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tea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5초

천연물 도포가 UVB 파로 손상된 C57BL/6 mouse 피부의 색소침착과 염증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Extracts on UVB-induced Pigmentation and Inflammation in C57BL/6 Mouse Skin)

  • 최욱희;안형수;최태윤;진소영;안령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2-498
    • /
    • 2006
  • Ultraviolet(UV) radiation causes a variety of biological effects on the skin, including inflammation, pigmentation, photoaging and cancer. Free radicals are involved in inflammatory skin reactions induced by UVB radi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tioxidants(Tea, Korean red ginseng, Ginkgo biloba extract) on UVB-induced skin damage. Tea, KRG and EGb 761 were topically treated to dorsal skin of ICR mouse. The mice were also treated soon after IMED ($1.4KJ/m^{2}$) of UVB irradiation. Skin pigmentation of irradiated mouse was observed by a chromameter after 2 weeks. Topical application of Tea, KRG and EGb 761 for 2 weeks decreased skin pigmentation compared to DVB control group(p<.05). Tea, KRG and EGb 761 also reduced UVB-induce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 KRG and EGb 761 as a topical application may have preventive effect against UVB-induced skin damage.

산수유 및 차류식이(茶類食餌)가 흰쥐의 간기능과 혈액상(血液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nshuyu (Cornus Officinalis Sieb) tea and Market teas feeding on the Hematology end Liver Function of Rat)

  • 주현규;장대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57-264
    • /
    • 198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Korean traditional tea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an-shu-yu, Gugiga, Ginseng, Younggi and coffee on the hematology of rat. Gugiga, Shan-shu-yu, Younggi and Ginseng tea were adimistrated 3g/day/rat with feeding, respectively. Coffee was adminstrated 1.8g/day/rat. The mixing ratio of mixed tea were 1:1 (w/w). According to the feeding days (10, 20, 30), enzyme activities and chemical components in serum and change in whole blood were determined. 1. The activities of s-GOT and s-GPT of rat administrated Shan-shu-yu, Young-gi, Gugiga, Ginseng and their mixed tea were increased at the normal ranges, and coffee and it's mixed te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ther, group (p<0.05). 2. In coffee and it's mixture groups, the content of s-glucose and s-cholesterol were remarkably increased (p<0.05), but in others (except coffee additive group) were decreased than coffee and it's mixture groups. 3. In all groups (except coffee addivite groups), the range of WBC, RBC, Ht and Hb was 7.30-8.00 $({\times}10^3/mm^3)$, 8.18-9.00 ($({\times}10^6/mm^3)$, 50-60 (%) and 16.10-17.40 (g/d), respectively and in strict coffee group, the level of WBC, RBC, Ht and Hb was $8.90{\pm}0.40$, $8.10{\pm}0.37$, $49{\pm}0.38$ and $14.90{\pm}0.44$ (p<0.05), respectively.

  • PDF

유포자성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차 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inseng Tea using Spore-forming Lactic Acid Bacteria)

  • 김영만;한영희;백남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61-665
    • /
    • 2002
  • 유포자성 유산균인 Lactobacillus sporogenes를 함유한 인삼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jar fermentor 에서의 최적배양결과 spore는 $20{\times}10^8\;CFU/mL$ 이였고, 포자형성율은 97%이였다. 이 배양액을 10,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포집된 균체는 증류수로 1회 세척한 후 다시 acetone 소량으로 재차 세척하고, $55^{\circ}C$에서 2시간 건조하여 생균수 $5200{\times}10^8\;CFU/g$의 균체원말 10g 정도를 얻었다. 다음에 유포자성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차 과립시제품을 만들었다.(생균수 $2.3{\times}10^8\;CFU/g$. 이같이 조제한 유포자성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차 과립제품을 뜨거운 물에 타서 음용시 끓인물에 대한 내열성을 시험한 결과 식힌후에 생존율이 77.6%였다. 다음에 음용후, 인공 위액에 대한 내산성과 소화 담즙액에 대한 내담즙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 pH 3의 인공위액에서 4시간 처리한 경우 생존율이 55.4%이고 인공 소화담즙액(oxgal 0.1%)에서 8시간 처리 후에도 생존율이 90%이상으로 위액과 소화담즙액에 대한 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보존성 시험에서는 인삼차 과립제품을 병에 보관하여 실온에서 1년간 보존 후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생존율이 75% 정도로 경시변화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유포자성 유산균 원료를 인삼차는 물론 다양한 차류에 이용하여 기능성 차류로 개발, 제품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압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건조수삼과 백삼 압출성형물의 침출속도 및 침출물 특성 (Properties of Extracts from Extruded Root and White Ginseng at Different Conditions)

  • 김봉수;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6-310
    • /
    • 2005
  • 압출성형공정을 적용하여 건조수삼내부 유효성분의 침출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분함량(20, 25, 30%)과 스크루 회전속도(200, 300 rpm)를 달리하여 제조한 인삼유효 성분의 침출속도, 침출액의 조사포닌, 수용성지수, 갈색도와 적색도를 비교하였다. 인삼과 홍삼의 중요한 유효성분인 사포닌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함량의 지표가 되는 압출성형 수삼과 백삼 침출액의 갈색도와 적색도는 수분함량의 감소와 스크루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용성지수 및 조사포닌 함량은 수분함량이 감소 및 스크루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건조수삼과 압출성형수삼의 입자크기가 감소할수록 침출된 인삼유효성분의 지표가 되는 흡광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수삼 압출성형물의 침출액과 실험한 입자크기에서 수분함량이 28%에서 20%로 감소할수록 260∼520 nm 파장에서 흡광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용성지수도 흡광도와 마찬가지로 입지크기가 갑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압출성형 수삼의 경우 팽화에 의한 기공의 형성과 전단력에 의한 세포벽의 파괴와 함께 압출성형물 내부의 유효성분의 침출율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결론적으로 다른 열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압출성형공정을 인삼 침출차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공정으로 판단되었다.

고려인삼엽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사포닌 성분의 함량 및 조성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Saponin Contents of Panax ginseng Leaf-Tea)

  • 장현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3
    • /
    • 2003
  • 건강 기능성과 기호성, 간편성을 갖는 건강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4년생 인삼엽을 7월과 8월에 각각 채엽하고 이를 재료로 하여 건조법(DRT), 숙성법(AGT), 열처리법(HPT) 등의 3가지 방법으로 인삼엽차를 제조하고 인삼제품의 품질 지표인 조사포닌 함량과 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엽차의 조사포닌 함량은 제조 방법 중 HPT 가 18.72~18.82%로 가장 높았으며 AGT는 18.24~18.29%, DRT는 17.02~17.17%순이었고 채엽시기별 함량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 인삼엽차의 ginsenoside 조성은 채엽시기, 제조방법별로 유사하였으며, ginsenoside-Re가 1.97~2.15로 가장 높았고, -Rd이 1.48~l 79, -Rg$_1$이 1.33~l.58, 그리고 -Rb, -Rb$_2$, -Rc 순이었다. 3. 인삼엽차의 protopanaxadiol(PD), protopanaxatriol(PT)계 사포닌의 함량비(PD/PT)는 제조 방법 중 DRT가 1.11~l.13, HPT 1.09~l.12이었고 AGT는 0.92~1.02로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채엽시기별 함량비는 유사하였다. 4. 인삼엽차의 5분간 열탕침출액의 조사포닌 함량은 7월엽 제품, HPT가 각각 15.88%, 16.88%로 가장 높았고 ginsenoside함량은 -Re, -Rd, -Rg$_1$, -Rb$_2$, -Rc 순이었다. 알콜로 8시간 환류 추출한 총 사포닌과 5분간 열탕 침출액 중 조사포닌 함량을 비교한 조사포닌 침출율은 81.74~84.38%로서 7월엽 제품, HPT가 84.38%로 가장 높았고 ginsenoside침출율은 다소 낮은 78.00~88.13%를 나타내었다. 또한 30분간 침출액의 침출율은 88.01~92.31%로 5분간 침출율보다 7월엽 제품은 10~13%, 8월엽 제품은 약 20% 증가하였고 ginsenoside 침출율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삼엽록차의 살균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Leaf Tea As Affected by Decontamination Treatment)

  • 김영회;권중호;변명우;이수정;조한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6
    • /
    • 1991
  • 인삼 엽록차의 위생화를 위한 화학 훈증제 처리 및 감마선 조사가 시료의 몇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의 품질에 관련된 가용성분, 사포닌 및 탄닌성분은 상업적 조건 ethylene oxide 처리와 10kGy 까지의 감마선 조사에 대하여 안정하였다. 그러나 비타민 C 및 클로로필은 5kGy 이상 조사와 훈증 처리시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녹차의 휘발성 성분, 추출액의 색도 및 pH는 살균선량 범위인 5kGy 조사군에 비해 훈증처리군에서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

  • PDF

녹차 등의 기호차가 Helicobacter pylori의 증식 억제와 공포화 독소 역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and Taste Teas on the Growth and Vacuolating Toxin Titer of Helicobacter pylori)

  • 정양숙;강경희;장명웅
    • KSBB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63-169
    • /
    • 200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een and taste teas on the in-vitro antimicrobial activity and vacuolating toxin titer of Helicobacter pylori. Crude aqueous extracts prepared by adding 2 g of tea leaf or powder to 100 ml of boiling distilled water, and sterilized by passing through a 0.22 $mutextrm{m}$ membrane filter. Green tea, coffee, and ginger tea showed bactericidal activity on H. pylori within 3 hours. Black tea and ssangwha tea also showed bactericidal activity on H. pylori in 24 hours. Arrowroot tea show no bactericidal effect on H. pylori after 48 hours. Two fold diluted green tea and coffee decreased(1/10,000cfu) the growth of H. pylori in 24 hours, but the two fold diluted black tea, ssangwha tea, and ginger tea showed suppression effect upon of(1/10cfu) H. pylori in 24 hours. The two-fold and 10-fold diluted green tea, coffee and two-fold diluted black tea abrogated the vacuolating toxin titer of H. pylori, but the two-fold and 10-fold diluted ginger, ssangwha, ginseng, and arrowroot tea only reduced the vacuolating toxin titer of H.pylori from 1/2 to 1/8. These result suggest that green tea and coffee have effective antibacterial or bactericidal effects on H.pylori, and that they also have a neutralization effect upon the vacuolating toxin of H.pylori.

  • PDF

인삼제품의 Saponin 추출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of Extraction Methods of Saponin in Ginseng Products)

  • 손현주;장진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32-37
    • /
    • 1984
  • In order to shorten the extraction time of saponin in ginseng products, election with Extrelut column and phase-separation methods were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Saponin of ginseng products was extracted completely within 3 hours by election method with Extrelut column, and the rate of removing glucose by the colum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glucose content in ginseng products. 2. Stirring method was superior to refluxing method for removing sugars from ginseng products, and removing rate was deceased in the order of lactose, sucrose and glucose. 3. Extraction rate of ginsenoside from ginseng extracts by the elution method was nearly same as that of phase-separation method; however, the former was much higher than the latter in the case of ginseng teas. Therefore, the elution by Extrelut column is to be improper for extraction of saponin in ginseng tea which contains much sugar. It was necessary to remove lipophilic compounds for extraction of saponin from ginseng extracts by elution with Extrelut colum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