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Instruction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5초

운동선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만족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Style on Player Satisfaction and Exercise Flow of Athletic Players)

  • 이건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79-187
    • /
    • 2018
  •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만족 및 운동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선수의 능력을 향상시켜서 경기력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표집방법으로 비확률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고, 설문지의 총 381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SPSS/PC+ Window용 21.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빈도 분석과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운동선수의 지도행동유형인 훈련과 지도행동, 민주적 행동, 긍정적 피드백, 사회적지지에서 선수만족 및 운동몰입에서 상호관련성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지도행동유형의 권위적 행동에서는 운동몰입에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운동선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만족에 대한 결과는 사회적 상호작용은 훈련과 지도, 사회적 지지에서, 과제 수행은 훈련과 지도에서, 코치의 지도성은 훈련과 지도, 긍정적피드백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선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운동몰입에 대한 결과는 인지몰입은 훈련과 지도, 긍정적 피드백에서, 행위몰입은 훈련과 지도, 긍정적 피드백, 사회적 지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수들의 운동수행만족과 운동에 몰입하여 경기에 임하게 된다면 좋은 운동기술수행을 통하여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저경력 사서교사의 전문성 영역에 대한 교육적 요구도 분석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s' Instructional Expertise)

  • 임정훈;소병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7-18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 내 임용된 저경력 사서교사의 주요 현황을 조사하고, 사서교사 전문성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저경력 사서교사의 역량 향상을 위한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년 미만의 저경력 사서교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교사의 양성과정과 임용 전 경험 등을 분석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 IPA 모델, Borich 요구도, LF 모델을 이용하여 저경력 사서교사의 전문성 영역(도서관 이용지도,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력수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저경력 사서교사들은 모든 전문성 영역에서 중요도-만족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IPA 결과, '독서교육-실행 진행'을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지속유지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협력수업-계획', '협력수업-진행', '협력수업-평가'와 '정보활용교육-교육과정 설계', '디지털 및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실행 및 평가'를 집중노력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에서는 '협력수업' 영역의 '교수학습 평가', '교수학습 진행', '교수학습 계획'이 가장 높은 교육적 요구를 보여주었으며, 이어서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정보활용교육' 영역순으로 나타났다. LF 모델에서도 '협력수업' 영역이 최우선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실행, 평가', '정보활용교육-실행 평가', '정보활용교육-교육과정, 설계'의 5가지 역량이 우선순위가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으로서의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재고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발레에서 팔 기본 동작의 운동학적 특성 (The Kine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Ballet Position)

  • 김은희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1-1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kinematical characteristics of arm's basic position in balle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3D cinematographic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ballerina who might performed the perfect arm's basic pos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appeared that the shoulder kept about 78%-82%, the elbow kept about 62%-96%, the wrist kept 52%-109%, and finger kept 48%-110% with the height. Also, movement was formed with $21^{\circ}-77^{\circ}$ of the upper arm angle, $106^{\circ}-164^{\circ}$ of the elbow, $125^{\circ}-140^{\circ}$ of the wrist, and $83^{\circ}-160^{\circ}$ of the shoulder. The left-right ratio of the total arm angle was 98%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 and 100% in the forth position. The angle of arm gradient was remained $-68^{\circ}$ in the first position, $-27^{\circ}$ in the second position, $73^{\circ}$ in the third position, and $-11^{\circ}$ in the forth position.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balance and symmetry of both arms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ose four positions.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the position like robot, it may be a good performance if a certain level of extent was remained With respect to this point of view, it may be a good posi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arm in each joint can be remained within 2%. Angle also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if the difference in total angle can be remained within 2% it may be an excellent position, there was difference of right and left based on the joint though. Therefore, practice and instruction to make a perfect symmetry as much as possible were needed Also, it would be a good movement if position and angle of joint within 2% difference of right and left arm can be remained In turn, because ballet is movement with expression of the body, beauty of the body and balance of the movement have to be harmonized for beautiful performance. Therefore, it would be a meaningful future study considering the body condition and movement of ballerina to define the beauty.

유도지도자 리더십이 선수만족도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Judo Leader Leadership Influence on The Play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 신석민;김성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27-2536
    • /
    • 2015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유도 선수를 대상으로 유도지도자의 리더십이 선수만족도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수 290명 중 남자 121명(41.7%), 여자 169명(58.3%)의 자료를 본 연구의 대상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유도지도자의 리더십에 대해 선수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전체적 행동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지도자에 관한 설문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리더십은 선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력향상에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도자의 사회적 지지행동, 지도자의 전체적 행동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선수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좋은 성적을 거두게 될 것이다. 또한, 지도자의 리더십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전체적 행동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도자의 리드십은 강압적이기 보다는 선수들과 합의하에 운동 계획과 진로계획을 세워 진행한다면 선수만족도와 경기력 향상을 높이는데 많은 좋은 결과를 낼 것이다.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유치치아우식증 관련요인 분석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ur on Dental Carie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 김진수;김효진;전홍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1-184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dental ca re for her children and their dental ca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 th the dental examination record of 365 children who showed the same number of questionnaires with those examined for dental conditions and questionnaires written by mothers among children between three and six years of age and their mothers in Yeoncheon, Gyeonggi province in June 2004 to estimat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general properties of subjects and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s for her children by research items, to carry out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following Chi-square distribution for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s, and to use decision tree analysis among data mining techniques for thos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1. For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s and attitudes for her children, 225 mothers(61.6%) confirmed their children's teeth-brushing; 278(76.2%) used no fluorine; and 286(78.6%) observed their children's teeth, 322 mothers(88.2%) instructed their children in teeth-brushing while 268 (73.4%) provided dental care, 232 mothers(63.7%) treated their children's cavity; 290(79.4%) believed that their children had good dental conditions; and 294(80.5%) answered that they began to provide their children with dental care in deciduous teeth. 2. As for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and dental health care behavio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loyment, confirmation after teeth-brushing, teeth observation, instruction in time for teeth-brushing, use of fluorine, cavity treatment, time for dental care, and perception of dental conditions(p<0.05). 3. As for correlation between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s, mothers who worked, who believed that their children didn't have good dental condition, and who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begin to provide dental care in permanent teeth were found to get their children to suffer from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Besides, those who failed to confirm teeth-brushing, who used no fluorine, and who failed to observe teeth and gave no instruction in time for teeth-brushing were shown to get their children to suffer from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4. Variable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were classified by cavity treatment, mother's employment, time for dental care, and observation of children's teeth. The first node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teeth was found to be cavity treatment; the next criteria for classification after cavity treatment were shown to be mother's employment and time for dental care. In case of children with no cavity, they were found to be mother's employment and teeth observation.

  • PDF

초등 예비교사가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성한 과학적 추론의 인식론적 의미 - 증거-설명 연속선의 관점 -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of Scientific Reasoning Design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uring Their Simulation Teaching: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Perspective)

  • 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09-126
    • /
    • 2023
  •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가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성한 과학적 추론을 증거-설명의 연속선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들의 과학적 추론이 갖는 인식론적 의미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계절 변화에 관한 모의 수업을 시연한 예비교사 2명, 고기압과 저기압 및 바람에 관한 모의수업을 시연한 예비교사 2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예비교사의 교수발화 중에서 귀납적, 연역적(가설-연역적) 추론, 또는 귀추적 추론의 사례가 드러난 에피소드에서 각 추론이 증거-설명의 연속선의 단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비교하여 예비교사의 과학적 추론이 가진 인식론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모의수업을 시연했던 두 예비교사는 학생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거를 인식하였고, 증거와 가설을 비교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가설-연역적 추론을 활용하여 설명을 구성하였다. 고기압과 저기압 및 바람의 방향을 주제로 모의수업을 시연했던 두 예비교사는 모둠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증거로 인식하는 귀납적 추론과 선형적 논리 구조를 가진 연역적 추론을 설명구성 전략으로 선택하여 최종 설명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유사한 주제의 모의수업 시연에서 대체로 비슷한 흐름의 과학적 추론을 활용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였으나, 증거-설명의 연속선에서 데이터, 증거, 모델, 설명으로 전개되는 인식론적 의미 측면에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일부 사례를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증거에서 모델을 탐색하는 과학적 추론은 부족하였으며, 가설이나 설명모델을 추리하기 위한 귀추적 추론이 부재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틀로 적용했던 증거-설명의 연속선 접근은 과학적 추론의 인식론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대안적인 과학적 추론 함양 지도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 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05-42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의 특징을 밝히고,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표상할 수 있는 개념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내가 2011년 1학기에 서울 소재의 한 대학원에서 진행한 질적 연구에 관한 강좌를 수강하는 총 20명의 현직 또는 예비 교사들이었다. 이들은 대학원 수업 중에 본 논문과 동일한 연구 주제를 가지고 질적 연구 실습을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것을 포토폴리오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포트폴리오와 나의 현장 일지를 함께 읽으면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내러티브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주된 분석 작업이 되었다. 그 결과, 과학 수업은 모종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며, 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들이 매우 다양하고 그들 사이에는 갈등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좋은' 과학 수업을 정의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다종다양한 가치들이 수업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관계 맺어지기 때문에 과학 수업은 본질적으로 부단한 가치 선택의 과정을 수반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이렇듯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여러 개의 진동면을 가진 '푸코 진자'에 비유하여 개념화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이 과학 교사 교육과 과학 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이야기하였다.

텍스트의 언어적 난이도 측정 공식 비교 연구 - 초중고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Modelling Readability Formulas: Focus on Primary and Secondary Textbooks)

  • 최인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58호
    • /
    • pp.173-195
    • /
    • 2005
  • 본 연구는 언어적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텍스트수준점수 측정공식을 구성하는 방법론이 초등학교 텍스트는 물론 중고등학교 텍스트까지 확장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텍스트가 확장됨에 따라 나타나는 새로운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초중고 텍스트 통합공식, 중고등학교 텍스트 전용공식, 초등학교 텍스트 전용공식을 구성하여 각 공식들의 특징을 비교한 결과 텍스트의 범위를 넓게 잡아 통합 공식을 구성하는 것보다는 소규모 집단으로 분리한 후 전용공식을 구성하는 것이 해당 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우수한 공식을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고등학교 텍스트의 점수를 측정하려면 단락내문장수요인, 문장수 $\cdot$ 단락수요인을 사용하고 초등학교 텍스트의 점수를 측정하려면 이형어절수요인, 이형어절수$\cdot$새어절출현비율요인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교사 연수 실행 - 산파법을 적용한 사고 실험 활동을 중심으로 - (Performing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for a Profess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ought experiment activities by Socratic method -)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537-5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을 점검하고, 이를 반영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교사 연수는 2014년 7월 수학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과정에 참가한 중등 수학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수 과정에서 교사들은 산파법을 적용한 수학 학습 지도 과정을 구상하고, 이를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 양식으로 기록하는 사고 실험 실습을 하였다. 사고 실험 실습 과정은 좋은 수학수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과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수를 통해 교사 교육자와 동료 교사들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의 배움이 확장되고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습 공동체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 PDF

중등학교가정과 교육실습 실태 및 교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Survey of Teaching Practive a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on Teaching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박은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9-143
    • /
    • 2000
  • The Survey of Teaching Practice a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on Teaching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ing practice and factors on satisfaction of educational practi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to prov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The subjects were 365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educational practice in 1999. A questionnaire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venty on point 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choose their teaching-practice school by themselves, however 25.2% of them was recommended by college. Twenty five point six percent of the subjects satisfied the orientation of the college, but 32.8% of them didn’t. Thirty four point four percent of the subjects indicated the form of practice documents was good, whereas 27.9% of them it needed more improvement. 2. Fifty four point 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used their own research room. The orientation of teaching-practice school was good(36.4%) but 20.0% of the subjects dissatisfied. Eighty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managed the class as vice supervisory teachers, 46^ of them had example instruction, the number of subjects practised at middle school and public school were more than high school and private school respectively. 3.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eachers was 3.66 and the teacher educators’was 3.85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he teacher educators who were in college of education(3.87) was higher than in general teacher course(3.77) at p$\leq$0.05 4. The score of education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all subjects was 3.67. The factors to e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practice were the kind of research room, the orientation plan of the practice school and the management of the class, The scor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educational expertise of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and the agrresive attitude to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teacher educa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