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6.650

Presentation of Grammar Items in Korean Coursebooks for Beginner Level  

Park, Eun-Ha (대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indication way and contents description of grammar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Therefore we examine the common elements of grammar in four Korean textbooks and the transcription, notation methods and meaning descriptions the books use to present grammar items. After analyzing Korean textbooks for the beginner level, we found just 20 similar items among a total of 100-150 grammar items. Advanced researches required to examine th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grammatical items in Korean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it used as the same name "grammar" expressed in Korean textbooks compared to using different names in the past. We consider that just 20 grammar items are the same because the range of grammar items in every textbook is different including vocabulary, sentences etc. The study found that grammar items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the type of indication way, order of arrangement, and marks. We suggest that it is better to indicate the style of representation used in grammar items because an additional problem such as type of indication way, order of arrangement is removed by doing so. The study also found grammar items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the meaning description and grammar range of explanation of Korean textbook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phological information, restriction information and meaning should be described at a basic level. This study allows us to consider the indication way and contents description of grammar are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Keywords
Korean Coursebooks; Grammar Items; Presentation of Grammar; Contents Description; Indication Wa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종장지,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표현 문형 설정 연구," 새국어교육 제95호, 한국국어교육학회, pp. 331-361, 2013.
2 민현식,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한국어교육, 제15권, 제1호, pp. 107-141, 2004.
3 석주연,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형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교육, 제6권, 제1호, pp. 169-194, 2005.
4 강현화, "한국어 교재의 문형 유형 분석: 문형 등급화를 위해," 한국어교육, 제18호, 제1권, pp. 1-21, 2007.
5 이윤진, "한국어 교육 자료에서의 문법 항목 표시 방법 연구," 한국어교육 제18호, 제3권, pp. 167-193, 2007.
6 김중섭, 김정숙, 강현화, 김재욱, 김현진, 이정희,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
7 김호정, 양명희, 진정란, 석주연, 김인규, 강남욱, 조태린, 이보라미, 박지순,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 1단계, 국립국어원, 2012.
8 조인정, "한국어 문법 항목 표기법의 새로운 방안," 한국어교육, 제23권, 제4호, pp. 307-342, 2012.
9 고경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간접 인용 표현의 교육 내용 검토," 국어국문학 제166호, pp. 141-163, 2014.
10 정선화, "한국어 문법서 기술 방식에 관한 교사인식 및 선호도 연구," 우리어문연구, 제49호, pp. 353-386, 2014.
11 박은하, "한국어교육에서의 메타언어의 쓰임: 피동과 간접인용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제107호, pp. 433-457, 2016.
12 D. Larsen-Freeman, Teaching Language-from grammar to grammaring-, Boston : Heinle & Heinle, 2003.
13 양명희, 안정화, 김재욱, 이선웅, 박성일, 현정희, 정선화, 김선효, 이정화, 서경숙, 이지용, 이나래,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 3단계, 국립국어원, 2014.
14 http://www.riss.kr
15 이미혜,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 박이정, 2005.
16 김중섭, 김정숙, 이정희, 김일환, 이도길,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어휘 목록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