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 Dos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9초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128-MDCT 검사시 생식선 차폐 선량 감소 효과 (Radiation dose reduction effectiveness of a male gonadal shield during 128-MDCT using Glass Detector)

  • 김창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37-242
    • /
    • 2013
  • 최근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128채널 MDCT의 복부 및 골반부 촬영 시 생식선 차폐 선량관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생식선의 피폭선량과 생식선 차폐 시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획득영상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 복부 MDCT 검사시생식선 차폐기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서 $16.5{\pm}0.5$ mGy를 나타냈으며, 대($650m^2$)크기의 차폐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7.5{\pm}0.3$ mGy로 측정되어 54%의 생식선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보였다. 골반부 MDCT 검사시 생식선 차폐기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서 $9.5{\pm}0.3$ mGy, 대($650m^2$)크기의 차폐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2.8{\pm}0.2$ mGy로 나타나 70% 의 생식선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보였다. MDCT를 이용한 검사 시 생식선 차폐기구 사용 유, 무에 따라 영상을 획득하여 Likert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복부 영상에서는 4.1점으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골반부 검사에서는 생식선 차폐기구 사용하였을 때 1.2점, 생식선 차폐기구 사용하지 않았을 때 4.1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복부 128-MDCT 검사 시 생식선 차폐기구를 사용하여 영상의 질 저하 없이 영상을 획득하고 피폭선량을 감소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검사 시 발생하는 생식선 차폐 유무에 따른 산란 선량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Scattered Rays with or Without Gonadal Shielding During Chest Computed Tomography)

  • 곽종혁;김경립;성현철;김승원;송근성;최민경;이상원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09-115
    • /
    • 2021
  • 생식선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 전부, 양 측부, 후부, 생식선 부위의 산란선을 측정하고 Xenolite nolead Apron(0.35 mm Pb), Xenolite nolead Apron(front 0.35 mm Pb Mix back 0.25 mm Pb, Skirt overlap), Half Apron(0.5 mm Pb)로 차폐 후 각각의 산란 선량을 측정하였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 시 검사 부위의 산란 선량은 272 μSv가 측정되었고, Apron으로 차폐하지 않았을 시에 평균 전부 43 μSv, 좌측부 81 μSv, 우측부 82μSv, 후부 38.8 μSv, Gonad 부위 16 μSv로 측정되었다. Xenolite nolead Apron으로 위쪽 부분만 차폐하고 측정했을 전부 11.2 μSv, 좌측부 43.1 μSv, 우측부 45.3 μSv, 후부 12 μSv, Gonad 부위 5.2 μSv로 측정되었다. Xenolite nolead Apron(Skirt overlap)으로 Pelvis 부위를 360° 감싼 후 선량을 측정하였을 때 전부 5.6 μSv, 좌측부 22.4 μSv, 우측부 15.7 μSv, 후부 6 μSv, Gonad 부위 3.2 μSv로 측정되었다. Xenolite nolead Apron(Skirt overlap)으로 Pelvis 부위를 360° 감싼 후 선량을 측정하였을 때 전부 5.6 μSv, 좌측부 22.4 μSv, 우측부 15.7μSv, 후부 6 μSv, Gonad 위 3.2 μSv로 측정되었다. Half Apron으로 위쪽만 차폐하고 측정했을 때에는 전부 10.7 μSv, 좌측부 42.6 μSv, 우측부 40.6 μSv, 후부 11.3 μSv, Gonad부위 4.7 μSv로 측정되었다. 골반 부위를 360° 차폐하는 방법이 80% 이상 선량 감소를 보였고, 전부 차폐 시 70% 이상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모든 전산화 단층 촬영 검사에 있어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연구와 차폐 가능한 장비를 활용하는 다양한 기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배변조영촬영에 있어 필터사용에 따른 생식선량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Gonad Dose and Utility according to Use of Filters During the Defecography)

  • 정홍량;김기정;조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06-213
    • /
    • 2009
  • 본 연구는 배변조영촬영 시 피폭을 받는 생식선(난소, 고환)에 대한 선량과 필터사용에 따른 선량의 차이를 측정하여 유용성을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소와 고환이 받는 선량은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왼쪽 난소(Left Ovary) 23.4mGY, 오른쪽 난소(Right Ovary) 7.5mGy, 고환(Testis) 10.3mGy이었고, 부가필터만 사용한 경우 왼쪽 난소 22.4mGy, 오른쪽 난소 7.0mGy, 고환 9.5mGy이었다. 또한, 배변조영용 필터만 사용한 경우 왼쪽 난소 26.7mGY, 오른쪽 난소 8.4mGY, 고환 11.5mGy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필터를 모두 사용한 경우 왼쪽 난소 20.5mGy, 오른쪽 난소 5.2mGy, 고환 7.5mGy이었다. 양측 난소와 고환 모두 필터의 사용에 따라 선량의 차이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필터의 사용 조합에 따라 필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를 기준으로 부가필터만 사용했을 때 왼쪽 난소는 선량이 10% 감소되었고, 오른쪽 난소 5%, 고환 8% 감소하였다. 배변조영용 필터만을 사용했을 때는 오히려 왼쪽 난소가 33% 선량이 증가하였고, 오른쪽 난소 9%, 고환은 12% 증가하였다. 두 가지 필터를 모두 사용하였을 때에는 왼쪽 난소는 2994 감소되었고, 오른쪽 난소 13%, 고환은 28%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배변조명용 필터만을 사용했을 때는 오히려 선량이 증가하였으며 부가필터만 사용하거나 두 가지 필터 모두 사용하였을 때 현저히 선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치료시 생식선 차폐체 성능 평가를 위한 MOSFET 선량 측정 (MOSFET Dosimetry for Evaluation of Gonad Shielding during Radiotherapy)

  • 김휘영;최윤석;박소연;박양균;예성준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1호
    • /
    • pp.23-27
    • /
    • 2011
  •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의 생식선에 대한 피폭 선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차폐체의 성능을 MOSFET 측정을 통해 평가하고자 서울대학교 병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4명의 남자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2009 년 이후로 시행한 생식선 차폐체 선량 측정 결과를 이용하였다. 환자 치료는 Varian 21EX 선형가속기 (LINAC) 에서 방출되는 6 MV 와 15 MV 의 X.ray 를 이용하였다. 선형가속기의 조준기 (collimator) 등에 의한 산란선 (scattered ray) 뿐만 아니라 방사선조사영역(radiation field) 내의 치료부위로부터 산란되어 전달되는 산란선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3면이 모두 차폐될 수 있도록 차폐체는 상자 모양으로 제작되었다. 차폐체는 납으로 만든 $7.5\;cm\;{\times}\;9.5\;cm\;{\times}5.5\;cm$ 크기의 상자와 $9\;cm\;{\times}\;9.5\;cm\;{\times}\;1\;cm$ 크기의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차폐체의 성능 평가를 위한 선량 측정은 MOSFET 을 이용하였다. 생식선 차폐체를 이용한 경우 차폐체 안쪽의 피폭 선량이 바깥쪽에 비해 평균적으로 23.07% 로 감소하였다. 차폐체 안쪽에 전달된 선량은 평균 0.01 Gy (표준편차 0.004 Gy) 로 측정되었다. 차폐체의 성능은 환자들 별로 적게는 18.76%부터 많게는 38.20% 까지 차이를 보였으나 전달된 절대적 선량은 무정자증 (aspermia) 의 가능성이 있는 0.35 Gy 와, 불임을 초래할 수 있는 2.0 Gy 의 기준치 이하로서, 차폐체의 효과는 충분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MOSFET 측정 결과, 생식선 차폐체를 이용하여 환자 생식선에 피폭되는 선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TLD 를 이용한 측정과 비교하여 MOSFET 을 이용하였을 때 보다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차폐체에 의한 생식선의 선량 감소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경부 질환의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의 피폭선량평가를 위한 공간선량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Spatial Dose Distribution for evaluation operator dose during Neuro-interventional Procedures)

  • 한수철;홍동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23-328
    • /
    • 2016
  • 두경부 질환의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가 받는 피폭선량의 평가 및 감소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이온 전리함을 이용하여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의 위치하는 공간선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Bi-plane 인터벤션 시술 장비를 대상으로 4개 구역(45, 135, 225 그리고 315도)으로 나누어 가상의 시술자가 있다는 가정아래에 시술자의 결정장기위치에서 거리(80, 100, 120, 그리고 140 cm)에 따라 조사선량을 측정하였으며, 방사선발생장치의 위치를 변화시켜 선량변화를 분석하였다. 시술자의 대부분이 위치하는 225도의 구역의 조사선량은 가장 가까운 거리인 80 cm에서 시술자 눈의 높이에서 114.5 mR/h, 가슴의 높이는 143.1 mR/h, 그리고 생식기위치는 147 mR/h이었다. 그리고 방사선 발생장치의 위치를 시술자 가까이로 변화시켰을 경우, 평균적으로 $18.1{\pm}10.5%$의 선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터벤션 시술 동안 시술자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의 공간선량분포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시술자의 방사선 방어에 대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중재적 방사선시술에서 부가 차폐체 사용 시 종사자의 산란선 피폭 감소효과 (Effect of Reducing Scattering Radiation Exposure of Medical Staffs When Additional Shielding is Used in Interventional Radiology)

  • 김민준;백강남;김성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6호
    • /
    • pp.629-633
    • /
    • 2021
  • This article is designed to look into the radiation exposure dose to each body part and the shielding effect for workers using an additional shielding to reduce their radiation exposured by scattering radiation which is generated in a space between the operating table and lead curtain during interventional radiology(IR) procedures. After placing a human phantom on the table of SIEMENS' angiography machine, the following measurements were taken,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n additional shield of lead equivalent of 0.25 mmPb, manufactured for this purpose: dose to gonad, dose to an area where the personal dosimeter is placed, and dose to an area of eye lens is located. An ion chamber(chamber volume 1,800 cc) was utilized to measure scattering radiation. The two imaging tests were carried out as follows: fluoroscopy of the abdomen (66 kV, 100 mA, 60 seconds) and of the head (70 kV, 65 mA, 60 seconds); a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of the abdomen (67 kV, 264 mA, 20 seconds) and of the head (79 kV, 300 mA, 20 seconds). In all the experiments, the shielding efficiency of the gonad position was the largest at 59.8%. In case an additional shielding was used as protection against scattering radiation that came through the operating table and the lead curtain during an IR, the radiation shielding efficiency was estimated to be up to 59.8%, leading to a conclusion that its presence may effectively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dose of medical staffs.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요추검사의 장기선량 및 영상의 평가 (Evaluation on Organ Dose and Image Quality of Lumbar Spine Radiography Using Glass Dosimeter)

  • 김재겸;김정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1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디지털 방사선촬영 시스템에서 요추검사 시 조사야 크기에 따른 주변 장기선량과 요추 영상의 화질 변화를 정량화하여 의료피폭 저감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요추검사 시 조사야 크기는 $8^{\prime\prime}{\times}17^{\prime\prime}$에서 $14^{\prime\prime}{\times}17^{\prime\prime}$ 크기까지 변화하였으며, RANDO 팬텀을 대상으로 요추 전-후방향, 측방향 검사를 실행하였다. 장기선량은 간, 위, 췌장, 신장, 생식선을 선택하여 유리선량계로 측정하였으며, Image J로 영상 분해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후방향 촬영에서 요추의 주변 장기선량은 조사야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생식선에서는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3.83%로 감소율의 변화가 없었다. 측방향 촬영에서 간, 신장과 같이 표면과 가까운 장기에서 장기선량은 높은 선량이 나타났으나,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감소율이 5% 이내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식선에서는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감소율이 24.34%로 나타났다. 조사야 내, 외부에 대한 선량 차이는 간에서 $549.8{\mu}Gy$, 위에서 $264.6{\mu}Gy$로 감소하였으나, 생식선에서는 평균 $1,135.1{\mu}Gy$로 큰 변화가 없었다. 조사야 크기에 따른 영상은 전-후방향 촬영에서 $9^{\prime\prime}{\times}17^{\prime\prime}$, 측방향 촬영에서 $10^{\prime\prime}{\times}17^{\prime\prime}$ 이하의 크기에서 30 dB 이상으로 영상의 질적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요추검사는 다른 검사 부위보다 주변장기들이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고 양질의 영상을 얻기 위하여 조사야 크기 설정에 관한 권고기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혈관조영술 및 중재술 시 환자 선량 감소방안 (Patient Exposure Dose Reduction in Coronary Angiography & Intervention)

  • 임도형;안성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1호
    • /
    • pp.69-76
    • /
    • 2022
  • This study, the method of reducing the exposure dose by changing the geometrical requirements among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 method of directly wearing a protector on the patient were used to expose the patient.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method of reducing the dose and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the exposure dose was investigated. Using the phantom, the dose of the lens, thyroid gland, and gonad gland in the 5 views most used in coronary angiography and intervention accumulated 5 times for 10 seconds at 60~70 kV, 200~250 mA as an automatic controller of the angiography system, and measured by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OSLD). SID 100 cm and Cine 15 f/s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experimental group into 3 groups: a group lowered to Cine 7.5 f/s, a phantom protector, and a group lowered to 95 cm SI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ing decrease in exposure do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owering the cine frame may be the simplest and most effective method to reduce the exposure dose, but there is a limit that it cannot be applied if the operator judges that the diagnostic value is small or feels uncomfortable with the procedure. Conclusion as fallow reducing the exposure dose by directly wearing protector is the next best solution, and it is hoped that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reduce the exposure dose to unnecessary organ.

앉은 자세 상지 X-ray 검사(Sitting Position Upper Extremity X-ray Examinations)에서 피폭선량 저감화 연구 (A Study on the Gonads Exposure Dose of Upper Extremity Examinations in Sitting Position)

  • 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3호
    • /
    • pp.189-193
    • /
    • 2011
  • 상지 검사(upper extremity X-ray examinations, UEX) 시 환자 위치 잡이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앉은 자세 상지 X-ray 검사(sitting position upper extremity X-ray examinations, SUEX) 시 방사선에 민감한 생식샘과 목적장기 이외 부위에 대한 피폭이 크다고 판단되어 의료기관 별 SUEX 시 납 앞치마(Apron) 착용 유무와 생식샘 및 목적장기 이외 부위에 대한 방사선 피폭과 피폭선량 감소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 거리가 멀어 질수록, 조사야 조절장치를 가능한 목적장기 부위로 제한 조절할수록, 피사체의 두께가 얇을수록 방사선에 의한 피폭은 감소하였고, 생식샘 차폐 유무에 따른 피폭은 생식샘을 차폐했을 때 약 10~50%의 저감화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검사 시 apron 착용 유무에 대한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apron을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어 시급히 시정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진단용 X선을 이용한 방사선검사에서 차폐체 모양과 부가필터 변화에 따른 난소의 선량 분석 (A Dose Analysis on the O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Shielding Material and the Change of Additional Filter in Radiography Using Diagnostic X-ray)

  • 최준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6호
    • /
    • pp.429-434
    • /
    • 2019
  • The gonads are directly affected by radiation exposure during radiography of the pelvis, abdomen, and spine. Exposure of the gonads to radiation can cause genetic mutations and can result in the occurrence of malignant tumors. In this study, we created three types of shielding material shapes for shielding of the ovaries, which are the gonads of female during radiography of the pelvis, and comparative evaluations using shadow shielding methods. The source surface distance(SSD) was 100 cm and the field size was 42 cm × 43 cm. The three types of shielding material shapes(type 1, 2 and 3) were assessed and the entrance surface dose in the ovaries were measured.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material was expanded from 0.3 mm to 2.4 mm and after five repetitions, radiation values were measured and mean values were calculated. The mean dose were 3.09 mGy for type 1, 3.54 mGy for type 2, and 3.19 mGy for type 3, indicating that the measurements were the lowest for type 1. When an additional filter of 0.2 Cu + 1 Al was used, the dose were 3.72 mGy for type 1, 5.43 mGy for type 2, and 4.05 mGy for type 3, indicating that the measurements were the lowest for type 1. The results show that, even if the shielding material is not thick, in other words, even with a thickness of 2.94 mGy for the SN 3(0.9 mm) of type 1, shielding can be achieved, with a patient dose lower than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3.42 mGy). Additionally, among the three types of shielding material, the type 1 appea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shielding material. It is thought that the use of shielding material could reduce the risk factors for stochastic effects or critical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during pelvic or lumbar radi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