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old particles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2초

면역황금 표기법을 이용한 간흡충의 체액 항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dy fluid antigen of Clonorchis sinensis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 주봉덕;임한종;김수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1호
    • /
    • pp.11-24
    • /
    • 1990
  • 간흡충의 항원성 부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간흡충 충체로부터 분리한 체액을 실험 토끼에 주사하여 면역시킨 IgG와 간흡충에 감염된 실험 토끼의 IgG를 간흡충 조직 항원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 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흡충의 조직세포 사이의 구성물인 세포간질과 맹관의 내용물, 그리고 맹관 막 구조물은 충체에 감염된 IgG와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 모두에서 항원-항체 반응이 관찰되었지만 체액 항원으로 면역된 IgG에서 다소 강한 반응이 나타났다. 표피의 기저층과 난황선의 난황 물질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서는 강한 반응이 나타나 이들을 구 성하는 물질은 체액 반응 IgG에 대한 특이 항원으로 생각되었다. 배설관의 내용물과 막 구조물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 대한 반응이 특이하였으나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 대한 반응은 매우 미 약 하여 항원성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수정낭의 정자세포 간질은 충체 감염 IgG에 반응 하고 정자세포의 두부는 체액 항원으로 면역된 IgG에 반응하여 매우 상이한 항원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충체의 세포간질과 맹관 구성물은 충체 감염시와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 대하여 반응의 정도 차이는 있으나 항원성으로 관찰되는 것은 동일하였다. 그러나 수정낭의 세포간질과 배설낭의 구성물질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 대한 특이 항원이며 수정낭 내의 정자들의 두부와 난황을 구성하는 물질은 체액 면역 IgG에 대한 특이 항원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요꼬가와흡충의 성장기간별 충체조직내 항원성 부위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s of Metagonimus yokogawai in the period of growth)

  • 임한종;김수진;양미경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09-322
    • /
    • 1992
  • 요꼬가와흡충(Metagonimus yokogawai)이 숙주의 장에 기생하여 성숙하는 동안 숙주에게 항체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이 충체 조직내 분포하는 부위를 규명하고, 특정 성숙기간 동안 숙주로부터 생성된 항체의 면역반응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요꼬가와흡충 퍼낭유충을 실험고양이에 감염시키고, 성숙단계별 충체와 면역항체를 얻었다. 충체의 조직항원과 면역항체를 반응시키고 황금입자를 표지하여 황금입자가 보지된 조직항원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표지된 환금입자의 밀도에 따라 조직성분의 항원성을 측정한 결과 감염군 면역항체를 반응시킨 경우 숙주 체내에서 4주와 8주 그리고 12주 동안 성장한 충체 조직항원은 표피충의 표피합포체에 다소 높은 밀도의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항원성이 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16주와 20주간 성장한 충체의 조직항원은 표피층의 액포에 황금입자의 표지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16주이상 성장한 충체 표피충의 액포를 구성하는 물질이 항원성이 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연조직의 분비과립은 충체의 감염기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항원성이 나타났으나 맹관상피는 16주 이상 성장한 충체부터 항원성이 다소 미약해졌다. 숙주가 생성하는 요꼬가와흡충에 대한 항체는 감염 후 4주부터 12주사이에는 충체의 성장기간과 상관없이 일정 량으로 숙주의 혈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16주 이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나노형상을 가진 표면플라즈몬공명 센서칩의 감도 개선 효과 (Effect of SPR Chip with Nano-structured Surface on Sensitivity in SPR Sensor)

  • 조용진;김철진;김남수;김종태;김태은;김효섭;김재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1호
    • /
    • pp.49-53
    • /
    • 2010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센서는 굴절계 기기의 일종으로서 높은 감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비표지 방식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래식 SPR 칩을 이용하여 시판 술 4종의 알코올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재래식 SPR 칩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금 박막 위에 금으로 나노형상을 구축하여 나노형상 SPR 칩을 제조하여 모형 술에 대한 감도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재래식 SPR 칩을 이용하여 시판 술의 알코올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검량선을 개발하였을 때 시료를 전처리 하지 않고 그대로 측정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검량선을 얻을 수 있었다. 소주, 청주, 이과두주, 탁주 등 시판 술 4종에 대한 1차 회귀식의 검량식에서 결정계수는 각각 0.992, 0.933, 0.918, 그리고 0.984로 나타났다. 한편, 재래식 SPR 칩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나노형상 SPR 칩을 제조하기 위하여 Langmuir-Blodgett(LB)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십 nm 두께의 금 박막을 바닥층으로 하여 그 위에 나노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단분자 층으로 덮어 형틀을 제조하고 다시 그 위에 금을 증착한 후 실리카 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나노형상을 갖는 SPR 칩을 제조하였다. 나노형상 SPR 칩의 성능을 평가하였을 때 20% 알코올 함량을 가지는 모형 술에 대해서 바닥층의 두께가 50 nm, 나노형상에서 골의 깊이가 20 nm, 나노형상의 배열주기가 300 nm일 때 SPR의 감도가 가장 좋아서 95%의 감도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SPR의 감도는 칩과 관련된 인자, 시료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측정 목적에 알맞은 칩의 설계와 선택이 요구된다.

Effects of silanation time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a gold alloy surface and metal bracket

  • Jung, Min-Ho;Shon, Won-Jun;Park, Young-Seok;Chung, Shin-Hy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27-133
    • /
    • 2013
  • Objectiv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lanation time on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metal brackets on gold alloy in a silicoating procedure and compare the SBS of metal brackets on gold alloy and enamel. Methods: Type III gold alloy plates were sandblasted with 30-${\mu}m$ silicon dioxide. Excess particles were removed with gentle air after silica coating, and silane was applied. Maxillary central-incisor metal brackets were bonded to each conditioned alloy surface with a light curing resin adhesive for 1 s, 30 s, 60 s, or 120 s after applying silane. The brackets were also bonded to 36 upper central incisors with the same adhesive. All samples were cured for 40 s with a light emitting diode curing light. The SBS was tested after 1 h and after 24 h. The adhesive remnant index (ARI) of the samples was also compared. Results: The 60-s and 120-s silanation time groups showed a higher SBS than the other groups (p < 0.05). Samples tested after 24 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BS than did the samples tested after 1 h (p < 0.05). The 1-s group showed higher ARI scores.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tudent-Newman-Keuls test showed that the SBS values of the 60-s and 120-s silanation tim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BS values of enamel. Conclusions: Adequate silanation time is required to produce sufficient bond strength during silicoating.

The Syntheses, Characterizations, and Photocatalytic Activities of Silver, Platinum, and Gold Doped TiO2 Nanoparticles

  • Loganathan, Kumaresan;Bommusamy, Palanisamy;Muthaiahpillai, Palanichamy;Velayutham, Murugesa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81-90
    • /
    • 2011
  • Different weight percentages of Ag, Pt, and Au doped nano $TiO_2$ were synthesized using the acetic acid hydrolyzed sol-gel method. The crystallite phase, surface morphology combined with elemental composition and light absorption properties of the doped nano $TiO_2$ were comprehensively examin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N_2$ sorption analysi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TEM), energy dispersive X-ray, and DRS UV-vis analysis. The doping of noble metals stabilized the anatase phase, without conversion to rutile phase. The formation of gold nano particles in Au doped nano $TiO_2$ was confirmed from the XRD patterns for gold. The specific surface area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50 to 85 $m^2$/g. TEM images confirmed the formation a hexagonal plate like morphology of nano $TiO_2$.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doped nano $TiO_2$ was evaluated using 4-chlorophenol as the model pollutant. Au doped (0.5 wt %) nano $TiO_2$ was found to exhibit higher photocatalytic activity than the other noble metal doped nano $TiO_2$, pure nano $TiO_2$ and commercial $TiO_2$ (Degussa P-25). This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was due to the cathodic influence of gold in suppressing the electron-hole recombination during the reaction.

금 표면 위의 메르캡토언데카노익산층 표면과 이산화지르코늄 표면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Mercaptoundecanoic-acid Layers on Gold and ZrO2 Surfaces)

  • 박진원
    • 공업화학
    • /
    • 제25권6호
    • /
    • pp.607-612
    • /
    • 2014
  • 이산화지르코늄 표면에 흡착되는 금 입자의 분포 또는 그 반대 경우의 분포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금 입자를 코팅한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표면물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자힘현미경(AFM)으로 mercaptoundecanoic acid층 표면과 이산화지르코늄표면 사이의 표면힘을 염 농도와 pH 값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힘은 Derjaguin-Landau-Verwey-overbeek (DLVO) 이론에 의해 표면의 정량적인 전하밀도와 포텐셜 값들로 전환되었다. 이 값들이 염 농도와 pH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질량보존의 법칙으로 기술하였으며, 산출된 표면 특성의 염 농도 의존성은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표면이 이산화지르코늄 표면보다 높은 전하밀도와 포텐셜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mercaptoundecanoic acid층의 이온화 기능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Cytochemical and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Accessory Glands of the Digestive System of the Oriental Land Snail, Nesiohelix

  • Jeong, Kye-Heon;Lee, Young-Seok;Shim, Yun-Bo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1-92
    • /
    • 1999
  • The histochemical, cytochemical, and immunocytochemic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accessory glands of the digestive system of the oriental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under the LM, SEM, and TEM. The cellulase activity was shown in the epithelium of th digestive gland by labelling with the immunogold (protein-A gold) particles. The epithelial cells showing the cellulase activity were Type 1 and Type 3 cells out of five types of the epithelial cells of the digestive gland. None of epithelial cells of the mucus gland and the salivary gland and the salivary gland were not labeled with the immunogold particles.

  • PDF

Cytochemical and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Accesssory Glands of the Digestive System of the Oriental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 Jeong, Kye-Heon;Lee, Yong-Seok;Shim, Yun-Bo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38-538
    • /
    • 2000
  • Histochemical, cytochemical, and immmunocytochemic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ellulase activities in the accessory glands of the digestive system in the oriental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under the LM, SEM, and TEM. It was found that the Type 1 and Type 3 cells out of five types of the epithelial cells of the digestive gland were labeled with the immunogold(protein-A gold) particles. Otherwise, none of epithelial cells of the mucus gland and the salivary gland were not labeled with the immunogold particles.

  • PDF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소화관에서의 cellulase 활성에 대한 세포화학적 및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Cytochemical and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 of the Land Snail Nesiohelix)

  • 정계헌;이용석;김은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9-159
    • /
    • 1998
  • In order to observe the anticellulolytic localization in the epithelia of the digestive tract such as esophagus, crop, and intestine of a Korean land snail N. samarangae, a cytochemical method and a immunogold labelling method were applied. For the cy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Benedict reaction method applied. And for the immunocytochemical study, the rabbit serum immunoglobuins (IgG) was obtained from the rabbits injected with cellulase which was extracted from body fluid of the snail. The digestive tract tissues of N. samarangae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2% OsO4 and embedded in Lowicryl K4M at -40$^{\circ}C$ under UV light (360 nm). The thin sections were loaded on the nickel grids and stained with the serum IgG and protein A-gold complex (particle size: 10 nm). Observations were undertaken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Jeol, JEM-1010). The epithelium of the digestive tract was consisted of five types of cells. In the cytochemical study, the reaction products were foun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acuoles derived from the Bebedict reaction. In the immunocytochemical study, the protein-A gold particles were selectively labelled in Type 1, Type 3 and Type 4 cells in intestinal tissue. membranes of rER, in the surrounding cytoplasm of the rER and secretory granules, and in the apical cytoplasm of the cells. On the material being secreted from the apical cytoplasm was also labelled with the immunogold particles. The all results obtained throughtout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intestinal epithelium of the snail N. samarangae seretes cellulase as one of digestive enzymes.

  • PDF

면역전자현미경법으로 관찰한 서울주걱흡충에서 충체 항원의 분포 (Localization of worm antigen in Neodiplostomum seoulense by immuno-electronmicroscopy)

  • 이재철;공윤;이수응;허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2호
    • /
    • pp.95-104
    • /
    • 1997
  • 서울주걱흡충의 충체 항원의 유래 부위를 알기 위하여 면역전자현미경법으로 관찰하였다. 충체 조항원으로 면역시킨 마우스 혈청을 분리하여 충체 조직과 반응시켰다. 조직 부위 중 조직융해구 세포의 과립세포질세망 저정낭의 정자 사이 조직과 정자머리 주위. 맹장의 미세융모 난황이 면역된 마우스 혈청과 강하게 반응하였다. 감염 마우스 혈청과는 난황 과립이 강하게 반응하고. 맹장의 미세융모가 악하게, 다른 부위는 매우 약하게 반응하였다. 고러므로 조직융해구. 저정낭. 맹장. 난황이 조항원의 유래 부위이고. 충체분비물의 항원은 난황에서 유래하는 것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