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alit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비평적 지역주의(The Critical Regionalism)로 본 한국 성당건축의 지역성 표현 - 개화기에서 1980년대까지의 성당건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ity of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with the Perspective of The Critical Regionalism - Focused on Korean Modern Catholic Churches constructed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1980's -)

  • 권태일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27-46
    • /
    • 2012
  • The core idea of the critical regionalism could be summarized as a self-conscious synthesis between universal civilization and world culture. After World War II, it has been applied to architecture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Industrial Capitalism and uniformity of 20th century Modern Architecture. Naturally, religious architecture cannot also be an exception in this cultural trend, thus we can also apply the critical regionalism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with the basic premise that the Traditional Western and Modern Style Church Architecture should be regarded as universal civilization, and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endemicity as one of world culture. In the context,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regionality of Korea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constructed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1980's, and how it has been differently transformed with the view of the critical regionalism. Its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within three types;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 Architecture, represent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abstrac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with eac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농촌마을 당산숲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방법론 고찰 -청도군 신원리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 설정을 사례로-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Cultural Contents of Dangsan Forest in Rural Village -Case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at Sinwon-ri, Cheongdo-gun-)

  • 최재웅;김동엽;이상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44-457
    • /
    • 2014
  • 수백 년 전부터 농촌마을 주민들이 조성해 온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이며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지역성과 세계성을 같이 갖추어야 하며, 한국 고유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한 시점이다. 문화유산은 진정성 유지와 함께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현재 많은 당산숲이 방치되거나 소멸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청도군 신원리의 4개 자연마을은 당산숲을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이 연구는 신원리 4개 마을의 당산숲 비보숲과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 하천을 포함하여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제도적 관리체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농업경관생태 보전지역은 한국 농촌이 갖고 있는 글로컬문화콘텐츠로서, 국가문화자산인 당산숲의 위상을 제고하고 농촌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콘텐츠로서의 당산숲 인식 증진을 위한 방법론 고찰 -당(堂)과 연계시킨 제주도 저지오름 대안 탐방로 모색을 사례로-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Heighten Public Awareness of Dangsan Forest as Cultural Contents -Case of Alternative Trail of Jeoji Oreum Connected with Dang in Jeju Island-)

  • 최재웅;김동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24-934
    • /
    • 2013
  • 전통마을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한라산 자락에 있는 기생화산 오름의 수는 총 368개이고, 제주도 전역에 총 391개의 신당(神堂)이 있는데, 근래에 관광객을 위한 올레길, 도로 개설 등으로 인해 제주 신당이 급속히 훼손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로컬리티(지역성)와 글로벌리티(세계성)를 같이 갖추어야 하며, 우리의 고유한 콘텐츠로서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당(堂)과 연계한 제주도 저지오름 탐방로 개선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당숲 구간을 오름 탐방로와 연계하면 실생활에 살아있는 전통문화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주도 농어촌마을들이 탐방로를 따라 그 테마와 원형이 잘 보전, 관리된다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곳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의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Social Intuitionist Model of Haid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최경아;강문봉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565-581
    • /
    • 2016
  • 수학문제해결에서 직관은 문제해결의 실마리,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중요한 인지로 논리와 함께 그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Fischbein은 직관을 기원에 따라 일차적 직관과 이차적 직관으로 분류하고, 직관에 있어서 개인의 경험과 학교 교육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직관이 사회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직관의 사회적 성격을 표면적으로 드러낸 도덕 심리학자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수학문제해결과 직관 교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문제해결에서도 직관의 사회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변형하여 직관이 작용하는 수학문제해결과정을 모델화할 수 있었다. 셋째, 수학문제해결에서 직관이 중요하고, 직관에 관한 의미 있는 경험이 교육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직관의 강건함과 전체성 등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직관을 확인하는 교육, 즉 메타인지를 강조한 직관 교육이 요구된다.

Information Politics of Ukraine in the Field of Freedom of Conscience in a Pandemic

  • Mykola, Palinchak;Dobrodum, Olga;Khrypko, Svitlana;Gold, Olga;Ostashchuk, Ivan;Vlasenko, Inna;Lobanchuk, O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222-228
    • /
    • 2022
  • In today's era of digital technologies, the problem of religious communication in the cyberspace is being actualized, since the globa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WWW makes it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promising channels for transmitting various kinds of messages, including those of a religious nature. Today, religious organizations and movements pay the closest attention to the virtual media space, not only using it to attract new followers, but also for religious PR, image-making and branding, informing the world about themselves through news from the life of the organization and its followers. An equally important form of electronic communication in the online sphere is currently the interaction of various religious movements and religious cultures in general, or the dialogue of confessions in particular. Research in the digital space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important trends in religious spher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low of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o demonstrate the specifics of individual media outlets and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vities for interreligious dialogue, to study the role of the Internet in changing religious belief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religious identity, retrospective development of religious enlightenment at the turn of the century, to determine the vectors of possible interreligious interaction and discuss the role of digital technologies in the work of religious structures, to state the need to continue an active dialogue between representatives of religious movements, to hold expert seminars on interreligious dialogue on a regular basis, and to record the risks generated by the digital space. Thus, the coronavirus pandemic served as a background and context, a litmus test and a catalyst for accelerating and intensifying interreligious, interfaith dialogue and dialogue between religious organizations and society.

Modular Imagined Community: Manila's Koreatown in the Time of Global Korea and the Popularity of Samgyupsal

  • Jose Mari B. Cuartero
    • 수완나부미
    • /
    • 제16권1호
    • /
    • pp.39-80
    • /
    • 2024
  • Guided by the prism of cultural studies, this paper takes a look at the Manila Korea Town in Malate, Manila. The location, Manila Korea Town, figures as the paper's object of study by exploring, theorizing, and reflecting on its presence and location within the horizon of the signifying powers of Korea-Philippine relations in the contemporary period. With the subject position of this essay, the paper theorizes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s: How does the meaning-making of South Korea fare with other Koreatowns in the world from the scale of Koreatown in Manila? Subsequently, what happens to a place when a global cultural phenomenon evolves into a form of placemaking in a different nation and territory? As Koreatown finally grounds itself in the anarchic lifeworld of Manila, what does this historical development in our urban lives reveal about our contemporary times? Responding to this set of questions led this paper to foreground the idea of a modular imagined community within a four-part discussion. The body of the essay begins by theorizing on the concept that this paper proposes, modular imagined community, and such a concept work draws from the theories of nationalism by Benedict Anderson and Partha Chatterjee. Subsequently, the antinomy between Anderson and Chatterjee is pursued by looking at the history of such a place, and through this step, the paper unravels the character of the place of Manila Korea Town, which explains the conditions of possibility of such social and communitarian formation. Yet as the public is caught by the presence of such development especially at the heart of Manila, the paper expands the scale and viewpoint by shining light on the globality of South Korea in relation to the Philippines. Lastly, this paper closes with a discussion on the food culture facilitated by this recent development, which also pushes us to imagine its potential, especially in light of the critique raised against South Korea and the popular culture associated with this phenomenon.

유튜브 '인기급상승' 장기 노출을 위한 콘텐츠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ent strategy for long-term exposure of YouTube's 'Trending')

  • 이민영;변국도;최상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59-372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 1년간의 유튜브 인기급상승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단기노출 20개 채널의 특징을 비교함으로 인기급상승에 장기 노출될 수 있는 유튜브 콘텐츠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제목 글자 수, 태그 수와 같은 여러 요소들이 장기노출과 연관성이 있음을 파악하고 이를 지표로 설정해 콘텐츠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과도한 특수문자를 사용하지 않은 약 40-45글자 정도의 '영상 제목', 2)10분 이내의 '영상 길이', 3)2-3문장, SNS 정보 기입, 3개 정도의 핵심 태그를 포함한 '영상 설명' 등의 콘텐츠 전략을 활용할 때 인기급상승에 장기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먹방, mukbang), (역대급, 레전드) 등의 핵심 태그 쌍을 도출하였고, 본 태그를 동시에 설정한다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콘텐츠가 인기급상승에 장기노출 된다면 채널은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구독자, 조회 수 확보 등 다방면의 이점을 가져올 것이며, 기업 측면에서는 채널의 글로벌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