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teloupia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9초

부산 영도의 해조상과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 군락 (Algal Flora and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aminariaceae) Population of Youngdo in Busan, Korea)

  • 최창근
    • ALGAE
    • /
    • 제22권4호
    • /
    • pp.313-318
    • /
    • 2007
  •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intertidal zone and subtidal zone of Youngdo at Busan. In this area, a total of 69 marine algal species including 10 Chlorophyta, 17 Phaeophyta and 42 Rhodophyta was identified. Dominant species in coverage were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Gelidium divaricatum, Hildenbrandtia rubra and Chondrus ocellatus throughout the year.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Porphyra yezoensis, Gelidium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teloupia elliptica and Chondrus ocellatus vertically distributed in intertidal zone, while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Prioni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crosorium polyneurum and Phycodrys fimbriata in subtidal zon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zone were characterized by Ecklonia stolonifera at 1 to 5 m depths. During a year, biomass and length of Ecklonia stolonifera gradually decreased from March to January, but increased from February. Zoosporangial sori were observ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conclusion, number of species in this area wa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previous data at Busan and it’s vicinity.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귀 조직에 대한 주름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Grateloupia crispata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and Mice Ears)

  • 배난영;김민지;김꽃봉우리;박선희;장미란;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090-1098
    • /
    • 2016
  • 본 연구는 해조류 중에서도 홍조류인 주름까막살 에탄올 추출물(GCEE)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분비량 및 iNOS, COX-2, $NF-{\kappa}B$와 MAPKs의 발현량을 관찰하고 마우스모델에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GCEE가 세포 생존율에 있어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한 후 같은 농도로 추후실험을 진행하였다. NO 분비량이 GCE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전염증성 매개물질인 사이토카인(IL-6, $TNF-{\alpha}$$IL-1{\beta}$)의 분비량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전염증성 매개인자의 전사인자인 $NF-{\kappa}B$와 MAPKs 경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발현량을 관찰한 결과, GCEE가 LPS 처리로 현저히 증가한 염증 관련 효소인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고 전사인자인 $NF-{\kappa}B$ 및 MAPKs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GCEE는 croton oil로 부종을 유발한 마우스모델에서 귀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250 mg/kg 농도에서 조직의 경피 및 진피 두께의 발달을 prednisolone 50 mg/kg 처리구와 유사한 정도까지 현저히 억제하고 염증성 세포인 mast cell의 침윤 억제 효과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주름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은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kappa}B$와 MAPKs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고 그에 따라 전염증성 매 개인자인 NO, IL-6, $TNF-{\alpha}$$IL-1{\beta}$의 분비를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주름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이 염증 치료제의 소재로 이용될 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생각한다.

동해 왕돌초 조하대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Subtidal Zone of Wangdol-Cho on the East Coast of Korea)

  • 권천중;최창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3호
    • /
    • pp.191-201
    • /
    • 2014
  • 한국 동해안 울진군에 위치한 왕돌초 조하대에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계절별로 해조상 및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녹조류 12종, 갈조류 29종, 홍조류 81종을 포함한 122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으며, 38종의 해조류는 조사지역에서 연중 출현하였다. 정점별 평균 생물량은 봄 472.19-1,198.77 g wet wt. $m^{-2}$, 여름 68.99-631.14 g wet wt. $m^{-2}$, 가을 200.91-401.20 g wet wt. $m^{-2}$, 겨울 53.61-922.32 g wet wt. $m^{-2}$로 나타났다. 생물량에 근거한 왕돌초 해조류의 수직분포는 상부 개도박(Grateloupia lanceolata), 넓은분홍잎(Acrosorium venulosum),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중부 미역(Undaria pinnatifida), 참가시그물바탕말(Dictyopteris pacif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감태(Ecklonia cava), 하부 쇠꼬리산말(Desmaeistia viridis), 감태(E. cava), 괭생이모자반(S. horneri) 순으로 확인되었다. 왕돌초에서 출현한 해조류를 6가지 기능형군에 따라 구분한 결과 사상형 34.43%, 성긴분지형 25.41%, 엽상형 24.59%, 다육질형 9.71%, 각상형 5.74%, 유절산호말형 0.82%로 확인되었다. 해조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해조군락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C/P, R/P, (R+C)/P 값은 각각 0.41, 2.79, 3.21로 나타났다. 또한, 왕돌초 조하대 군집 안정도와 환경상태를 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를 기초로 확인한 결과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왕돌초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종다양성 및 풍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란이나 부영양화 같은 인간활동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람피부섬유아세포 및 섬유아육종세포로부터 유래된 기질금속단백질효소에 대한 해조류의 효능 (Effects of Seaweeds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Derived from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Human Fibrosarcoma Cells)

  • 박인환;이상훈;김세권;;전유진;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01-1510
    • /
    • 2011
  • 최근에 해양자원에 있는 동물, 해조류 곰팡이 세균에서 신규 잠재적인 후보약효제가 조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암전이, 관절염, 만성염증 및 주름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s) (MMPs)를 목적효소로 이용하였다. 5종의 녹조류, 18종의 홍조류, 4종의 갈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해조류가 사람피부섬유아세포 및 섬유아육종세포로부터 유래된 기질금속단백질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gelatin zymograph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는 홍조류중에서 Laurencia okamurae, Polysiphonia japonica, Grateloupia lanceolate 및 Sinkoraena lancifolia에서 MMP-2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녹조류의 Enteromorpha compressa와 Enteromorpha linza, 갈조류의 Peltaronia bighamiae and Sargassum thunbergii에서는 MMP-2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사람섬유아육종세포에서는 MMP-9 활성화가 갈조류인 Sargassum thunbergii, 홍조류의 Polysiphonia japonica, 녹조류의 Enteromorpha compressa와 Enteromorpha linza의 존재 하에서는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 흥미로운 발견은 녹조류의 E. compressa와 E. linza 및 갈조류의 S. thunbergii는 정상세포에서는 MMP-2에 대하여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암세포에서는 MMP-9응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녹조류의 E. compressa와 E. linza 및 갈조류의 S. thunbergii는 항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Cellulophaga lytica PKA 1005의 Cellulose 분해 조효소 생산 최적 조건과 조효소의 특성 (Opti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nditions for Cellulose-degrading Crude Enzymes Produced by Cellulophaga lytica PKA 1005)

  • 박시우;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원민;김보람;박홍민;임성미;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24
    • /
    • 2014
  • 부산 송정 연안에서 분해중인 해조류를 채집하여 cellulose 분해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미생물의 생육조건 및 미생물이 생성한 조효소의 cellulose 분해 특성을 확인하였다. Grateloupia elliptica로부터 분리한 cellulose 분해균을 동정한 결과, Cellulophaga lytica strain로 확인되었으며, Cellulophaga lytica PKA 1005 명명하였다. C. lytica PKA 1005의 최적생육 조건을 확인한 결과, pH 7, 2% NaCl, $30^{\circ}C$ 및 배양 36시간에서 최적생육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C. lytica PKA 1005가 생성하는 cellulose 분해 조효소는 pH 8, $35^{\circ}C$, 8% CMC 및 반응 60시간에서 최적분해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춘계 제주 연안에서 유독 저서성 와편모류 Ostreopsis sp.의 분포와 분자계통학적 위치 (Distribution and Molecular Phylogeny of the Toxic Benthic Dinoflagellate Ostreopsis sp. in the Coastal Waters off Jeju Island, Korea)

  • 김선주;서효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2호
    • /
    • pp.236-248
    • /
    • 2019
  • 본 연구는 2017년 4월 춘계 제주 연안에서 총 7개의 정점(협재, 이호테우, 함덕, 성산, 표선, 남원, 사계)을 선정하여 해조류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유독 착생 와편모류 Ostreopsis의 출현양상을 조사하고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해역의 표층 수온은 $15.7^{\circ}C-18.3^{\circ}C$의 범위를 보였으며, 염분은 33.4-34.9의 범위로 나타났다. 각 연구 정점에서 채집된 전체 13종의 해조류 가운데 8종에서 Ostreopsis가 출현하였으며, 정점 6에서 출현한 홍조식물 참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에서 해조류 단위 무게당 Ostreopsis의 출현밀도($cells\;g^{-1}$)가 $157.5cells\;g^{-1}$로 가장 높은 농도로 출현하였다. Ostreopsis가 출현한 4개의 연구정점에서 분리한 종주들의 LSU rDNA D8/D10 영역의 염기서열은 모두 100%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LSU rDNA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한 분자계통수에서 이들은 모두 Ostreopsis cf. ovata의 잠재종(cryptic species)으로 알려진 Ostreopsis sp. 1의 분기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streopsis sp.1 종주를 이용하여 수온과 염분에 따른 생장 반응을 측정한 결과, $10-30^{\circ}C$의 광범위한 수온과 20-35의 염분 범위에서 뚜렷한 생장을 나타내었고, 수온 $25^{\circ}C$와 염분 30에서 $0.49d^{-1}$의 최고 생장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온 $10^{\circ}C$의 저온에서도 염분 35에서 뚜렷한 생장을 보여, 이들은 온대 해역에서 적응하여 정착한 종으로 판단된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Algae from Jeju Island

  • 허수진;차선희;이기완;전유진
    • ALGAE
    • /
    • 제21권1호
    • /
    • pp.149-156
    • /
    • 2006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algae in Jeju Island. The algal extracts were obtained with MeOH and fresh water at 20 and 70°C, and screen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hydroxyl radical (HO·), superoxide anion (O2–), hydrogen peroxide (H2O2)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s. Among them, Gracilaria verrucosa methanolic extract at 20°C (20ME, 96.85%), G. textorii aqueous extract at 20°C (20AE, 88.01%), Grateloupia filicina 20AE (85.35%), and Polysiphonia japonica 20ME (94.92%) exhibit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HO·, O2–, H2O2, and DPPH free radicals, respectively. Moreover, P. japonica (20ME and 70ME) is correlated betwee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ic cont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me red algae in Jeju Island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development of antioxidants.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bioorganic light-emitting substances from marine macrophytes

  • Jung, Sang Mok;Lee, Han Seong;Lee, Han Joo;Kang, Seul Gi;Son, Ji Su;Jeon, Jae Hyuk;Chae, Hee Baik;Shin, Hyun Woung
    • ALGAE
    • /
    • 제30권2호
    • /
    • pp.171-179
    • /
    • 2015
  •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s in marine macrophytes from various coastal environments were identified. Twentyeight species from the solvent fractions were examined and identified as candidates for bio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s using photoluminescence (PL) spectra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e selected 16 solvent fractions from a total of 1,221 prepared from Ishige okamurae, Sargassum confusum, Grateloupia elliptica, Chondracanthus intermedius, Porphyra yezoensis, Meristotheca papulosa, Gelidium amansii, and Scytosiphon lomentaria. The maximum light-emitting PL spectra appeared at various colors, mainly between blue and green, based on chromaticity coordinates, from solvent fractions of M. papulosa, G. amansii, G. elliptica, P. yezoensis, S. lomentaria, I. okamurae, and C. intermedius.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ovel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s.

강릉 연안의 해조군락과 유용 해조자원 분포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 손철현;최창근;김형근
    • ALGAE
    • /
    • 제22권1호
    • /
    • pp.45-52
    • /
    • 2007
  • An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l vegeta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at Kangnung and it’s vicinity,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to clarify the community structure and vertical distribution by quadrat method. Marine algae identified from the area were 116 species; 15 green, 31 brown and 70 red algae. The dominant species were Ulva pertusa, Codium fragile, Undaria pinnatifida, Dictyota dichotoma, Gelidium amansii, Corallina pilulifera, Carpopeltis affinis, Grateloupia filicina, Pachymeniopsis elliptica and Chondrus ocellatus at study site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intertidal marine algae wa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zones. They were characterized by Porphyra tenera at the upper, Enteromorpha spp. and Ulva pertusa at the middle, and Sargassum thunbergii, Hizikia fusiformis and Pachymeniopsis elliptica at the lower zones, respective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zone algae were characterized by Laminaria spp. at 15m depth and Kjellmaniella crassifolia at 15 to 25 m depths, whereas Agarum cribrosum was dominant at the lower zone than 25 m depth.

In vitro Screening of Seaweed Extract 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and Thymus Cell

  • Seo, Young-Wan;Kang, Sung-Ho;Lee, Hee-Jung;Kim, You-Ah;Youn, Hyun-Joo;Lee, Burm-Jong;Chung, Ho-Su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2호
    • /
    • pp.160-163
    • /
    • 2006
  • A total number of 31 types of seaweed were assessed with regard to their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and thymus cells in a culture, using an MTT reduction assay. Acetone:dichloromethane (1:1) extracts of three seaweed plants: Derbesia marina, Sargassum sp., and Hisikia fuziformis, exhibit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survival of mouse spleen and thymus cells in vitro. The acetone:dichloromethane (1:1) extracts of Sargassum sp., in particular, much more potent effects on thymus cell activation than did any of the other types of seaweed. However, the methanol extracts of Sargassum ringgoldianium and Chondrus crispus exerted a stimulatory influence only 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whereas the methanol extracts of Grateloupia lanceolata exhibited significant cell proliferation properties in both spleen and thymus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