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vin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7초

Development of Virus-Induced Gene Expression and Silencing Vector Derived from Grapevine Algerian Latent Virus

  • Park, Sang-Ho;Choi, Hoseong;Kim, Semin;Cho, Won Kyong;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371-376
    • /
    • 2016
  • Grapevine Algerian latent virus (GALV) is a member of the genus Tombusvirus in the Tombusviridae and infects not only woody perennial grapevine plant but also herbaceous Nicotiana benthamiana pla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GALV-based gene expression and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vectors in N. benthamiana. The GALV coat protein deletion vector, pGMG, was applied to express the reporter gene,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 but the expression of GFP was not detected due to the necrotic cell death on the infiltrated leaves. The p19 silencing suppressor of GALV was engineered to inactivate its expression and GFP was successfully expressed with unrelated silencing suppressor, HC-Pro, from soybean mosaic virus. The pGMG vector was used to knock down magnesium chelatase (ChlH) gene in N. benthamaina and the silencing phenotype was clearly observed on systemic leaves. Altogether, the GALV-derived vector is expected to be an attractive tool for useful gene expression and VIGS vectors in grapevine as well as N. benthamiana.

포도뿌리혹벌레(Daktulosphaira vitifoliae)약제방제 효과 및 피해 (Chemical Control of Grape Phylloxera, Daktulosphaira vitifoliae (Homoptera: Phylloxeridae) and Its Damage in Grapevine Yards)

  • 김동순;조명래;나승용;이준호;전흥용;임명순;최용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7-143
    • /
    • 2002
  • 포도뿌리혹벌레(Daktulosphaira vitifoliae (Fitch))는 포도나무 뿌리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뿌리에 혹이 생기게 하며 그 뿌리가 곧 썩어 결국 나무를 죽게 하는 포도나무의 치명적인 해충이다. 본 연구는 포도뿌리혹벌레 약제방제 체계를 수립하고자 몇 가지 살충제의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포도원에서 뿌리혹벌레 피해를 조사하였다. Carbofuran 3GR 40kg/ha 및 carbosulfan 20WP 10$\ell$/주(1,000$\times$)처리는 효과적으로 포도뿌리혹벌레 발생밀도를 낮출 수 있었다. 하지만 봄철 약제살포 후 포도뿌리혹벌레 발생밀도는 수확기 때 다시 증가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봄철(5월중순)과 수확 후 carbofuran을 2회 살포한 과원에서 수량변화는 1988년 대비 2000년 30%증가하였다. 하지만 이 수량은 전국평균포도 수량보다 20%적었다 약제 방제를 하지 않은 과원에서는 수량이 1998년 대비 2000년 53%감소되었다. 또한 포도뿌리혹벌레 피해주가 1998년 3%에서 2000년 5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충북지방의 뿌리혹병 감염 포도나무 뿌리에서 분리한 Agrobacterium속 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grobacterium spp. Isolated from Roots of the Crown Gall-infected Grapevine in Chungbuk)

  • 양승업;박세정;이영기;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77-82
    • /
    • 2009
  • 최근 혹병이 심하게 발생한 충북지방의 포도나무의 뿌리로부터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속 세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분리균의 지방산 분석을 통한 MIDI에 의한 동정, 16S rDNA 염기서열, 생화학적 특성, 종 특이적 primer을 이용한 PCR 결과로 13개 분리균은 모두 A. tumefaciens로 동정 되었으며, 포도나무 혹병균인 A. vitis는 분리되지 않았다. 모든 분리균은 토마토와 포도나무의 줄기와 뿌리에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ep-PCR 결과 분리균은 A. tumefaciens와 일부 유사성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병원균인 A. tumefaciens와 A. vitis와는 유사성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충북 일부 지방의 MBA와 거봉에서 발생한 혹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토양이나 뿌리로부터 전반되지 않고 묘목을 통해서 전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Grapevine Cluster Thinning Task using Working Chair

  • Lee, Kyung-Suk;Kim, Hyo-Cher;Chae, Hye-Seon;Kim, Kyung-Ran;Lim, Dae-Seop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5-401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orking chair that was developed for farmers who work in grapevine's cluster thinning. Background: Agricultural work involves some of the nation's highest occupational risk exposures. Fruit cultiv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hazardous crops in which to work. Grapevine cluster thinning task involve activities related to the mai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upper limb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Method: An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the working chair. Six healthy male($25.8{\pm}4.9yea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Electromyography(EMG) was used to monitor the muscles activity, and Electro-goni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ranges of motions of the elbow, trunk and knee. Subjective test was also carried out to examine discomfort body parts and their pain intensity. A grapevine's working space was built for the experiment and working chair was installed on it. In order to examine the muscle activity and range of motion, subjects used to the working chair for 30 minutes for each experimental condition. Another test without working chair was also performed for comparison. %MVC was used to quantify the level of muscle activity. Results: Decreases of muscle activity was found in all leg muscles and significant decrease of muscle activity was found in left Gastrocnemius. The range of motion of the trunk and knee also decreased when working chair used. Discomfort in lower back, thigh and shank region were reduced significantly. However, in upper limbs muscle activity tended to increase in working chair compared with conventional task. Conclusion: Improvement for cushion in seat back and pan required to reduce discomfort in buttocks. Application: Overall findings verified that the working chair might help to prevent upper limb and lower back MSDs based on the current study. These results can be practically used for work improvement for the grapevine growers to prevent MSDs.

자외선 조사 포도 잎에서 Stilbene 화합물의 동정과 함량의 변화 (The Identification of Stilbene Compounds and the Change of Their Contents in UV-irradiated Grapevine Leaves)

  • 최성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374-381
    • /
    • 2011
  • Stilbene 화합물은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폴리페놀계의 천연물이다. 포도를 포함하는 몇몇 종류의 식물에서 stilbene 화합물은 resveratrol의 유도체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자외선 조사 포도 잎에서 stibene 화합물을 정량 분석하기에 앞서, 먼저 각 stilbene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외선을 심하게 조사한 잎에서 stilbene 배당체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배당체 시료는 ${\beta}$-glucosid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한 후, 특정 stilbene 화합물의 질량에 해당하는 m/z에서 HPLC-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chromatogram상에는 glycoside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peak의 감소와 aglycone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peak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stilbene 화합물의 광 이성질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시료를 일광에 노출하였으며, 광 노출에 의해 trans-isomer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peak의 소멸과 cis-isomer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peak의 생성이 나타났다. Chromatogram상의 peak의 이러한 증감으로부터 각 peak의 성분을 유추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포도 잎에서 16종의 stilbene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자외선을 조사한 포도 잎에서 동정된 화합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포도 잎에서 총 stilbene 함량의 상당한 증가를 가져왔는데 특히 trans-resveratrol은 수백 배 증가하였다. 또한, resveratrol보다 더 강한 radical 소거 활성을 가지지만 무처리 잎에서는 단지 미량으로만 존재하는 piceatannol의 함량 역시 수십배 증가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이러한 stilbene 함량의 증가는 hormesis 현상으로서 포도의 스트레스 대응 반응의 하나로 생각된다.

포도농가의 병해충 인식 및 화학적 방제 실태 (The present knowledge of farmers on pests and chemical control in grapevine culture)

  • 차병진;이윤상;이형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8-43
    • /
    • 2000
  • 포도 병해충 방제기술 확립을 위한 연구의 기초단계로서 포도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병해충 방제실태 및 피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방제가 가장 어려운 해충은 포도호랑하늘소와 포도유리나방이었으나, 병은 탄저병, 노균병, 흰가루병, 새눈무늬병, 갈색무늬병 등 다양하였다. 병충해의 발생은 포도 재배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해충보다는 병에 의해서, 시설재배보다는 노지비가림재배에서 감수율이 더 컸다. 농가의 병충해 식별능력은 높다고 할 수 없었으며, 병충해가 발생하면 주로 농약상이나 이웃 농가에 문의하고, 농약상이 처방해 주는 농약을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제력을 활용하는 농가는 사용하지 않는 농가보다 적었으며, 대부분의 농가가 예방차원에서 방제를 하고 있었다. 반 이상의 농가가 적어도 한가지의 농약을 영양제와 혼합처리하고 있었으며, 살충제는 5회 이내로 처리하는 반면, 살균제는 6회 이상을 처리하고 있었다. 단위 면적 당 방제비용은 변이 폭이 매우 컸다.

  • PDF

국내 신품종 포도 품종 진옥, 홍이슬의 수체양분분포 및 양분요구도 (Nutrient Distribution and Requirements of Jinok, Hongisul Grapevine Bred in Korea)

  • 정성민;장은하;김진국;박서준;남종철;노정호;허윤영;박교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7-335
    • /
    • 2012
  • 년간 시비기준량을 설정하기 위해 포도 신품종(진옥, 홍이슬)의 각 부분의 양분흡수량을 4년간 조사하였다. 첫번째 해에는 다른 품종보다 진옥 품종의 뿌리 발달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2년 생장한 포도와 비교해 볼 때 3~4년 생장한 포도는 비슷한 비율의 양분을 흡수하였지만 약 30%의 양분이 과실로 배분되었다. 칼륨은 과실에 있어서 중요한 양분으로 과피와 과육에 건물중 대비 약 1%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마그네슘은 주로 엽병에 건물중 대비 약 1%로 집적되었다. 칼슘은 잎에 축적되었고(0.95%) 그 양은 잎의 질소함량(1.25%)과 비슷한 양이었다. 진옥 품종의 4년생 양분요구량은 질소 55.5g, 인산 7.7g, 칼륨 42.0g, 칼슘 34.6g, 마그네슘 11.1g으로 캠벨얼리 품종의 질소 57.4g, 인산 7.9g, 칼륨 44.4g, 칼슘37.3g, 마그네슘 12.2g 보다 적은양임을 알 수 있었다. 다른 품종에 비해서 홍이슬의 경우에는 적은양의 양분이 요구되었는데 낮은 발아율과 빈가지 증상을 조절할 수 있는 재배적 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포도나무가지 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 및 염증 발현 매개인자 생성 억제 효과 (Effects of the Grapevine Shoot Extract o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 허선경;이상국;김선숙;허연회;안수미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9권3호
    • /
    • pp.188-193
    • /
    • 2001
  • Free radical scavengers or quenching agents fo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esent in consumable fruits, vegetables, and beverage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potential antioxidants, and thus uses for treatment of several human diseases. In this study, grapevine shoot extract (GSE)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resveratrol and viniferine was evaluated for antioxidant potential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Utiliz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XOD) inhibition assay the GSE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XOD activity with the $IC_{50}$/ values of 34.5 and 155 $\mu\textrm{g}$/ml, respectively. In addition, GSE also exhibited the inhibition of prostaglandin E$_2$ (PGE$_2$)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with the $IC_{50}$/ value of 6.4 and 14.5 $\mu\textrm{g}$/ml,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s that grapevine shoot extract has the potential activity as a natural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agent.

  • PDF

열처리와 생장점 배양 및 항바이러스제 처리에 의한 포도 GLRaV-3의 무독화효과 (Effects of Thermotherapy and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 Antiviral Compounds for GLRaV-3 Elimination in Grapevines)

  • 김현란;정재동;박진우;최용문;임명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55-160
    • /
    • 2003
  •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virus 3(GLRaV-3) is one of the most severe pathogens for viral diseases found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virus-free stock production system for the virus disease control. The effects of thermotherapy, merestem culture and chemotheratpy to eliminate the GLRaV-3 in gratevines were tested. Thermotherapy at 37$\pm$2$^{\circ}C$ for 6∼8 weeks combined with 0.5∼1.0mm size of meristem culture method was the most effective for virus elimination. Thermotherapy alone was not effective. In chemotheratpy, DHT and Amantadine (20, 40mg/L) treatment in medium was more effective than Ribavirin to eliminate the GLRaV-3 in grapevine. However, Ribavirin spraying to potted was not available for virus elimination. Therefore, virus-free stock production system using the thermotherapy combined with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 was the most effective in grapevine.

포도 조직배양에 의한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3 Closterovirus의 증식과 검출효율 증대 (Improved Detection and Purification of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3 Closterovirus Using Tissue Culture)

  • 김현란;정재동;정봉남;이봉춘;박진우;최용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35-339
    • /
    • 2001
  • 우리나라 포도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3 Closterovirus (GLRaV-3)를 대상으로 기내 배양묘를 이용한 바이러스 순화 및 진단효율성을 검토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주의 절간을 기내배양하여 증식시킨 기내 배양묘를 1개월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면서 배양묘를 ELISA 검정한 결과 고농도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배양묘의 부위별로 잎, 줄기 및 줄기 유래의 callus 조직에서 모두 고농도로 검출되었다. 또한 포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나무의 잎이나 엽병조직에 비해 기내 배양묘의 조직을 사용하였을 때 높은 농도의 정제 바이러스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전자현미경에 의한 dip 검경에서도 사상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RT-PCR 진단에서는 기내 배양묘 조직을 사용하였을 때 포도 유엽조직과 엽병+중륵조직에 비해 검출효율이 높았다. 기내 배양묘의 잎조직을 이용하여 ELISA와 RT-PCR 검정감도를 비교한 결과 ELISA에 비해 RT-PCR 검정이 약 1,000배 감도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