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41초

국내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농산물의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 조사 (Monitoring of Unregistered Pesticides Contaminated in the Domestic Crops Grown under Good Agricultural Practices)

  • 김준성;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5-283
    • /
    • 2017
  •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3,313건의 농산물우수관리 기준으로 재배되는 농산물(GAP 농산물)에 대한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농약 오염에 의한 부적합 건수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에 의한 부적합 건수보다 훨씬 많았다. 미등록농약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된 GAP 농산물의 대부분은 소면적엽채류 작물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물에 등록된 농약이 곡류나 과일류보다 훨씬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제가 끝난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여도 살포기 내에 농약이 어느 정도 잔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잔류한 농약이 허용되지 않은 작물에 비의도적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우리나라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농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고, 또한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는 경우를 감안하여 미등록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농작물에 이행되는 것이 일정량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RFID를 이용한 농산물 생산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Management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Information Using RFID)

  • 김한길;안영직;민병훈;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071-1076
    • /
    • 2012
  • 안전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요즘, 농산물의 안전성을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농산물우수관리인증(GAP) 정보 서비스이다. 농산물우수관리인증 정보 서비스는 농산물의 생산단계에서 판매단계까지의 농산식품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GAP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GAP 인증·미인증 상추 및 오이 농가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between GAP and non-GAP Certified Farms of Lettuce and Cucumber)

  • 김정숙;정덕화;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14-419
    • /
    • 2016
  • 본 연구는 상추와 오이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토양, 용수, 작물 (상추, 오이), 장갑, 포장재 (비닐)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 평가하고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GAP 인증 농가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강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상추 농장의 경우 위생지표세균 오염도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 보다 조금 낮거나 유사하였고, 병원성미생물인 S. aureus와 B. cereus는 GAP 인증 농가의 토양과 용수에서 미인증 농가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오이농장은 토양의 대장균군과 B. cereus, 장갑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 오염도가 GAP 미인증 농가보다 GAP 인증 농가에서 높았고, 그 외에는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가 유사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결과를 비교했을 때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의 미생물 오염도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GAP를 인증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결과에서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보다는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 모두 농업용수의 관리와 작업 시 사용되는 작업자의 장갑 관리에 있어서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농산물의 미생물 오염방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GAP 인증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제도 도입을 위한 토마토 산지유통센터의 미생물 위해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of Tomato and Recommendations to Introduc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 이효원;윤요한;서은경;김경열;심원보;길중권;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0-214
    • /
    • 2009
  • APC 지정시설과 APC 미지정시설의 선별대와 작업자, 공중낙하균을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선별대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모두 높은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고 S. aureus와 Salmonella도 검출되었다. 특히 모든 시료에서 S. aureus 의 오염이 매우 높아 제품으로의 직접적인 교차 오염이 우려되었다. 이와 같이 APC 지정시설과 APC 미지정시설간의 미생물 오염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은 기존의 APC 시설이 미생물학적 개념이 없이 단순히 저장의 용도로만 설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GAP제도를 도입 운영하기 위하여 APC 시설은 단순한 농산물 저장의 기능뿐만 아니라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없는 구조를 갖추어 위생적인 선별 및 유통이 이루어져야 하고, GAP 운영의 연장선에서 관리 운영해야 할 것 이다. 아울러 일정한 기간마다 시설에 대한 위해요소 분석을 하여 APC시설의 미생물학적 측면에서의 적절한 유지, 보관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그 결과를 문서화 하여야 할 것이다.

인삼의 GAP (우수농산물인증) 관련요소 분석 (Analysis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in Panax ginseng C.A. Mayer)

  • 유용만;오세찬;성봉재;김현호;윤영남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0-226
    • /
    • 2007
  • 우리나라 인삼의 대표적 재배지인 금산군에서 GAP인삼 생산을 희망하는 10농가를 선발하여, GAP인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약 및 중금속의 잔류 그리고 미생물 등의 위해요소가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경작되고 있는 인삼을 비롯하여 인삼밭의 토양, 수질 등 3종류로 하였다. 토양에서의 농약잔류를 검사한 결과, 인삼농가 및 일반농가 토양에서 자주 사용되는 Carbendazim등 81개의 농약을 선발하여 분석하였으나, 인삼에 등록된 농약별 최대잔류허용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모두 적합판정의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삼재배 토양에 중금속의 오염우려가 되는 비소 등8종류의 조사 하였으나 기준치 보다 적게나와 전부 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편 관개수 및 농약희석 살포 등으로 사용되는 수질을 조사한 결과도 조사된 10농가가 모두 안전하였다. 참여농가 밭에서 직접 채취한 인삼에서 24종의 농약을 분석한 결과도 적합 판정으로 나타났다. 조사농가 수삼에 존재하는 위해성 미생물 검사에서 Pantoea spp등 2종의 Gram 음성균과 1종의 그람양성균(Staphylococcus sciuri)이 동정되었으며, 일반세균 수는 $1.5{\times}10^3$ cfu/ml 로 다른 농산물보다 적은 수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번 조사한 금산 지역에서는 GAP 인산재배 생산에 적합한 토양, 수질을 보였으며, 기존 생산한 인삼에서도 GAP 농산물 생산 기준에 적합하였다.

Good agricultural practices 모델 개발을 위한 양파 및 생산 환경에서의 위해요소 조사 (Investigation of Hazards from Onions and Their Cultivation Areas to Establish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 최영동;이채원;김정숙;정덕화;심원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85-7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azards from onions and their cultivation areas. A total of 32 samples were collected from onion farms and tested for biological (sanitary indicators, and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and chemical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hazards.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were detected at a level of 0.2-7.1 log CFU/g (or mL) in the soil and agricultural water, 1.6-3.6 log CFU/g on surface of the onion, 0.0-6.0 log CFU/hand (or $cm^2$) on the workers' hands, clothes, and gloves, and 4.7 log $CFU/cm^2$ on the onion bags. Fungi were detected at a level of 0.0-5.0 log CFU/g (or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at a level of 1.2 log CFU/hand on the workers' hands, the detection level of Bacillus cereus was up to 4.8 log CFU/g in the soil. However, Escherichia coli (and in particular strain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Although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the environment (in soil and agricultural water) and pesticide residues were detected in onion, the levels were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s.

식품안전현대화법의 농산물안전규칙과 농산물품질관리법의 농산물우수관리기준 비교평가 (Comparative Assessment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Standards in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Control Act with respect to Produce Safety Rule in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 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22
    • /
    • 2018
  • 미국 정부는 2011년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을 제정하였으며 단계적으로 실시 및 실시예정에 있다. 이중 농산물안전(Produce Safety) 최종규칙은 농산물 재배, 수확, 포장 및 보관과 관련된 생물학적 위해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영농규모 등에 따라 2017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FSMA의 농산물안전 규칙 중 현장에서 준수해야 하는 조항을 55개 선별하여 한국 GAP기준과 비교한 결과, 비교 대상인 두 개의 기준이 조항별 관리사항에 대해 1:1로 단순비교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상당수의 한국 GAP기준이 대응이 가능하다. 다만 한국 GAP기준은 포괄적 기준으로 평가자에 따라 다른 판단을 할 여지가 많으므로 기준의 세부 사항의 보강이 필요하다. 조항별로 보면, 작업자 안전위생(FSMA Subpart D)에 대하여 한국 GAP기준은 가장 높게 대응이 되며, 그 다음으로는 가축 및 야생 동물(FSMA Subpart I), 건물 장비 도구(FSMA Subpart L), 재배 수확 등의 활동(FSMA Subpart K) 순으로 대응이 되고 있다. 그러나, 농업용수 관리(FSMA Subpart E)와 관리자의 자격 및 교육(FSMA Subpart C)에 대해서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며, 가축분뇨기반 퇴비 관리(FSMA Subpart F)에 대해서는 대응이 취약한 편이다. FSMA 규칙은 인증 기준은 아니나, 세계적으로 식품안전의 표준을 선도하는 미국이 제시한 규칙인 만큼 파급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내 농산물 기준 중 FSMA 규칙에서 강조하는 미생물적 안전성에 대응하는 기준이 GAP기준이므로 한국 GAP기준의 재검토를 통해 우리 농산물의 품질 향상 및 수출확대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우리나라 주요 산약 재배지 GAP와 관련된 재배환경 실태 (Cultivation Environment in Relation to Good Agricultural Practices in the Major Cultivation Area of Disocorea batatas)

  • 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90-295
    • /
    • 2011
  • 본 연구는 산약(Disocorea batatas)을 대상으로 토양 및 관개용수의 질 평가, 화학비료 및 퇴비의 사용실태 그리고 잡초 및 병해충 실태에 대한 현장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생산단계에서 good agriculture practices (GAP) 기반조성에 유용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약 재배지 토양과 관개용수 중 카드뮴, 납, 구리 및 아연 모두 자연함유량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산약재배지 관개용수 가운데 총질소는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총인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 화학비료와 퇴비가 복합적으로 과량 투입되고 있음이 현장 설문조사에서 나타나 최적의 양분종합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약 재배지에서 우점 잡초는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쇠비름(Portulaca oleracea) 그리고 깨풀(Acalypha australis)로 나타났으며, 제초제 처리횟수는 1년에 2회 처리가 가장 많았고, 일부 농가에서는 4회까지 처리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산약 재배지에서 병해는 탄저병과 잎마름병이 주로 발생하였고, 해충으로는 응애가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병해충 방제 목적으로 살충제나 살균제를 연 4~5회 처리하고 있었다. 산약의 안전성과 지속적인 농업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학비료와 농약의 저투입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유기농업에 의한 우수 산약의 재배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삼의 GAP 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재배단계의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Ginseng Farms at the Cultivation Stage to Develop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 심원보;김정숙;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2-318
    • /
    • 2013
  • 본 연구는 인삼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인삼 GAP 실천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충남 금산에 소재한 인삼 경작지 3곳에서 재배환경, 작물, 개인위생 항목에 대해 총 96점의 시료를 수집하여 위생지표세균, 병원성미생물, 그리고 곰팡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곰팡이의 오염도는 각각 1.3~6.0, 0.1~5.0 및 0.4~4.9 log CFU/g (or mL, hand, and $100cm^2$)으로 확인되었고, 대장균의 경우 C 농장의 농업용수에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모든 시료에서 B. cereus만 0.1~4.9 log/g (or mL, hand, and $100cm^2$)범위로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및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인삼 경작지 3곳은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해서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변 환경이나 작업자들에 의해 교차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므로 보다 안전성이 확보된 인삼을 재배하기 위해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관리과 포함된 GAP 모델의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