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ss Maturit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Methane Production of Different Forages i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 Meale, S.J.;Chaves, A.V.;Baah, J.;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86-91
    • /
    • 2012
  • An in vitro rumen batch culture study was completed to compare effects of common grasses, leguminous shrubs and non-leguminous shrubs used for livestock grazing in Australia and Ghana on $CH_4$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Grass species included Andropodon gayanus, Brachiaria ruziziensis and Pennisetum purpureum. Leguminous shrub species included Cajanus cajan, Cratylia argentea, Gliricidia sepium, Leucaena leucocephala and Stylosanthes guianensis and non-leguminous shrub species included Annona senegalensis, Moringa oleifera, Securinega virosa and Vitellaria paradoxa. Leaves were harvested, dried at $55^{\circ}C$ and ground through a 1 mm screen. Serum bottles containing 500 mg of forage, modified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were incubated under anaerobic conditions at $39^{\circ}C$ for 24 h. Samples of each forage type were removed after 0, 2, 6, 12 and 24 h of incubation for determination of cumulative gas production. Methane production, ammonia concentration and proportions of VFA were measured at 24 h. Concentration of aNDF (g/kg DM) ranged from 671 to 713 (grasses), 377 to 590 (leguminous shrubs) and 288 to 517 (non-leguminous shrubs). After 24 h of in vitro incubation, cumulative gas, $CH_4$ production, ammonia concentration, proportion of propionate in VFA and IVDMD differed (p<0.05) within each forage type. B. ruziziensis and G. sepium produced the highest cumulative gas, IVDMD, total VFA, proportion of propionate in VFA and the lowest A:P ratios within their forage types. Consequently, these two species produced moderate $CH_4$ emissions without compromising digestion. Grazing of these two species may be a strategy to reduce $CH_4$ emissions however further assessment in in vivo trials and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is recommended.

Chemical Composition, Herb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Panicum antidotale and Pennisetum orientale for Nili Buffaloes at Different Clipping Intervals

  • Sarwar, Muhammad;Mahr-un-Nisa, Mahr-un-Nisa;Khan, M. Ajmal;Mushtaque,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76-180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clipping interval of Pennisetum orientale (PO) and Panicum antidotale (PA) to get maximum biomass production with optimal nutritional value for Nili buffaloes. Two clipping intervals i.e. $CI_1$, and $CI_2$ (clipped after every one and two months, respectively) were studied for both grasses. The data on various parameters were compared with PO and PA each clipped at 4 months of age (control). Leaf to stem ratio in both PO and PA declined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Concentration of dry matter (DM) and organic matter (OM) increased (p<0.05) whereas crude protein cont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in both grasses. Crude protein and dry herbage yields in PO and PA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The DM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digestibilities of PO and PA in ruminally cannulated buffalo bulls decreased (p<0.05) due to more lignification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Ruminal extent of digestion, rate of disappearance of DM and neutral detergent fiber of PO and PA decreased in buffaloes while ruminal lag time of these nutrient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The results from the study imply that two month clipping interval for both PO and PA grasses favored higher biomass with greater nutritional value for Nili buffaloes and sustained grass vigor.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건물축적형태화 곤포사일리지 조제이용 (Study on Baled Silage Making of Selected Forage Crop and Pesture Grasses II. Yield performance and nutritieve evaluation of baled silage as affected by stage of growth)

  • 김정갑;한민수;김건엽;한정대;강우성;신정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8-206
    • /
    • 1995
  •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사료작물과 목초류 7종(호맥, 대맥, 연맥, Italian ryegrass, alfalfa, orchardgrass 및 혼과목초)을 공시재료로 하여 곤포사일리지(BS=baled silage making)조제이용을 위한 수확시기와 이때의 BS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에 있어서 작물재배는 농촌진흥청의 사료작물 및 목초 표준경종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사일리지 조제작업중 BS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각형 베일러를 이용 개체당 크기 90cm$\times$60cm$\times$50cm, 중량은 건물기준 20kg 내외, 곤포압착 21~23mm를 유지하여 조제하였다. 한편 고수분 재료는 수분정도에 따라 예건처리(무처리, 0.5일 및 1.0일)와 formic acid(무처리, 0.3% 및 0.6%)를 병행 처리하여 BS 를 조제하였다. 맨류작물의 BS 생산을 위한 수확적기는 대맥, 황숙기, 호맥과 연맥은 유숙기 이었으며 이때의 BS 수량은 각각 11.92톤(대맥), 12.64톤(호맥) 및 8.41톤/ha(연맥)이었다. Italian ryegrass 및 목초의 수확적기는 각 초종 모두 개화기로서 년간 BS 생산성은 Italian 13.81톤(2회 예취), 혼파목초 11.46톤(3회), alfalfa 10.62톤/ha(3회)이었다. 한편 조기수확에 따른 고수분 재료의 BS 품질은 무처리시의 35점에서 예건 및 FA 동시처리시에는 84점으로 향상되었다. Italian tyegrass의 BS품질도 무처리시의 61점에서 예건 및 FA 처리시에는 88점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 PDF

초어 및 백련의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 1971 (PROPAGATION OF GRASS CARP AND SILVIR CARP, 1971)

  • 김인배;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113-120
    • /
    • 1971
  • 1963년에 일본으로부터 도입한 치어 (금, 1963; 등삼, 1963)로부터 자란 초어와 백련을 이용하여, 1970년도에 이어 1971년도에 인공 채란 부화에 의한 종묘 생산을 시도하여 $2\~3cm$되는 종묘 약 15만 마리를 생산하였으며, 종묘 생산 과정에 있어서 문제된 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채란 부화에 사용하는 친어는 사전 관리의 충실, 외관상 충실한 친어를 선택하여 hormone을 주사할 것 등은 물론이고, 주사 또는 채란시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여 알이 성숙 배란할 때까지 친어의 몸이 쇠약하지 않아야 성숙 배란이 가능하다고 인정되었다. 그리고, 사용하는 뇌하수체의 양은 피주사어의 $2\~3$배 체중량의 어체로부터 뽑은 정도로 조금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았다. 2. 성숙한 알은 성숙치 완료한 후 지체 없이 배란 수정시켜야 한다. 만약 배란 수정이 늦어지면 알의 부화운치 심하게 낮아진다고 인정된다. 3. 한번 부화시킨 물을 갈지 않고 즉시 계속하여 새로운 알을 수용, 부화를 시키니 부화전에 알이 모두 용해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4. 가두리에서 치어 사육을 하면, 생산된 종묘의 포획과 분양에 대단히 편리하지만, 가두리 속의 수질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특히, 용수는 호오스 또는 파이프를 통하여 가두리 속으로 계속 주입시켜야 한다. 5. 자어 또는 치어 사육용 가두리 속에 Spirogyra 사상 조류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그 피해가 심하다. 이 때는 광선을 차단하고, 플랑크톤 조류가 적당히 발생한 못의 물을 주입함으로써 그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맑은 샘물을 주입하니 사상 조류의 발생이 대단히 심하였다. 6. 백련 종묘는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포획 운반을 하면 대부분 죽는데, 가두리에서 육성시킨 $1.5\~2cm$ 정도 소형 종묘는 여름철에도 포획 운반이 가능하므로 가을 운반을 위한 성장 억제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 PDF

골프코스에서 페어리링의 원인이되는 Vascellum curtisii의 특징과 방계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of Vascellum curtisii (Berkeley)Kreisel Causing the Fairy Ring Arcs in the Golf Course in Korea)

  • 최대홍;이정한;김희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1-178
    • /
    • 2008
  • 골프코스에 농녹색으로 형성된 페어리링(arc)에서 군집으로 자라난 말불버섯목에 속하는 버섯을 발견하고, 분류학적 특성을 조사한 후 Vascellum curtisii로 동정하고, 친환경 방제법을 시도하였다. 버섯의 자실체 형태를 관찰한 결과 외피(exoperidium)상에 미세한 섬유상의 침상돌기(spine)가 빽빽하게 발달하였고, 촉감은 부드러웠으며 5-6개의 침상돌기(spine)가 끝이 한 곳으로 모아진 모양(Connivent)이 관찰되었다. 자실체는 점점 성숙하면서 spine은 점점 퇴화되어 길이가 짧아지고 약간의 갈색으로 변하면서 결국은 자실체 표면 위에 가루로 남게 된다. 흰색의 내피(endoperidium)는 회갈색으로 성숙된 후에는 중앙 정상부가 약간의 갈색을 띄기 시작하면서 구멍(apical pore)이 발달한다. 내부의 포자형성조직(gleba)은 초기에 다육질의 흰색이었다가, 성숙하면 내부에 올리브 갈색의 기본체(gleba)가 발달하고, 내부에 포자가 발달한다. 포자가 발달하지 않은 하부의 조직(subgleba or sterile babe)은 폭이 좁고, 조직내부는 챔버형이며 gleba와는 막(papery membrane)으로 구분되는 것이 특징이다. 포자는 올리브 갈색으로 크기는 $3-3.5{\mu}m$로 구형이며 돌기가 있으며 두꺼운 벽으로 되어있다. 또한 Lycoperdon 속과는 구분되는 특징으로 중요한 paracapillitium이 관찰되었는데 폭이 $8-9{\mu}m$로 넓고, KOH에 반응하지 않았으며 무색(hyaline)으로 그 벽은 얇다. 외관상 유사한 Vascellum pretense과 Lycoperdon pulcherrimum과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비교하였다. 방제법은 농녹색의 ring arc를 직각으로 강하게 긁어서 thatch층이 노출되어 갈색을 띄게 될 때까지 균사매트를 파괴시킨 후 세제용액 500배액을 처리하고 1-2주후에 무처리와 비교한 결과 효과가 뛰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