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5.444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Cultural Contents of Dangsan Forest in Rural Village -Case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at Sinwon-ri, Cheongdo-gun-  

Choi, Jai-Ung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Kim, Dong Yeob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Rhee, Sang-Young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Dangsan forests are traditional village forest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y local residents. They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of Korea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It is necessary for a cultural contents to have locality and globality so as to represent Korea. Cultural heritage can retain their value when they are fully sustained their authenticity and management scheme. Although many Dangsan forests have been on the verge of disappearance, the four villages in Sinwon-ri have retained Dangsan forests with Dangsan ritual. In this study, a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including Dangsan forests, Bibo forests, rice paddy field, and stream in Sinwon-ri was suggested. This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can be developed to unique glocal cultural content of rural Korea, and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value of the Dangsan forest's, and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s.
Keywords
Glocal Cultural Contents; Traditional Village Forest; Dangsan Forest; Cultur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심승구, 문화재 활용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연구, 문화전략연구소, 2006.
2 http://ec.europa.eu/agriculture/cap-post-2013/index_en.htm
3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nara_e.htm
4 http://www.unesco.or.kr/heritage/wh/reg_criterion.asp
5 http://www.unmunsa.or.kr/home/bbs/oard.php?bo_table=01_01
6 http://blog.naver.com/poetkjk?Redirect=Log&logNo=10029799147
7 http://www.jbkns.com/news/articlePrint.html?idxno=68334
8 최재웅, 김동엽, "부산 '좌수영 성지(左水營城址) '의 진정성(authenticity)회복방안 고찰", 문화재, 제44권, 제1호, pp.138-161, 2011.
9 최재웅, 김동엽, 조록환, 김미희, 안옥선, "당(堂)과 오름을 중심으로 한 제주도 해안 . 중산간마을의 공간 특성 사례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01-109, 2012.
10 http://www.jemin.com/news/articlePrint.html?idxno=328802
11 강경희, 유네스코 제주 세계자연유산마을 성산리: 마을의 안녕.풍요.화합을 기원하는 제의, 제주특별자치도 . (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 2010.
12 박치완, "왜 글로컬문화콘텐츠인가?", 인문콘텐츠, 제20호, pp.9-33, 2011.
13 최재웅, "농어촌마을의 당산숲 구성요소 및 문화에 관한 고찰", 문화재, 제42권, 제1호, pp.188-209, 2009.
14 김학범, 월간문화재사랑: 복합유산, 마을숲, 제52호, 2009.
15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venice_e.htm
16 이원호, 김재웅,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429-439,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7 김효정, "한국의 유네스코 자연성지 잠재자원 현황과 특성-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유산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492-501, 201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8 어정연,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99-209,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9 최재웅, 김동엽, "문화콘텐츠로서의 당산숲 인식 증진을 위한 방법론 고찰-당(堂)과 연계시킨 제주도 저지오름 대안 탐방로 모색을 사례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924-934,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0 김효영, 박진완, "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분류체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83-190,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1 UNEP, PARIS DECLARATION ON THE SATOYAMA INITIATIVE, UNEP생물 다양성 협약 14차 회의 보고서, 2010.
22 환경부, 생태 . 경관보전지역 업무지침, 2009.
23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논문지, 제22권, 제2호, pp.63-74, 2004.
24 김학범, 장동수, 마을숲-韓國傳統部落의 堂숲과 水口막이-, 열화당, 1994.
25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06.
26 최재웅, 김동엽,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제18권, 제3호, pp.51-64, 2000.
27 최원석, 한국의 전통생태학: 한국의 전통적 경관보완론, 사이언스북스, 2004.
28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스토리가 있는 우리마을 당산숲,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11.
29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당산숲 탐방길, 농촌 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2013.
30 최재웅, 김동엽,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7권, 제1호, pp.35-47, 2009.
31 최재웅, 김동엽,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 . 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제4권, 제2호, pp.31-55, 2005.
32 최재웅, 김동엽,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 . 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제43권, 제1호, pp.28-55, 2010.
33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부산 구포동 팽나무 명칭 및 유형 변경, 천연기념물분과위원회 제10차 회의내용 및 결과, 2008.
34 J. Kwon, "Korean Landscape and MAEULSOO -Ps, the Korean Village Grove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Traditional Beauty of the Korean Garden as Korean Cultur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47-54, 2012.
35 김상헌, 김나윤,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식정보체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711-722, 201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6 주강현, 장정룡, 황헌만, 조선땅 마을지킴이, 열화당,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