by S. confusum and S. hornerii. In autumn large brown algae are shedded and only small algae, such as Chondrus ocellatus and Grateloupia filicina, remain. The vegetation in winter is dominated by the growth of U. pinnatifida and C. costata. Monthly changes in mean length and weight of randomly collected U. pinnatifida, C. costata and S. confusum are as follows; U. pinnatifida occurs from December to June and shows their maximum growth during March (120 cm in length, 201 g/individual in wet weight), its maximum growth rate is 1.4 cm/day, 3.3 g/day in this month. The growth season of C. costata is very similar to U.pinnatifida, but their average maximum length(110 cm) and weight (106 g/ind.) are lower than U. pinnatifida. The greatest growth rate is during March (1.8 cm/day, 2.0g/day). S. confusum is present throughout the year and reaches the maximum growth (102 cm, 63g/ind.) in July. Maximum growth rate (1.5 cm/day, 1.2 g/day) occurs also during this month. U. pinnatifida and C. costata show different months of maximum growth evidently during the two year. This seems to be caused by a considerable damage to the local vegetation followed by heavy storm in February 1983.

  • PDF

미이용해조류의 이용화에 관한 연구 I. 미이용해조류의 성분조성과 조류단백질의 추출 (UTILIZATION OF UNEXPLOITED ALGAE FOR FOOD OR OTHER INDUSTRIAL USES 1. CHEMICAL COMPOSITION OF UNEXPLOITED ALGAE AND EXTRACTION OF ALGAL PROTEIN)

  • 박영호;변재형;오후규;강영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5-162
    • /
    • 1976
  • 미이용해조류를 주로 한 33종류 41개시료(홍조류 15종 19개시료, 갈조류 14종 18개시료, 녹조류 3종 3개 시료, 해산현화직물 1종 1개시료)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가용성무질소물, 아미노태질소 및 총 아미노산의 조성을 조사하였고, 이 중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지충이, 지누아리 및 조단백질함량이 낮은 거머리말, 알쏭이모자반의 4종류를 시료로 하여 조류단백질의 추출율과 추출액중의 단백질의 침전조건에 대하여 조사 검토하였다. 1. 일반적으로 홍조류에는 조단백질함량이 높고 조지방함량이 낮은 것이 많은데 비하여 갈조류 및 녹조류에는 조단백질함량이 낮고 조지방함량이 높은 것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2. 조단백질함량과 총아미노산량으로 보아 단백질자원으로서 유용한 조류로는 지충이, 부채꼴아크로소리움, 꿩꼬리, 오카무라서실, 검은서실, 지누아리, 진두발, 불등가사리, 돌가사리, 디크티오타, 고리매 등을 들 수 있고, 반대로 큰디크티오타, 코르다리아, 비틀 대모자반, 알쏭이모자반, 외톨개모자반, 도박, 털도박, 미끌도박, 남작파래, 구명갈파래, 거머리말 등은 그 함량이 극히 낮았다. 5. 분말시료를 물로 추출할 때 8시간 동안에 조체의 총조단백류외 $30\~40\%$ 추출되었으며, 조체단백질함량의 다과에 따른 추출율의 차는 별로 없었다. 또한 조류단백질의 추출속도는 4시간 동안에 총추출단백질의 3이상이 추출되었다. 4. 추출액중의 단백질침전법으로서는 methanol 처리법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이 가열처리법, TCA 처리법의 순이였으며, pH 조절법이 가장 못하였다. pH 조절법에 있어서는 pH5 부근으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저인 경향을 보였다. 5. 추출액중의 단백질의 침전율은 알쏭이모자반의 것이 가장 좋았고 다음이 지누아리. 거머리말의 순이였으며 지충이의 것이 가장 못하였다.

  • PDF

한국 동해안 중부의 저서 해조류 군집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y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 이재일;김현겸;유경동;윤희동;김영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9
    • /
    • 2015
  • 우리나라 동해안 중부의 축산항 지역에서 2007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계절별로 조간대와 조하대 해조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2년에 걸친 조사를 통해 밝혀진 해조류는 총 98종(녹조류 13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2종)이었고, 조사시기별로는 33~63종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녹조류 2종(구멍갈파래, 떡청각), 갈조류 3종(참그물바탕말, 톳, 왜모자반), 그리고 홍조류 11종(작은구슬산호말, 혹돌잎, 참도박, 참지누아리, 붉은까막살, 진분홍딱지, 진두발, 잔금분홍잎, 개서실, 모로우붉은실, 참보라색우무)의 16종은 모든 조사시기에 관찰되었다. 해조류의 단위면적당 생물량은 평균 $629.68g\;dry\;wt\;m^{-2}$이었으며, 계절별로 $119.30{\sim}1,660.96g\;dry\;wt\;m^{-2}$의 범위를 보였다. 조사지역 해조군집의 수직분포는 조간대에서 작은구슬산호말과 모자반류, 조하대 1 m에서 모자반류, 5 m에서 모자반류와 무절산호조류 그리고 10 m에서 무절산호조류로 대표되었다.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 김병목;전준영;박영범;정인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97-1101
    • /
    • 2006
  • 본 실험에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갈조류로 재래종다시마, 괭생이모자반, 그리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곳에 식생하는 곰피와 구멍쇠미역, 녹조에 속하는 고리매,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해조이면서 홍조류에 속하는 김과 동해안 특산 홍조류이며 지역민들이 즐겨 먹고 있는 지누아리의 해조 7종이 사용되었다. 이 7종의 해조로부터 75% 메탄올로 상온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메탄올에 용해하는 메탄올 가용성 분획(SF)과 메탄올에 녹지 않지만 물에 용해하는 극성이 강한 성질의 불용성 분획(ISF)으로 분리하여 각 분획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였다. 메탄올 가용성 분획은 구멍쇠미역, 고리매, 괭생이모지반이 $26.60{\sim}23.40%$로 높았으며 재래종다시마와 김이 9.26%와 8.66%로 낮았다. 메탄올 불용성이며 수용성 분획은 재래종다시마와 김에서 29.70%와 21.01%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의 해조에서는 지누아리 8.76%, 곰피 6.46%, 고리매 4.87%, 구멍쇠미역 2.05%, 괭생이모자반 1.95%로 아주 낮았다.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평가와 hydroxy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메탄올 가용성 분획이 높은 해조, 즉 구멍쇠미역과 괭생이모자반에서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평가결과는 총페놀 함량이 높은 것과 잘 일치하였다. 갈조류인 곰피는 전자공여능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hydroxy radical 소거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메탄올 추출물에서 재용해하지 않는 메탄올 불용성 분획은 실험에 사용된 7종의 해조 모두에서 총페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조의 항산화효과는 메탄올에 용해하는 성분이 강한 항산화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페놀 화합물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사료된다.

동해안 특산 수산발효식품에서 분리된 균주의 항균 및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 (Antibacterial and Proteolytic Activities of Bacterial Isolates from Ethnic Fermented Seafoods in the East Coast of Korea)

  • 박우정;이승환;이형재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1호
    • /
    • pp.88-92
    • /
    • 2017
  • 동해안의 특산 수산발효식품 중 가자미밥 식해, 오징어 젓갈, 지누아리 무침 등 총 3종의 수산발효식품에서 233개의 균을 분리하였다. 5종의 주요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분리균 중 36개(15.5%)가 B. cereus ATCC 14579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 가장 많은 분리균이 이 지시균을 저해하였다. 그 다음으로 S. aureus KCTC 1916, L. monocytogenes ATCC 15313 순으로 다수의 분리균이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오징어 젓갈에서 분리한 균주 중 각각 5개(6.0%), 3개(3.6%)가 그람음성 지시균인 E. coli O157:H7 ATCC 43895, Sal. enterica ATCC 4931를 저해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의 경우, 72시간 배양 후, 총 분리균주 중 72개(30.9%)가 활성을 나타냈고, 가장 많은 활성을 나타낸 것은 지누아리 무침 분리균으로 72시간 배양하였을 때 36개(60.0%)가 단백질 가수분해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산발효식품에서 분리한 균주가 식중독균을 저해하는 항균물질을 생산한다는 것과 단백질 가수분해 능력을 가진 균주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성이 우수한 균주의 확보를 통해 우수 활성균주로부터 천연 항균제를 분리, 적용할 수 있고, 단백질 가수분해활성을 다양한 발효식품 및 더 나아가 저염 수산 발효식품 생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