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 Content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8초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from Fermented Red Ginseng Concentrate with Increased Ginsenoside Content by Enzyme Treatment

  • Kim, Hyo-Wo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2-38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lly made from fermented red ginseng concentrate (FRGC) that can be easily absorbed and digested for the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The pH of the jellie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FRGC. Soluble solid content has significantly higher value when added more than 2%,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sample was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FRGC was added 4%. As the amount of FRGC was increased, the total color difference increased, and the hardness of samples de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s of the FRGC was 45.50 mg/g. As the concentration of FRGC increased, the content of polyphenol and flavonoids increased. The increasing pattern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showed a similar trend. As the content of FRGC increase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nd in the control, the minimum value (62.6 AEAC) and the 4% sample were highest (116.2 AEA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like that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 and 4% red ginseng jell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Fractions of Fine Ginseng Root

  • Lim, Jae-Kag;Kang, Ho-Jin;Kang, Suk-Nam;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513-518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yield, total phenolics, saponin content and compositi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fractions of fine ginseng root (Panax ginseng C.A. Mayer) by maceration method in the order of increasing polarity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total saponin content compare to other fractions. Hexane fraction could harvest significantly high ginsenoside Rg2, Rg1, and Rf (p<0.05). And the contents of ginsenoside Rh1, Rg3, and Rg1 showed relatively higher in the fraction of ethyl acetate than other fractions. The system of hexane-chloroform-ethyl aceate-butanol showed relatively high content of ginsenoside Re, Rd, Rc, Rb3, and Rb1. However, the last fraction of water still remained lots of Rb2 content. The fraction of water was the highest phenolics. The 1,1-diphenyl-2-picryhydrazil,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frac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fractions. In antimicrobial activity, the fraction of hexane showed relatively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And the fractions of th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e other samples in against P. aeruginosa and S. typhimurium.

인삼 신품종의 뿌리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패턴비교 (Comparison of Ginsenoside Contents and Pattern Similarity Between Root Parts of New Cultivar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안인옥;이성식;이장호;이미자;조병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5-18
    • /
    • 2008
  • 인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과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함량은 고풍이 각각 18.9 mg/g, 596 mg/g으로 가장 높았고 연풍, 금풍, 선풍이 뒤를 이었으며, 천풍은 각각 8.0 mg/g, 209.5 mg/g으로 고풍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부위별로 보면 뇌두의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함량은 연풍이 가장 높았으며, 동체와 지근 및 세근에서는 고풍이 높았다. 뿌리와 각 부위의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은 지근과 뇌두가 각기 0.95, 0.94로 높았으며 동체와 세근은 각기 0.78, 0.80으로 다소 낮았다. 지근에서 품종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을 보면 천풍, 연풍, 고풍, 금풍이 각기 0.98, 0.98, 0.96, 0.98로 아주 높았으며, 선풍은 0.87로 다소 낮았다. 뿌리와 각 부 위의 진세노사이드 상관계수는 지근에서 0.843으로 가장 높았으며 동체, 세근, 뇌두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단위함량과 총 함량의 상관계수는 0.93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진생베리의 활성 성분 최적 추출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f Optimized Simultaneous Extraction Conditions for Active Component of Ginseng Berr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고희경;박준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5-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진생베리로부터 활성 성분인 ginsenoside Re와 Rb1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인하였다. 70% 에탄올과 증류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교반, 초음파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insenoside Re와 Rb1 의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친환경적 제조 방법 여부를 고려한 결과 증류수 용매의 마이크로파 추출법이 가장 적합한 추출방법인 것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파 추출법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파 출력량(50 ~ 200 W, X1), 용매와 진생베리의 비율(5 ~ 20 times, X2), 추출시간(30 ~ 120 s, X3)을 독립변수로 최적화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도출된 회귀방정식의 결정계수는 0.9보다 높으며 p-value값은 0.05보다 작아 모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Ginsenoside와 총 폴리페놀 함량을 위한 최적 추출조건은 마이크로파 출력량(200 W), 진생베리와 추출 용매 비율(20 times), 추출시간(90 s)로 확인되었다. 최적 추출조건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6.23 mg GAE/g, ginsenoside Re 17.69 mg/g, Rb1 16.01 mg/g으로 예측되었고, 실제 실측검증에서 각각 6.33 mg GAE/g, 17.79 mg/g, 15.59 mg/g으로 예측된 값에 대하여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사포닌 성분의 함량 및 조성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Saponin Contents of Panax ginseng Leaf-Tea)

  • 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3
    • /
    • 2003
  • 건강 기능성과 기호성, 간편성을 갖는 건강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4년생 인삼엽을 7월과 8월에 각각 채엽하고 이를 재료로 하여 건조법(DRT), 숙성법(AGT), 열처리법(HPT) 등의 3가지 방법으로 인삼엽차를 제조하고 인삼제품의 품질 지표인 조사포닌 함량과 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엽차의 조사포닌 함량은 제조 방법 중 HPT 가 18.72~18.82%로 가장 높았으며 AGT는 18.24~18.29%, DRT는 17.02~17.17%순이었고 채엽시기별 함량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 인삼엽차의 ginsenoside 조성은 채엽시기, 제조방법별로 유사하였으며, ginsenoside-Re가 1.97~2.15로 가장 높았고, -Rd이 1.48~l 79, -Rg$_1$이 1.33~l.58, 그리고 -Rb, -Rb$_2$, -Rc 순이었다. 3. 인삼엽차의 protopanaxadiol(PD), protopanaxatriol(PT)계 사포닌의 함량비(PD/PT)는 제조 방법 중 DRT가 1.11~l.13, HPT 1.09~l.12이었고 AGT는 0.92~1.02로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채엽시기별 함량비는 유사하였다. 4. 인삼엽차의 5분간 열탕침출액의 조사포닌 함량은 7월엽 제품, HPT가 각각 15.88%, 16.88%로 가장 높았고 ginsenoside함량은 -Re, -Rd, -Rg$_1$, -Rb$_2$, -Rc 순이었다. 알콜로 8시간 환류 추출한 총 사포닌과 5분간 열탕 침출액 중 조사포닌 함량을 비교한 조사포닌 침출율은 81.74~84.38%로서 7월엽 제품, HPT가 84.38%로 가장 높았고 ginsenoside침출율은 다소 낮은 78.00~88.13%를 나타내었다. 또한 30분간 침출액의 침출율은 88.01~92.31%로 5분간 침출율보다 7월엽 제품은 10~13%, 8월엽 제품은 약 20% 증가하였고 ginsenoside 침출율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인삼의 Ginsenoside 변화와 항산화 활성 (Ginsenoside Change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Fermented Ginseng)

  • 도은수;장준복;이건희;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5-265
    • /
    • 2010
  • The extent of growth L. plantarum (LP),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LD), L. fermentum (LF), S. thermophilus (ST), B. longum (BI) and S. cerevisiae (SA) was generally good with the lower concentration of the ginseng extract. Total sapogenin content was slightly different with kinds of a fermentation microorganism and the time of fermentation process, and generally reduced compare to before fermentation. The content of ginsenoside Rb1, Rb2, Rb3, Re and Rf were de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but ginsenoside Rd was increased by the E, LF and SA fermented extract. The content of compound K increased in the order of not-fermented extrac < enzyme fermented extract < enzyme and microorganism fermented extract, and as the fermented time get longer, the content of compound K was sightly increased. Especially, the content of compound K of the SA fermented extract was the most increased, also it of the BI, LD and LF fermented extract was increased, so these extract were considered a high valuable. Polyphenol content of the BI, LD, LP and ST fermented extract indicated $9.18{\pm}0.39{\sim}15.68{\pm}0.54$ mg/10 g which was lower than it of a not-fermented extract ($11.92{\pm}0.26{\sim}28.41{\pm}0.39$ mg/10 g). Flavonoid content of a ginseng fermented extract indicated $26.93{\pm}0.17{\sim}156.45{\pm}1.29$ mg/10 g, it was higher than a not-fermented extract ($18.06{\pm}0.90$ mg/10 g). As the fermented time get longer, the flavonoid content tendency to increas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 fermented ginseng extract was $24.11{\pm}1.41{\sim}55.62{\pm}0.33%$, it was slightly lower compared to a natural antioxidant, vitamin C. But it of the LF and ST fermented extract was similar to a natural antioxidant, vitamin C. It has not a concerned in a fermentati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 24 hr fermented extract was above 80% at pH 2.5 and 4.2, it was similar to an artificial antioxidant, BHT ($84.76{\pm}0.13%$; pH2.5, $84.98{\pm}0.11%$; pH 4.2). It has not a concerned in a fermentation. SOD-like activity of a fermented extract was lower than that of a not-fermented extract ($19.22{\pm}0.51%$), but it of the E and LP-fermented extract was a very highly notable value. As the fermented time get longer, the SOD-like activity tendency to increase.

연근별 산양삼의 일반성분 및 항산화 효과 (Proximate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ultivated Wild Panax ginseng)

  • 이근;최광수;이주열;윤소정;김우기;이형재;백무열;황재관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3호
    • /
    • pp.208-214
    • /
    • 2017
  • 산양삼의 연근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3년근에서는 ginsenoside 등의 성분이 활발하게 생성되고, 연령이 늘어갈 수록 부피 성장이 중점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성다당체 함량,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 모두 3년근 산양삼이 다른 연근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3년근의 경우 단위 중량당 더 많은 양의 성분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파종 후 장기간 재배보다는 단시간에 수확하는 것이 재배를 하는 임업인이나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인 모두에게 유리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ginsenoside의 함량 및 다른 생리활성 성분들의 양으로 연근별 산양삼의 특징을 비교 할 경우 비록 부피는 작지만 가격이 싸고 개체수가 많은 3년근을 이용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산업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창산 산양삼에 한정된 항산화 결과로서 국내 다른 지역에서 자생하는 연근별 산양삼에 대한 세부적인 기능성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한다.

고려인삼류와 유사생약중 ginsenoside 및 질소화합물의 함량 비교 (Quantitative Comparison of Ginsenosides and Nitrogen Compounds in Korean Ginsengs and Related Origin)

  • 신재영;박희준;임상철;정원태
    • 생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4
    • /
    • 1996
  • To differentiate the quality of Korean ginseng from those of other habitat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FAA) and total amino acids(TAA) in addition to ginsenoside Rb1 and Rg1 was carried out using amino acid analyzer and HPLC, respectively. FAA pattern in Korean ginseng was much different from that of Panax notoginseng. The difference in total content of FAA was also found that Korean ginseng contained 26.3-39.8mg/g while Panax notoginseng contained 6.5mg/g. This FAA content ha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age of radix. The contents of FAA and TAA in Korean ginseng(6 years old) from Kumsan were shown to be the highest than other ginseng origins tested. The content in the 6 years Panax ginseng from China was about same with that of 4 years Korean ginseng of Kumsan. However, regarding to gisenoside Rbl and Rg1, which have been accepted as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Panax ginseng-Panax notoginseng showed considerably higher content than those of any other ginseng origin.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s Composition of Ginseng-Yakju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Ginseng Powder

  • Lee, Je-Hyuk;Choi, Kang Hyun;Sohn, Eun-Hwa;Jang, Ki-Hy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4호
    • /
    • pp.234-241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ce wine (Yakju) containing various amounts and particle sizes of ginseng powder and to analyz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ginsenosides in ginseng-Yakju. Soluble solid content, pH, ethanol concentration, acidity, amino acid content, and evaluation of preferenc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our kinds of Yakju groups, regardless of ginseng supplementation and particle size of the ginseng powder. During fermentation of Yakju containing ginseng, the contents of ginsenosides Rb1, Rb2, Rb3, and Rc were decreased. Otherwise, the content of ginsenoside Rh1 was increased highly by brewing microorganisms in Yakju. Recovery ratios of ginsenosides in ginseng-Yakju were approximately 25.4% (coarse ginseng power) and 23.8% (fine ginseng powder), which were superior to the recovery ratio of ginsenosides in Yakju containing ginseng slices (5%).

2계단 배양방법을 이용한 인삼 모상근의 대량배양과 Ginsenoside 생산 (Mass Culture and Ginsenoside Production of Ginseng Hairy Root by Two-Step Culture Process)

  • 고경민;양덕춘;박지창;최강주;최광태;황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63-69
    • /
    • 1996
  • 인삼의 모상근 HRB-15 clone을 3L 용량의 생물반응기에서 배양하여 ginsenoside 생산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상근을 광배양하면 암배양에 비해 생장이 30% 정도 억제되지만 ginsenoside 함량(ginsenoside-Rb1, -Rb2, -Rc, -Rd, -Re, -Rg1)은 크게 증가되어 암배양시보다 2배 높은 1.10%로 나타났으며, 이때에는 ginsenoside-Re의 함량이 매우 높은 반면 다른 ginsenoside들의 함량은 암배양시 보다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초기 10일간 암배양한 후 20일간 광배양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sodium acetate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본 결과, sodium acetat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상근의 생장이 억제되고 ginsenoside 함량도 감소하였으며, 배양배지내 인산의 농도를 변화시켜 본 결과, 1.25 mM $KH_2PO_4$ 처리가 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함량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yeast elicitation과 ammonium nitrate를 이용한 2단계 배양방법(two-step culture process)을 개발하였다. Elicitor로서 $50\;\mu\textrm{g}/g$ yeast extract를 배양 20일째(광배양 10일째)에 첨가하여 본 결과, 총 ginsenoside 생산 모두에서 상승된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2단계 배양방법은 인삼 모상근의 대량배양을 통해 이차대사산물인 ginsenoside 생산량을 증가시킬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