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mmar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35초

영한자동번역에서의 두단계 영어 전산문법

  • 최승권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4권1호
    • /
    • pp.97-109
    • /
    • 2000
  • Application system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uch as machine translation system must deal with actual texts including the full range of linguistic phenomena. But it seems to be impossible that the existing grammar covers completely such actual texts because they include disruptive factors such as long sentences, unexpected sentence patterns and erroneous input to obstruct well-formed analysis of a sentence. In order to solve analysis failure due to the disruptive factors or incorrect selection of correct parse tree among forest parse trees, this paper proposes two-level computational grammar which consists of a constraint-based grammar and an error-tolerant grammar. The constraint-based computational grammar is the grammar that gives us the well-formed analysis of English texts. The error-tolerant computational grammar is the grammar that reconstructs a comprehensible whole sentence structure with partially successful parse trees within failed parsing results.

  • PDF

What Do Our Students and Teachers Believe about Grammar in EFL Context?

  • Suh, Jae-Suk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1호
    • /
    • pp.23-52
    • /
    • 2004
  • This paper investigated students' and teachers' attitudes toward L2 grammar in EFL learning context. In a study in which attitude was viewed as consisting of three different components such a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questionnaire developed on the basis of such a view of attitude was used as a data collect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in general, both students and teachers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ir attitude toward L2 grammar. Among the findings, most important, two groups were shown to fully understand the important role of grammar in L2 learning. Another finding was that despit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our English class was still dominated by grammar-centered instruction. Also it was shown that the way teachers had been taught L2 grammar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way they would instruct it in their future classe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suggestions were offered for effective grammar pedagogy in EFL context.

  • PDF

영문법 학습 교재의 5문형 분류 체계 (On the Notion of 5 Sentence Patterns in English Grammar Learning Materials)

  • 엄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83-292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의 많은 영문법 학습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5형식 문형 분류에 대한 설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외국어 학습자를 위해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문법을 '학습 문법'으로 명명하고, 교재 집필자가 학습 문법을 설정하고 교재를 구성하기 위해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문법을 '참조 문법'으로 규정한 후, 이 두 문법에서의 문형 설명을 비교하여 국내 영문법 학습 교재에서 나타나는 설명의 단순화 및 오류를 검토하였다. 5문형 체계는 일본식 문법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이 분류 방식은 C. T. Onions에 의해 1929년 처음 소개된 이론으로서, 오히려 영어학적 이론 문법이 영문법 학습 교재에 반영된 예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필수적 부사구'와 '유표적 구문' 등에 관해 참조 문법의 내용이 반영된 새로운 설명의 시도들도 영문법 학습 교재 내에서 확인되었다. 정확성과 타당성에 기초한 학습 문법을 마련하기 위해 교재 집필자와 교사들이 해외의 권위있는 참조 문법서 및 이론 문법의 연구 성과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영문법 학습 교재에서 발견되는 문법 설명의 오류를 피하고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도 더욱 정확한 문법 체계를 교수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식 속성 문법 단순화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Simplification of the Expression Attribute Grammar)

  • 정용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82-287
    • /
    • 2011
  • 속성문법은 각 구문규칙에 의미론을 추가한 문법체계이다. 그러나 이 속성문법은 그 추가적인 규칙들 때문에 구성과 이해의 어려움이 있다. 대부분 속성 문법에서 그 규모가 크고 복잡하기 때문에 규모의 수가 작고 단순하면 좋을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LR 파싱을 할 때 수식을 위한 속성문법의 규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수식의 종류를 고려한 방식이다. 즉 수식의 종류들 사이의 의미적 포함관계를 성립시키면 보다 단순하고 작은 규모의 속성 문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자질 기반 구 구조 문법을 위한 문법 개발 환경 (A Grammar Development Environment for Feature-based APSG)

  • 심광섭;양재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0호
    • /
    • pp.1418-142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자질 기반 구 구조 문법 형식의 자연어 문법 개발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GrammE를 소개한다. 문법 개발 단계에서는 텍스트 형식의 문법을 인터프리트하여 구문 분석을 하기 때문에 문법 수정 후 바로 문법을 테스트할 수 있어 문법 개발이 용이해 진다. 일단 문법 개발이 끝나면 GrammE에 포함된 문법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C++로 쓰여진 구문 분석기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구문 분석기는 구문 분석을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자연어 처리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다. GrammE는 언어 독립적인 시스템이며, 현재까지 한국어 문법과 중국어 문법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었다.

초급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 항목 제시 양상 (Presentation of Grammar Items in Korean Coursebooks for Beginner Level)

  • 박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50-660
    • /
    • 2017
  • 본고는 한국어 교재의 초급 단계에 나오는 문법 항목을 조사․분석한 연구로, 우선 문법 항목을 아우르는 명칭을 비롯한 한국어 문법 항목에 대한 논의를 하고 본격적으로 문법 항목의 제시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재에서 사용하는 문법의 명칭이 예전에는 다양하였으나 연구 대상의 교재에서는 거의 동일하게 칭하고 있다. 그러나 교재마다 문법 항목의 내용 및 범위가 달라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문법 항목의 개수는 적었다. 문법 항목의 제시 양상은 크게 표기 방식과 내용 기술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표기 방식에서는 표시유형, 배열순서, 선행요소 표시 등을, 내용 기술에서는 문법의 의미를 비롯하여 기술한 범위와 내용을 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제시 양상 중 표시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간단하면서 배열순서나 부호가 달리 사용되지 않는 대표 형태로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내용 기술에서도 교재마다 의미 기술을 비롯한 내용의 범위도 다르게 제시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달리 제시되는 것은 교재 제작과 관련하여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의미 기술, 결합 및 제약 정보는 기본적으로 유사하게 제시하고 나머지는 추가하는 방식을 채택할 것을 논의하였다.

형상문법(Shape Grammar)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Shape Grammar)

  • 고수경;최철용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3-132
    • /
    • 2023
  • The term 'module' is an architectural term. It refers to the components or systems that make up a finished product. As industries develop, modules have become one of the methods that can create diverse and creative designs. Traditional modular fashion design mainly focused on structural methods, such as the combination, assembly, overlap, and arrangement of modules, as well as the tessellation of geometric shapes. However, in this paper, significance lies in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shape grammar, a design method in architecture, to fashion design. It aims to search for ways to express three-dimensional designs, derive designs that can be worn and produced, and propose fashion design by applying the rules of shape grammar to the design process.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hape grammar.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by utilizing optimized programs for implementing the modules of shape grammar, it was possible to propose a method for producing modules of shape grammar and suggest module designs. Additionally, effective methods of representation using the Clo 3D program were explored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Second, by applying shape grammar to the fashion design process, five-dimensional modular fashion designs were proposed, including a bolero, dress 1, dress 2, setup, and coat. The proposed modular fashion design using shape grammar in this paper provides a rational design process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traditional modular fashion design. By formalizing the shapes between modules and creating rules,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design that rely on the designer's intuition or sensibility and enables the development of more diverse modular fashion designs. This application of shape grammar in fashion design can provide an important direction in exploring a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하나의 속성을 사용하는 속성 문법 작성의 일반화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Generalization of the Construction of an Attribute Grammar Using One Attribute)

  • 정용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1-176
    • /
    • 2011
  • 속성문법은 각 구문규칙에 의미론을 추가한 문법체계이다. 이 속성문법은 두 가지의 속성을 사용하는데 기존 문법에 이 두 가지 속성들로 파싱 과정을 이해하며 추가적으로 작성하여야 하기에 구성의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속성문법을 보다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세 가지 용어들을 정의하며 속성과 속성문법의 분석을 하였고 그래서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속성만으로도 속성문법을 작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시선 추적을 통한 문법 이해 양상 연구 -문법 제시 방법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Korean Grammar of English-Speaking Beginners Through Eye-tracking Approach -Focused on Presentational Methods of Grammar-)

  • 김현진;강승혜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39-62
    • /
    • 2017
  • This study is to examine grammar understanding with beginner English speakers according to presentational methods of grammatical content. 18 English-speaking Korean beginners were randomly assign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We first examined if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grammar comprehension with and without illustrations. It was found that the group given the presentation illustrations showed greater understanding than the group without them.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mmar understanding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materials marked for their awareness.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with the order of presenting content elements related to grammatical items. This study is to affirm the importance of illustrations as a component of Korean textbooks.

A multilingual grammar model of honorification: using the HPSG and MRS formalism

  • Song, Sanghoun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20권1호
    • /
    • pp.25-49
    • /
    • 2016
  • Honorific forms express the speaker's social attitude to others and also indicate the social ranks and level of intimacy of the participants in the discourse. In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of grammar engineering, modelling honorification has been regarded as a key strategy for improving language processing applications. Using the HPSG and MRS formalism, this article provides a multilingual grammar model of honorification. The present study incorporates the honorific information into the Meaning Representation System (MRS) via Individual Constraints (ICONS), and then conducts an evaluation to see if the model contributes to semantics-based language process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