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omso ba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곰소만 조간대에서 인의 시공간적 분포 (The Distribution of phosphorus in the Gomso Bay Tidal Flat)

  • 양재삼;김영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71-180
    • /
    • 2002
  •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에서 인의 각 형태에 대한 시공간적인 분포와 관련 환경 인자를 조사하였다. 퇴적물 내 총인(TP), 입자성무기인(PIP), 총유기인(TOP), 용존무기인(DIP)의 곰소만 전체 평균 함량은 각각 548.8mg P kg$^{-1}$, 426.1mg P kg$^{-1}$, 122.6 mg P kg$^{-1}$, 0.217 mg P kg$^{-1}$로써, TP 중 차지하는 순서는 연중 변화 없이 PIP>TOP>DIP이었다. TP는 여름과 겨울간에, 수평적, 수직적으로 일관된 변화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줄포천 하구에 위치한 조간대 퇴적물에서 높은 TP가 발견되었다. 시기적으로 대부분의 정점에서 8월에 TOP 농도가 높게 나타나 TP중 28.90%를 차지하는 반면, TIP는 71.10%를 차지하고, 11월에는 반대로 TOP가 15.63%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TIP가 84.38%를 차지하였다. DIP의 농도 자체는 낮지만, 뚜렷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DIP는 모든 정점에서 8월이 11월 보다 3배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11월에 비하여 8월 조사기간 동안 퇴적물 내 함유된 유기물의 절대적인 농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높은 수온에 의하여 수층의 일차생산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상층수에서 퇴적물로 공급되는 절대적인 유기물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유기물의 분해율 또한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공극수 내 DIP의 농도가 증가되었을 것이다. 여름철 퇴적물의 표층 하에서 혐기성 조건이 조성되어 퇴적 입자에 흡착되었던 PIP의 일부가 낮은 pH, Eh환경에서 용존 상태로 전환된 부분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 내 인의 분포는 일차적으로 줄포천과 같이 생활하수가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곳에서 높은 TP 농도를 보였고, 시기적으로 PIP와 DIP는 강한 계절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 이는 주로 하절기 높은 수온과 유기물 함량이 여타 다른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 기반 곰소만 갯벌 정밀 지형변화 연구 (Precise Topographic Change Study Using Multi-Platform Remote Sensing at Gomso Bay Tidal Flat)

  • 황득재;김범준;최종국;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2_2호
    • /
    • pp.263-275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 LIDAR, TanDEM-X 자료 기반 DEM을 사용하여 곰소만 갯벌의 다년간의 지형 변화를 분석하였다. LIDAR 기반 DEM은 2011년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측한 유인항공기 관측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TanDEM-X 기반 DEM은 2015년 6월 영상을 활용하여 제작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무인항공기 자료는 주진천을 중심으로 만 바깥쪽에 위치한 고창군 만돌리 해안의 갯벌지역인 KM 지역과 하전리 연안의 갯벌지역인 KH 지역을 대상으로 각각 2019년 5월과 8월, 2018년 4월과 2019년 5월에 관측한 영상을 DEM으로 제작하여 비교하였다. KM 지역에서는 2011년에서 2019년 8월 사이에 평균 0.24 m 의 표고가 감소하였고, 셰니어가 육지 쪽으로 약 130 m 후퇴하였다. KH 지역에서는 연구 기간인 2011년에서 2019년 5월 사이에 평균 0.16 m의 표고가 증가하였다. 다중 플랫폼에 기반한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을 통해 갯벌의 정밀한 지형변화를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집적양상과 보존: 한국 서해안의 곰소만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장진호;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3호
    • /
    • pp.149-157
    • /
    • 1998
  • 우리나라서해안의 곰소만 조간대에서 조간대 퇴적층의 형성 및 보존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지형, 퇴적물의 입도, 집적률 등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간대를 횡단하는 측선에 대해 계절별로 수준측량한 결과, 겨울과 태풍 때 중부 조간대의 조간대사주(intertidal sand shoal)와 상부 조간대의 쉐니어(chenier)가 육지방향으로 크게 이동하였고, 특히 태풍 때에는 중 하부 조간대가 광범위하게 침식되었다. 그러나 여름에는 조간대사주와 쉐니어의 이동이 제한되었고, 중부 조간대의 상부역과 상부 조간대에 펄이 퇴적되었다. 퇴적물의 계절적 입도변화는 주로 중부 조간대의 상부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5.5 ${\phi}$에서 모드를 갖는 펄질 퇴적물의 집적(여름)과 침식(겨울, 태풍)에 의해 야기되었다. 해저면에서 기준면까지의 깊이를 2 개월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 상부 조간대에서는 연중 지속적으로 퇴적이 이루어지고 겨울보다 여름에 집적률이 높은 반면, 중부 조간대에서는 여름보다 겨울에 퇴적이 우세하고 태풍 때 간헐적으로 침식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하부 조간대는 주로 겨울에 퇴적되었고 여름과 태풍 때 침식되었다. 캔코아를 통해 퇴적층의 보존모습을 분석한 결과, 위의 계절변화 양상이 대체로 코아의 상부층에만 제한적으로 보존되었고, 하부층으로 갈수록 폭풍 퇴적층의 출현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볼 때, 곰소만 조간대층의 많은 부분이 겨울 폭풍 또는 간헐적 태풍에 의해 재구성된 폭풍 퇴적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해 곰소만에서 바지락 소화관 내용물의 변동 특성 (Phytoplankton variability in digestive trac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김형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5-174
    • /
    • 2016
  • 바지락의 섭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서해의 곰소만에서 바지락의 소화관 내용물과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해 정량 및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바지락의 소화관에는 규조류 (71.5%), 와편모류 (13.1%), 미소플랑크톤 (6.6%) 과 중형동물플랑크톤을 포함한 유기쇄설물 등이 관찰되었다. 소화관내에서 섭식량은 겨울과 봄에 많았고 여름과 가을에 낮게 나타난 반면,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가을에 가장 많았다. 또한 바지락의 크기가 클수록 섭식한 먹이생물의 양은 증가하였다. 소화관에서 관찰된 우점종은 저서성 규조류인 Paralia sulcata 및 Navicula arenaria와 와편모류의 cyst 이었던 반면 표층해수에서 우점종은 부유성 규조류인 Chaetoceros 속, Skeletonema 속, Asterionellopsis 속 등과 cryptomonads 및 P. sulcata이었다. 소화관 내용물 분석을 통해 바지락의 주요 먹이원은 저서성 규조류이며,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섭식함을 확인하였다.

해수 및 시판 수산물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의 항균제 내성 및 최소발육억제농도의 규명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Seawater and Commercial Fisheries)

  • 조의동;김희대;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587-595
    • /
    • 2019
  • Eighty-three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s from surface seawater in Gomso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commercial fisheries from Gunsan fisheries center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virulence genes and susceptibility to 30 different antimicrobials. All 83 isolate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two virulence genes (tdh or trh)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however, neither gene was found in any of the isolates. A disk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showed that all of the strains studied were resistant to clindamycin, oxacillin, ticarcillin, and vancomycin, and also revealed varying levels of resistance to ampicillin (98.8%), penicillin G (95.2%), streptomycin (20.5%), cefoxitin (14.5%), amikacin (6.0%), cephalothin (4.8%), and erythromycin (3.6%). However, all of th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19 other antimicrobial agents, including cefepime, cefotaxime, chloramphenicol, gentamycin, nalidixic acid,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and trimethoprim. All 83 isolates (100%) were resistant to five or more classes of antimicrobials, and two strains exhibited resistance to ten antimicrobial agents. The averag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against V. parahaemolyticus of clindamycin, oxacillin, ticarcillin, and vancomycin were 55.9, 98.3, 499.3, and 44.3 ㎍/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necessity for seawater sanitation in Gomso Bay and commercial fisheries, and provide evidence to help reduce the risk of contamination by antimicrobial-resistant bacteria.

해수유동모형의 조간대 모의 특성 (Tidal Flat Sim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ydrodynamic Models)

  • 강주환;박선중;김양선;소재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57-370
    • /
    • 2009
  • EFDC, ESCORT, MIKE21 등 3가지 해수유동모형을 곰소만에 적용하여 각 모형의 조간대 모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세 모형 모두 관측치와 부합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는 등 해수유동 및 조간대를 무난하게 모의하고 있다. CPU 시간과 WCM 기능을 통해 계산 효율성을 검토하였고, 침수심/노출심 설정과 바닥마찰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조간대 모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EFDC 모형은 정확성과 안정성 및 적용성에서 모두 우수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효율성 측면과 모형수립이 다소 복잡하다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 ESCORT 모형은 조간대 모의와 WCM에서는 EFDC에 비해 나은 결과를 보이는 반면 계산시간과 마찰특성에서는 열등한 결과를 보였다. MIKE21 모형은 계산시간에서 여타 모형에 비해 매우 빠른 반면, 저조시 수치진동이 유발되기도 하는데 상용모형이기에 모형의 개선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 유공충의 안정동위원소 성분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of Foraminifera of the Tidal Flat in the Gomso Bay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박병권;이광식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3-187
    • /
    • 1994
  • 이 연구에서는 곰소만 조간대의 현생 해양환경, 2종 (Elphidium etigoense와 Ammonia beccarii tepida)의 유공충의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 성분비와의 관계, 그리 고 유공충 종간의 차이 등을 연구하였다. E. etigoense의 $\delta$/SUP 18/O값은 -1.11$\textperthousand$에 서 +0.61$\textperthousand$이고 $\delta$/SUP 13/C값은 -2.04$\textperthousand$에서 -1.40$\textperthousand$이다. 상부, 중부, 하부 조간대 사이의 차이는 없었으며 유공충 2종간에는 아주 낮은 측정값을 보여주는 시료 한 개를 제외하면 평균$\delta$/SUP 18/O 값의 차는 0.20%이고 평균 $\delta$/SUP 18/O값의 차는 1.63$\textperthousand$이 었다.

  • PDF

한반도 고해수면 변동 복원을 위한 규조-환경변수 상관관계 연구: 곰소만 동부 조간대 지역을 대상으로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Diatom and Environmental Variables for Palao-Sealevel Reconstruction in the Korea Peninsula: Case Study of the Eastern Tidal Flat of Gomso Bay)

  • 김정윤;윤순옥;양동윤;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9-90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tom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tidal flat surface of the eastern part of Gomso Bay in the West coast of Korea in order to utilize the quantitative sea level record as a basic data. 24 sediment samples at 10cm intervals downstream of the Galgok Stream were used for diatom analysis, grain size analysis and CCA. As a result of diatom analysis, marine diatoms dominated at lower altitudes and the ratio of diatoms to fresh water diatoms and brackish diatoms increased toward upland. As a result of CCA, the contribu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was analyzed as 25.3% at altitude, 21.6% at sand, 13.3% at skewness, etc. This means that altitude above sea level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iatom composition in the tidal flat surface. It suggests that the contribu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at altitude above sea level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quantitative records for reconstruction of paleo-sea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