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rape seed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4초

Grape Seed Extract Protects Mice against Disseminated Candidiasis

  • Han, Yong-M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60-63
    • /
    • 2003
  • Effect of grape seed extract (GSE) against Candida albicans was examined under in-vitro and in-vivo conditions. The GSE was extracted in ethanol. In-vitro results from an agar diffusion susceptibility assay showed the GSE inhibited C. albicans growth. This anticandidal effect was at dose-dependency. In experiments with animals, mice that received the GSE (0.5 mg per mice), intravenously (i.v.), before i.v.-infection wish viable C. albicans yeast cells survived longer than diluent (buffer)-received control mice. In contrast, when GSE was given to mice after the mice were infected with the yeast cells, these mice showed a similar survival rate as compared to control mice that received no treatment with the GSE.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GSE has prophylactic effect but not therapeutic effect against disseminated candidiasi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rape-Seed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 Chnng, Hae-Kyung;Choi, Chang-Sook;Park, Won-Jong;Kang, Myu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15-721
    • /
    • 2005
  •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pe seeds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ollowing lipid peroxidation, 2-deoxyribose degradation, SOD-like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thiza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bility,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using 1,1-diphenyl-2-pycryl hydrazil (DPPH) method.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of mixted-solvent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ngle-solvent extracts, with the mixing ratio of 17:3 (ethyl acetate: water) (EW) showed the highest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 of TBARS following phosphatidylcholine peroxidation were 14, 45, 45, 7, 4, 25, 21, 23, and 20% for ascorbic acid (AA), butylated hyroxytoluene (BHT), quercetin (Q), acetone extract (AT), ethyl acetate (EA) extract, methanol (MeOH) extract, 4:1 (EA) extract, 9:1 (EW)-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for 2-deoxyribose degradation were 5, 80, 87, 78, 56, 73, 64, 60, and 75% in AA, BHT, Q, AT, EA, MeOH extract, 4:1 EW extract, 9:1 EW 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MeOH grape seed extract showed distinctly stronger electron-donating activity than other solvent extracts.

포도씨 지방질의 분획정량과 이화학적 특성 (Quant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pe Seed Lipids)

  • 이선화;김종범;강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73-178
    • /
    • 2001
  • 본 연구는 포도씨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식용유지 자원 등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수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포도씨의 전체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10.1%, 조단백질 11.7%, 조지방질 29.7%, 조회분 2.53%, 및 총 당 4.38 ${\mu}g/mg$, 환원당 3.96 ${\mu}g/mg$ 등의 평균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은 리놀렌산이 가장 많아 평균 66.1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을레인산>팔미트산>스테아르산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리놀레닉산은 아주 적은 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평균 함량은 85.4%, 당지방질은 6.50%, 그리고 인지방질은 8.06%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포도씨 지방질은 중성지방질의 주성분에 인지방질과 당지방질이 소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포도씨 조지방질의 평균 검화가는 187.5을 나타내 들깨 기름 보다는 낮고 참깨 기름 보다는 높은 검화가를 나타내었다. 포도씨 기름의 항산화력이 참깨 또는 들깨씨 기름보다 우수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DPH) 환원 능력에 있어서 각각 12 및 50% 높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과 페놀 함량에 있어서 참깨유 또는 들깨유보다도 많은 량을 함유하고 있다. 암흑 또는 햇빛 보관 조건에 관계없이 포도씨 기름이 참깨나 들깨 보다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어 상당히 높은 산화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150^{\circ}C$ 열처리를 가한 다음 산패도를 측정하였을 때도 포도씨 기름은 이들보다도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산화 안정성은 포도씨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과 관계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포도씨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의 급여가 흰쥐의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pe Seed Oil, Perilla Oil, or Corn Oil-Containing Diet on Lipid Patterns in Rats and Fatty-Acid Composition in Their Liver Tissues)

  • 강명화;박원종;이지현;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호
    • /
    • pp.3-10
    • /
    • 2005
  • 포도씨유의 생체 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식이급원이 상이한 들깨유 및 옥수수유를 흰쥐에게 급여하여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를 급여받은 쥐의 체중은 7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급여받은 쥐는 7주 후 체중이 감소하였고 다른 유지군을 급여받은 군들은 8주째부터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 은 고지방 식이군 보다 일반식이군이 높았고 식이효율은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지질패턴 분석결과, 총지질 농도는 들깨유을 혼합한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중성지방과 인지질 농도는 일반식이군에게 들깨유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C은 일반식이군이 고지방 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식이군에 포도씨, 들깨유 및 옥수수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던 반면 고지방 식이군와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HDL-C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은고지방식이군과 일반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고지방식이에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포도씨유 급여군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HDL-ChDL-C 수치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다른 식이지방에 비하여 PHF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던 것은 혈중 지질패턴을유익하게 바꾸어준 결과이며, 이로 인하여 동맥경화인자인Al 지수가 CHF군에 비해 PHF군과 GSHF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지방, 총콜레스테를 및 중성지방 함량은 일반식이군은 들깨유군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이 포도씨유군 및 옥수수유군 순으로 관찰되었다. 간조직의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고지방식이군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일불포화 지방산과 다가불포화 지방산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지 급원에 따라함유하는 지방산 조성의 비율도 달라져 식이 급원에 의해 생체내 지방산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지의 종류를 달리한 호박냉동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ced Pumpkin Paste Cookies Prepared Using Different Fat and Fatty Oils)

  • 신동선;유선미;박보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09-516
    • /
    • 2014
  • 소비자의 건강지향적인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건강기능성 제품 개발에 응용하기 위해 버터, 대두유, 올리브유, 포도씨유의 유지를 달리하고 호박페이스트 첨가냉동쿠키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특성으로 반죽의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버터가 pH 6.55로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유, 대두유 및 포도씨유가 각각 pH 6.47, 6.43 및 6.46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죽의 밀도는 버터가 1.37 g/mL로 가장 높았고 수분함량은 버터가 14.65%로 가장 낮았으며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의 수분함량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쿠키의 퍼짐성을 측정한 결과 버터 쿠키가 가장 높았고 대두유 쿠키가 가장 낮았다. 쿠키의 색도의 경우 L값은 올리브유 쿠키, a값은 대두유 쿠키, b값은 포도씨유 쿠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쿠키의 경도는 대두유 쿠키가 698.26으로 가장 높았으며 버터 쿠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쿠키의 관능적 기호도 평가에서 모든 평가항목에서 포도씨유 쿠키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산화안정성으로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식물성 유지가 버터보다 낮은 산가를 나타내어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며 버터 쿠키에 비해 포도씨유 쿠키가 증가의 폭이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쿠키 재료 중 버터를 대신하여 식물성 유지인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모두 대체 이용 가능하며 특히 건강기능성에 부합하고 산화안정성으로 효과적인 포도씨유 쿠키가 좋을 것으로 보인다.

Effective Extraction of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 from Wild Grape Seeds

  • Huh Yun Suk;Hong Tae Hee;Hong Won Hi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6호
    • /
    • pp.471-475
    • /
    • 2004
  • The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 in green and black tea, grape seeds, grapes and wine has raised much attention but that OPC in wild grape seed remains to be intensively investiga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otal OPC contents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grape seeds and developed an efficient extraction process with various temperatures, solvent compositions and times. Also, a chromatography column packed with the Dia-ion HP-20 resin was used for further purification of the ope. The total OPC contents were determined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using total antioxidant potential (TAP) and 1,1-dipheny|-2picrylhydrazy| (DPPH). The yield of final purified OPC was 1.78 (+)-catechin equivalent (CE) g/100 g, with $IC_{50}$ activities of TAP and DPPH of 31.60 and $15.70\;{\mu}\;g/mL$. These activi­ties of the final purified OPC were abou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HA used as a refer­ence sample.

거봉 포도 종자 및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 박성진;오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1-124
    • /
    • 2003
  • 본 연구는 거봉종 포도의 종자와 과피로부터 에탄올용매의 농도와 추출 온도변화에 의한 추출물의 수율의 차이와 그에 따른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하였다. 각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hexane 분획물, chloroform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 butanol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나누어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RC_{50}$으로 타나내었다. 추출 수율은 종자 및 과피 모두에서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36.0%와 49.5%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각 분획물 중에서는 물 분획물이 종자에서는 72.1%인데 비하여 과피에서는 92.7%로 다른 분획층에 비하여 많이 차지하였다.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409.7\;{\mu}g/mL$이며,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층이 $RC_{50}\;=\;136.7{\mu}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6528.8\;{\mu}g/mL$로,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층이 $RC_{50}\;=\;694.7\;{\mu}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물 분획물은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추출온도와 용매 온도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추출온도와 free radical 소거 활성의 효능은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 결과 종자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모두 과피 추출물보다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도 추출물들의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마우스 대식세포주의 염증 발현 매개 인자들에 대한 생성 억제 효과 (Effects of Grape Extracts o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 Cells)

  • 민혜영;박은정;이상국;조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2-137
    • /
    • 2003
  • 국내에서 생산된 거봉 및 캠벨 포도의 씨, 줄기 및 껍질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작용, 염증 관련 인자 생성에 미치는 활성 및 암세포 성장에 대한 영향 등을 resveratrol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포도 추출물 중 거봉줄기, 캠벨줄기, 캠벨씨 및 거봉씨 추출물들이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고 그 중 거봉씨 추출물은 vitamin C와 효력이 유사하게 나타나 항산화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을 이용하여 포도 추출물들의 LPS처리에 의한 $PGE_2$ 및 NO 생성을 저해 여부를 확인한 결과, 거봉줄기, 거봉씨, 및 캠벨씨 추출물이 $50\;{\mu}g/mL$에서 $PGE_2$ 및 NO 생성을 50% 가량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람 폐암 및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포도 추출물들이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였는데 거봉줄기 및 씨 추출물 $50\;{\mu}g/mL$에서 30% 정도의 암세포 성장 저해 작용을 나타내었다.

포도씨박 단백질을 이용한 가식성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Defatted Grape Seed Meal Protein Composite Films)

  • 송혜연;조완신;송낙범;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74-1280
    • /
    • 2012
  • 포도씨박으로부터 추출된 단백질에 다양한 가소제를 첨가하여 포도씨박 단백질(DGP) 필름을 제조하였고, 또한DGP 필름의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nanoclay나 젤라틴을 첨가하여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가소제 fructose(FRU), sucrose(SUC), polypropylene glycol(PPG) 가운데SUC와 PPG를 2.5, 0.5% 비율로 첨가한 DGP 필름이 가장필름 물성이 좋았다. DGP 복합필름의 경우, nanoclay(Cloisite$Na^+$)를 첨가함으로써 필름의 물성이 향상되었는데 5% Cloisite $Na^+$를 첨가한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각각 1.45 MPa, 71.91%였다. 또한 DGP와 젤라틴의 복합필름에서는 젤라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와 투습도는 증가하였고, 신장률은 감소하였다. 특히 DGP와 gelatin 비율이 각각 2%일 때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20.95 MPa와 12.25%로 물성이 가장 좋았다. 본 연구결과, 미활용 되고 있는 포도씨박을 이용하여 제조한 가식성 필름은 식품포장재로써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