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mmatical information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9초

A BERT-Based Automatic Scoring Model of Korean Language Learners' Essay

  • Lee, Jung Hee;Park, Ji Su;Shon, Jin G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8권2호
    • /
    • pp.282-291
    • /
    • 2022
  • This research applies a pre-trained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 handwriting recognition model to predict foreign Korean-language learners' writing scores. A corpus of 586 answers to midterm and final exams written by foreign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1 level was acquired and used for pre-training, resulting in consistent performance, even with small datasets. The test data were pre-processed and fine-tuned, and the results were calculated in the form of a score predi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ion and actual score was then calculated. An accuracy of 95.8% was demonstrated, indicating that the prediction results were strong overall; hence, the tool is suitable for the automatic scoring of Korean written test answers, including grammatical errors, written by foreigners. These results are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the data included written language text produced by foreign learners, not native speakers.

한국 설화문에서의 화제표현의 연속성 (Topic Continuity in Korea Narrative)

  • 정희자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405-428
    • /
    • 1990
  • 언어는 정보교환이라는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60년대 이래로 언어학자들의 관심이 언어의 정보전달 기능, 즉 어떠한 의미가 어떤 형식을 통하여 어떻게 전달되는가 하는, 의미, 형식, 기능의 관계에 점차 집중되게 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문장분석보다는 담화분석을 통하여 더욱 명백하게 파악된다. 본 연구는 한국 설화문에서 사용되는 화제표현의 방법과 표현된 화제의 연속성을 측정함으로 효율적인 정보교환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분석된 문법구조들은 영대용,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고유대명사, 지시사 뒤에 오는 명사, 소유격을 따르는 명사, 한정적 명사 그리고 비한정적 명사, 모두 8가지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수 있다. 첫째, 한국 설화문에서 '인간임'(humanness)이 가장 강한 화제의 연속성을 나타낸다. 인간지시 논항들은 주로 행위자 또는 경엄자를 나타내기 때문에 절이난 담화의 화제역학을 한다. 둘째, 이들 문법구조들은 각기 다른 화제표현의 연속성 정도를 나타낸다. 연속성 정도가 높은 구조일수록 표현이 간단하며, 연속성의 정도가 낮을수록 표현이 복잡하다. 셋째, 화제표현의 연속성은 구조들의 통사적 특성 이외에 사회적문화적 요인들과 작가의 화용상의 목적 등에 좌우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실질적인 정보교환의 방법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어체와 문어체 담화문을 비교분석하여 화제표현의 효율적 방법을 고찰할 것을 제의한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고전 추리 소설 작가 간 문체적 차이와 문체 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tective story authors' style differentiation and style structure based on Text Mining)

  • 문석형;강주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89-115
    • /
    • 2019
  • 본 연구는 고전 추리 소설 작가로 유명한 아서 코난 도일과 애거서 크리스티의 문체적 차이점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시하고, 나아가 텍스트 마이닝에 입각한 문체 연구의 해석적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추리 소설의 핵심 요소인 사건과 인물에 더해 작가의 문법적인 집필 방식을 문체로 정의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작가 별로 각 2권, 총 4권의 책을 선정하였으며 문장 단위로 텍스트를 나누어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각 문장에 따른 감성 점수를 부여한 뒤 페이지 진행에 따른 감성을 시각화하였으며, 페이지에 따라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여 소설 속 사건 진행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동시 발생 매트릭스(co-occurrence matrix)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시행함으로써 사건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인물들 간 관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 문장을 총 6가지 문체를 기준으로 문법적인 체계를 나누어 작가 간, 그리고 작품 간 집필 방식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과정은 문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 전체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기존에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던 문체 연구를 통합시킴으로써 문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행된 이해를 통해 온라인 텍스트를 비롯한 비정형 데이터 속 문체의 존재를 발견하고 구체화하는 작업에 기여할 수 있다. 뉴미디어를 포함한 온라인 텍스트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당 연구들과 연계를 통해 보다 의미 있는 온라인 텍스트 분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urvey on Automatic Twitter Event Summarization

  • Rudrapal, Dwijen;Das, Amitava;Bhattacharya, Baby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79-100
    • /
    • 2018
  • Twitter is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platforms for online users to share trendy information and views on any event. Twitter reports an event faster than any other medium and contains enormous information and views regarding an event. Consequently, Twitter topic summarization is one of the most convenient ways to get instant gist of any event. However, the information shared on Twitter is often full of nonstandard abbreviations, acronyms, out of vocabulary (OOV) words and with grammatical mistakes which create challenges to find reliable and useful information related to any event. Undoubtedly, Twitter event summarization is a challenging task where traditional text summarization methods do not work well. In last decade, various research works introduced different approaches for automatic Twitter topic summarization. The main aim of this survey work is to make a broad overview of promising summarization approaches on a Twitter topic. We also focus on automatic evaluation of summarization techniques by surveying recent evaluation methodologies. At the end of the survey, we emphasize on both current and future research challenges in this domain through a level of depth analysis of the most recent summarization approaches.

문장 형태 정보를 이용한 조건단일화 기반 한국어 파싱 (A Conditional Unification Based Parsing for Korean Using Sentence-Type Information)

  • 양승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조사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파싱 방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용언을 세밀하게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장의 형태를 분류하고 이 문장 형태에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명사구의 문법적 역할을 파악하는 방법을 이용한 파싱을 시도하였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언어학적인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약간의 경험지식을 동원하였다. 이를 구현함에 있어서 문법의 수준에서 파싱을 직접 제어하기 위하여 조건단일화 파싱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파싱 방법은 분석의 초기에 불필요한 가지를 전지함으로써 결과 트리가 간략해져 복잡한 문장의 모호성을 상당두분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 PDF

Utilizing Prosodic Information on the Sentence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 Chung, Chan-Hee;Lee, Hee-Ran;Kim, Jin-D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62-37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iculties in using prosodic information to identify the meaning of ambiguous sentences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HFA). Fifteen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and fifteen children who matched their chronological age (CA)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two groups by conducting syntactically and affectively ambiguous sentence comprehension (SASC and AASC) tas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both task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each condition and the performance of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was significantly lower. In a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variables, children who matched CA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prosody-only (PO) and AASC, while children with HFA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PO and MO (morpheme-only). Children with HFA used grammatical morpheme information to understand general sentences. We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prosodic information in children with HFA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ly developed children. Considering the relevance of prosody to linguistic, non-linguistic and emotional aspects of communication, improving prosodic perception is thought to be a way to mediate deficits in the comprehension of ambiguous sentences in children with HFA.

형식형태소가 한국어 단어 벡터 생성에 미치는 영향 (Grammatical morphemes' effect on Korean word vector generation)

  • 윤준영;김도원;민태홍;이재성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7년도 제29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179-183
    • /
    • 2017
  • 단어 벡터는 단어 사이의 관계를 벡터 연산으로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상위의 신경망 프로그램의 사전학습 데이터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국어 어절은 생산적인 조사나 어미 때문에 효율적인 단어 벡터 생성이 어려워 대개 실질형태소만을 사용하여 한국어 단어 벡터를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를 모두 사용하되, 형식형태소를 적절하게 분류하여 단어 벡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자체 구축한 단어 관계 테스트 집합으로 추출 성능을 평가해 본 결과, 제안한 방법으로 형식형태소를 사용할 경우,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

개념패턴과 통계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미지격의 구문관계 결정 방법 (Resolution of Ambiguous Grammatical Functions of Korean Using Conceptual Patterns and Statistical Information)

  • 이휘봉;강인수;이종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8년도 제1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61-266
    • /
    • 1998
  • 본 논문은 보조사로 인해 야기되는 한국어 미지격의 구문관계 중의성 해소를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는 수작업으로 얻어진 동사의 의미적 선택 제약을 사용하는 방식과 단어 간의 공기패턴과 빈도를 어휘 레벨에서 추출하여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논문은 말뭉치에서 어휘 레벨이 아닌 개념패턴과 격의 분포 값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미지격의 구문관계를 결정한다. 개념패턴과 용언의 격 분포 정보를 적용하여 구문분석 단계에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이 제안한 방법은 92%의 미지격 결정 정확율을 보였다. 개념패턴은 지식의 저장공간을 줄이고 격 결정 범위를 확장할 수 있기에 범용 구문분석 시스템으로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 PDF

일반 번역시스탬을 위한 일본어 해석기 설계 (A Design of Japanese Analyzer for Japanese to Korean Translation System)

  • 강석훈;최병욱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2B권1호
    • /
    • pp.136-146
    • /
    • 1995
  • In this paper, a Japanese morphological analyzer for Japanese to 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 is designed. The analyzer reconstructs the Japanese input sentence into word phrases that include grammatical and dictionary informations. Thus we propose the algorithm to separate morphemes and then connect them by reference to a corresponding Korean word phrases. And we define the connector to control Japanese word phrases It is used in controlling the start and the end point of the word phrase in the Japanese sentence which is without a space. The proposed analyzer uses the analysis dictionary to perform more efficient analysis than the existing analyzer. And we can decrease the number of its dictionary searches. Since the analyzer, proposed in this paper, for Japanese to 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 processes each word phrase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sponding Korean word phrase, it can generate more accurate Korean expressions than the existing one which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generation of the entire sentence structure.

  • PDF

3세${\sim}$8세 아동의 자유 발화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말소리의 빈도 관련 정보 (Phoneme Frequency of 3 to 8-year-old Korean Children)

  • 신지영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19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frequencies of occurrence for units of Korean phonemes and syllables analysing spontaneous speech spoken by 3 to 8-year-old Korean children. 49 Korean Children(7${\sim}$10 children for each age) were employ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Speech data were recorded and phonemically transcribed. 120 utterances for each child were selected for analysis except one child whose data were only 91 utterances. The data size of the present study were 5,971 utterances, 5,1554 syllables, and 105491 phonemes. Among 19 consonants, /n/ showed highest frequency rate of these four conson ants were over 50% for all age groups. Among 18 vowels, /a/ was the most frequent one and /i/ and / ${\wedge}$ were the second and third respectively. The frequency rate of these four consonants were over 50% for all age groups. Frequently occurring syllable types were a part of grammatical word in most cases. Only 5${\sim}$6% of syllable types covered 50% of spee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