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ss weed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4초

벼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및 생육 차이 (Occurrence and Growth of Grass and Sedge Weeds in Paddy Fields with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 김형곤;심상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59-71
    • /
    • 2016
  • 논에서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양상을 확인하고 벼에 대한 피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벼 이앙기를 4월 30일부터 6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달리하여 이앙 한 후 5월 20일부터 잡초발생과 벼의 생육을 확인하였다. 잡초들의 발생본수는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 모두 1차와 2차 이앙시기에 이앙한 시험구에서 발생본수가 많았으며, 크게 1, 2차 이앙구와 3, 4, 5, 6차 이앙시기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개체 당 건물중이 비교적 큰 피는 7월까지는 조기 이앙한 경우 건물중이 큰 값을 보였으나 8월 이후에는 만기 이앙한 시험구에서 건물중이 더 큰 값을 보였다. 반면 사초과 잡초는 지속적으로 빨리 이앙한 경우가 늦게 이앙한 경우보다 건물중이 높은 값을 보였다. 논의 써레질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조기에 잡초가 발생하고 높은 잡초생장률을 보이며 잡초의 경합력이 커져 벼의 생육과 수량이 줄어들었다. 잡초생장율을 기준으로 볼 때 화본과는 사초과 잡초에 비해 출수기 이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Evaluation of Herbicides for Management of Weeds in Cultivation of Panax quinquefolius L.

  • B Capell;R.D Reeleder;R Grohs;B Zilkey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35-147
    • /
    • 1999
  • Nine herbicide products (fluazifop-p-butyl, clethodim, MCPA-sodium, 2,4-0 amine, chlorthal dimethyl, diquat, glyphosate, ethalfluralin and oryzalin) were evaluated for use o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Products varied in their ability to suppress weeds and certain materials were phytotoxic to ginseng in some trials. Chlorthal dimethyl (broadleaf weeds), MCPA-sodium (broadleaf weeds), fluazifop-p-butyl (grass weeds), and clethodim (grass weeds) were found to be effective as weed control agents and did not adversely affect ginseng growth. Other products tested were either not efficacious or were phytotoxic to ginseng in some trials. Weed populations were mainly introduced into the planting sites via the straw mulches used in ginseng cultivation.

  • PDF

잡초 출아전 토양처리용 제초제의 처리가 잔디밭 잡초 방제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Pre-Emergence Herbieide for Control of Lawn Weeds)

  • 이명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69
    • /
    • 198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herbicides and their damages to lawn plant for the control of lawn weeds using pre-emergence granule herbicide at the two years old lawn fiel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Herbicidal damages to lawn grass were observed at the higher concentration than the recommended level in four herbicides used in this trial. The optimum dosages for the control of lawn weeds were 3-6g in Lasso, 3g in Machet, 8-24g in Simazine, and 4g in Trifluralin, respectively. 2)No herbicidal damages was observed in Simazine treatment, whereas Lasso and Machet treatment showed a little and severe herbicidal damages, respectively. The most severe damage was found in Trifluralin treatment, indicating that this herbicide is not suitable for the control of lawn weeds.

  • PDF

Synthesis and Herbicidal Activities of N-Phenyl Oxadiazolidinedione Derivatives

  • Kim, Hyung-Jin;Hwang, Kwang-Jin;Park, Chong-Hoe;Lee, Jae-H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6호
    • /
    • pp.717-722
    • /
    • 1993
  • N-Phenyl oxadiazolidinedione derivatives II were synthesized and their herbicidal activities were measured against grass weeds. A parabolic relationship between molar refractivity (MR) of meta substituents of dione Ⅱ and their herbicidal activities was observed. With the substituents having MR value=${\sim}15$, the higher activities were obtained. Especially, the highest herbicidal activity (97% inhibition of weeds at 0.25 kg/ha) was observed by propyne IIr containing propargyloxy group as meta substituent.

잔디밭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선택성(選擇性) 제초제(除草劑)의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Selective Heribicide for Control of Weeds in Turf)

  • 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6-199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잔디밭 잡초방제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행하기 위한 선택성(選擇性) 제초제(除草劑)의 개발과 약제제초방법(藥劑除草方法)을 추구할 목적으로 신규(新規)제초제와 기존(旣存) 제초제의 단제(單劑), 혼합(混合) 또는 조합(組合)하여 21종의 제초제에 대하여 한지형(寒地型) 잔디 2 종과 난지형(暖地型) 잔디 1종 그리고 잔디밭 우점초종(優占草種) 18 종을 대상으로 잔디 이식후 4 일 후 및 25 일 후 잡초발아전 처리를 행하였고 또한 잡초 발생 후 경엽처리를 실시하였으며,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봄, 가을 및 잔디 휴면기(休眠期)에 제초제룰 처리하였고 아울러 포장적응성 실험을 행하여 잔디에 대한 생육 혹은 약해와 제초효과를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디 이식 후 4 일 후 및 25 일 후 처리에서 한국잔디와 2 종의 벤트그래스에 안정성이 인정되는 약제 및 약량은 napropamide 200 - 400 g /10 a prod., napropamide + triclopyr 100 + 200 g, 150 + 150g 및 200 + 100g, triclopyr 300 - 500 g, benefin 1500 - 2500 g 이었다. Simazine, lenacil, bentazon은 벤트그래스에는 다소(多少)의 생육 감소가 있었으나 한국잔디에는 안전하였다. 2. Simazine, benefin, napropamid + simazine의 토양겸(土壤兼) 경엽처리(莖葉處理)에 의한 제초효과는 바랭이, 방동사니, 명아주, 쇠비름, 중대가리풀 등 공시 초종 모두에 대해서 우수하였다. Lenacil은 명아주에 대해서 전혀 효과가 없었고, napropamide는 광엽에 대해서, triclopyr는 방동사니와 쇠비름에 대해서, bentazon은 바랭이에 대해서 약간의 잔초(殘草)가 있었고 각 약제 모두 가타 공시초종에 대한 방제효과는 우수하였다. Napropamide 또는 triclopyr에 simazine을 조합처리(組合處理)했을 때 제초효과는 상승되었다. 3. 경엽처리제(莖葉處理劑) 중 mecoprop, bentazon, benefin + dicamba, benefin + mecoprop는 벤트그래스에 대하여 안정성이 있었다. 한국잔디에 대한 생육억제는 simazine + atrazine을 제외한 공시경엽처리제 모두 인정할 수 없었다. 4. 경엽처리제(莖葉處理劑) 중 피에 대한 효과는 mecoprop과 triclopyr를 제외한 공시약제 모두 85~100%의 높은 방제율이었다. 바랭이에 대해서는 공시약제 모두 60 - 85% 범위의 방제율을 나타내고, 방동산이에 대해서는 bentazon만 100%의 방제율을 보였다. 매듭풀에 대해서는 benefin + mecoprop가 저조(低調)한 효과를 나타냈을 뿐 기타 약제 모두 90-100%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5. 봄철 토양겸(土壤兼) 경엽처리(莖葉處理)를 한 잔디의 생육은 simazine, lenacil, napropamide + simazine 처리에서 벤트그래스가 감소되었고 기타 처리에서는 공시잔디 3 종 모두 좋은 생육율을 나타냈다. 제초효과는 lenacil과 bentazon이 피에 대해서, bensulide가 망초에 대해서, napropamide와 bentazon이 매듭풀에 대해서 각각 저조(低調)하였을 뿐 기타 처리에서는 85~100%의 우수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6. 가을철 토양겸 경엽처리에서의 잔디생육은 봄에 처리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제초효과는 triclopyr가 피에 대해서, bentazon 과 pendimethalin이 새포아풀에 대해서 다소 떨어진 결과였다. 광엽(廣葉)의 제초효과는 냉 이가 napropamide, benefin, bensulide에 대해서 매우 내성(耐性)을 보였고 별꽃에 대해서 napropamide, bentazon, napropamide + triclopyr, benefin의 효과가 낮았다. 벼룩나물과 점 나도나물은 공시약제 모두에 80 - 100%가 방제되었다. 7. 한국잔디 휴면기(休眠期) 처리(處理)에서 paraquat나 glyphosate의 잔디에 대한 약해는 없었다. 一年生인 새포아풀의 방제효과는 우수하였으나 다년생(多年生)은 토끼풀>억새>메꽃${\geq}$쑥의 순으로 다소(多少)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8. 공시약제 19 종 모두 한국잔디 포장에서의 약해는 없었다. 잡초 발아전 토양겸 경엽처리제 10 종 모두 다년생에 대해서는 효과가 거의 없거나 미약(微弱)하였으나 1년생 잡초에는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잡초 발생 후 2 - 3 엽기 처리에서 공시약제 모두 광엽잡초에 대하여 우수한 살초효과를 나타냈고 기타 다년생 및 일년생 화본과와 방동사니에 대한 살초효과는 미약(微弱)하거나 거의 없었다.

  • PDF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 초지에서 목초, 잡초 식생 군락간 상호작용 (The Interaction Index Between Grasses and Weeds in the Grassland Composed with Mainly Perennial Ryegrass)

  • 임근발;성병렬;이현준;안병석;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5-112
    • /
    • 2006
  • 본 시험은 페레니얼라이그라스 위주 초지에서 목초 및 잡초의 건물중의 분포와 기능 및 목초와 잡초간 경합에 의한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 페레니얼라이그라스 위주 초지를 조파조성 및 조파 조성후 보파 관리하여 연 3회 예취와 방목이용하고 이 초지에서 발생량이 많은 잡초인 냉이, 바랭이와 피에 대하여 조파 및 보파한 채초지와 방목지에서 목초와 각 잡초간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목초와 잡초간 상호작용의 측정을 위해 기대수량(expected yield : P), 상대지수(relative yield total : RYT), 보상지수(compensation index: CI) 및 형태지수 (morphological index: MI) 등 지수(Index)를 도입하였다. 도입된 이들 지수의 측정은 봄, 여름 및 가을의 각 예취 직전에 이루어졌는데 측정된 각 지수는 각 처리구별 예취 시기별 및 잡초 종류 따른 차이와 변화가 인정되었다. 기대수량의 경우 가을 이용시기에 보파에 의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상대수량에 있어 0.17에서 0.41 범위에 있어 크게 개선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지수는 -0.3에서 -0.6 범위로 모두 과소보상(+, --)으로 나타나 잡초에 의한 수량감소가 크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페레니얼라이그라스 위주 초지에서 보상지수를 감소시키는 주요 잡초인 바랭이, 피의 경우 방목이용에 따른 페레니얼 위주 초지의 개선효과 보다 조파 및 조파 후 보파관리에 의한 개선효과는 크지 않았다.

Chloroacetamide형(型) 화합물(化合物)의 합성(合成)과 제초활성(除草活性) (Synthesis of Chloroacetamide Compounds and their Herbicidal Activities)

  • 홍무기;정영호;오세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34-240
    • /
    • 1988
  • 2,6위(位)의 alkylaniline 또는 3,4위(位)의 chloroaniline으로부터 N-(1'-methoxycarbonylethyl)-N-chloroacetyl-2,6-dimethylaniline(ACRI-S-8609) 등(等) chloroacetamide형(型) 화합물(化合物) 7종(種)을 합성(合成)하여 elemental analyzer, NMR, GC/MS 등(等)에 의(依)하여 화학구조(化學構造)를 확인(確認)하였다. 합성(合成)한 화합물(化合物)은 25% 수화제(水和劑)로 제제(製劑)하여 몇가지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 및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對)하여 50g, 100g 및 200g a i/10a로 발아전(發芽前) 처리(處理)를 하여 제초활성(除草活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CRI-S-8701은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에 , ACRI-S-8702는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對)하여 가장 강(强)한 제초활성(除草活性)을 나타냈으며 200g a i/10a처리시(處理時), 각각(各各) 95%, 81%의 잡초(雜草)가 방제(防除)되었으나 3,4위(位)의 chloroaniline으로부터 합성(合成)한 ACRI-S-8705${\sim}$7은 제초활성(除草活性)이 아주 약(弱)하였다. 화학구조(化學構造)와 제초활성(除草活性)과를 관련(關連)지어 보면 benzene ring의 3,4위(位)의 chloro 치환(置換) 화합물(化合物)보다 2,6위(位)의 alkyl 치환(置換) 화합물(化合物)이 대체로 제초활성(除草活性)이 높은데 그 중(中)에서도 ACRI-S-8701은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 방제용(防除用)으로 개발(開發)할 가치(價値)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주요(主要) 논잡초(雜草)의 광도(光度)에 따른 광합성(光合成) 능력(能力)의 초종간(草種間) 차이(差異) (Photosynthetic Activity of Major Paddy Weeds at Various Light Intensities)

  • 구연충;박태식;권규칠;박석홍;함영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1-155
    • /
    • 1983
  • 논에 발생(發生)하는 주요잡초(主要雜草)에 대(對)한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을 구명(究明)하여 벼와 잡초(雜草)와의 경합관계(競合關係)를 밝히고자 잡초(雜草) 8 종류(種類), 벼 2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광합성(光合成) 능력(能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종별(草種別)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너도방동산이 (Cyperus serotinus) > 물피 (Echinochloa crus-gall) > 가막살이 (Bidens tripartita) >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 여뀌바늘 (Ludwigia prostrata) 순(順)으로 높았으며 반면(反面)에 호흡율(呼吸率)용 가막살이 (Bidens triparlita) >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 너동방동산이 (Cyperus serotinus) > 알방동산이 (Cyperus difformis) 순(順)으로 높았다. 2. 광도별(光度別)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올미 (Sagittaria pygma) 등(等)은 30 Klux 정도(程度)가 광포화점(光飽和點)으로 보여졌으나 기타(其他) 잡초(雜草)들은 광도(光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광합성(光合成)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잡초(雜草)와 벼와의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잡초(雜草)가 2 배(倍) 이상(以上) 높았으며 광도(光度) 증가(增加)에 따른 증가율(增加率)도 잡초(雜草)가 높았다. 4. 단위건물중당(單位乾物重當)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보다 광엽잡초(廣葉雜草)에서 높은 경향(傾向)이며 비엽면적(比葉面積)도 광엽잡초(廣葉雜草)에서 높았다.

  • PDF

한반도 지역에서 관측된 꽃가루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Pollen Concentration in Korean Peninsula)

  • 박기준;김헌애;김규랑;오재원;이선영;최영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67-176
    • /
    • 2008
  • Airborne pollen is known as one of the major causal agents to respiratory allergic reactions. Daily number of pollen grains was monitored using Burkard volumetric spore traps at seven locations including Seoul and Jeju during 1997-2007. Pollen grain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year especially from February to November. They showed similar distribution patterns of species among locations except in Jeju, where Japanese cedar vegetation is uniquely found. Peak seasons for pollen grains from trees and weeds were March to May and August to October, respectively. Tree pollens were mainly composed of pine, oak, alder, and birch. Weed pollens were mainly from Japanese hop, Worm wood, and ragweed. Diameter of pollen grains, which has a typical range of $20{\sim}60{\mu}m$, has close relationship with allergenicity. Allergenicity of tree and weed pollens is higher than that of grass pollens in general. In the case of trees and shrubs, pine trees account for about 70% of all tree pollens. However, pine pollens are weak allergens. The remaining 30% of tree pollens, including alder trees, white birches, and oaks, are moderate to strong allergens despite the smaller numbers. Grass and weeds are also highly likely to cause allergies. Especially, the pollens of Wormwood and Japanese hop are highly likely to cause allergies. Daily fluctuations in the number of pollens have to do with a variety of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rainfall.

온실과 포장조건에서 수수 추출물 Sorgoleone의 제초활성 및 작물 선택성 (Herbicidal Effects and Crop Selectivity of Sorgoleone, a Sorghum Root Exudate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 로미즈 우딘;원옥재;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2-420
    • /
    • 2010
  • 잡초는 농업생태계에서 경합에 의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며, 환경 및 인류의 부정적인 관심 때문에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합성 제초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수 추출물의 일종인 sorgoleone의 제초활성과 작물 선택성을 온실과 포장조건에서 검정하였다. Sorgoleone은 토양처리와 경엽처리에서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화본과 잡초보다 광엽잡초에서 효과가 높았다. 온실조건에서 대부분 광엽잡초의 생장은 Sorgoleone $200\;{\mu}g\;ml^{-1}$에서 80%이상 억제되었고, 소리쟁이와 갈퀴덩굴은 완전히 고사되었다. 포장조건에서도 sorgoleone의 제초활성은 광엽잡초에 가장 우수하였고, 방동사니, 화본과 잡초 순이었다. 포장조건에서 잡초생장 억제정도는 전반적으로 온실조건보다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벼, 보리, 밀, 옥수수, 콩, 들깨, 토마토와 배추에서는 sorgoleone에 의한 생장억제는 거의 없었으나 상추와 오이는 생장이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