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Color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9초

인삼분말을 첨가한 떡볶이용 가래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Garaedduk Added with Ginseng Powder)

  • 이준경;정지혜;임재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26-434
    • /
    • 2011
  • 최근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증대로 인해 국민들의 삶의 질도 향상되어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이다. 소비자들에게 식품의 섭취는 더 이상 영양을 보충해주는 역할만이 아닌 약리효과 기능면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어 식품업계에서도 기능성식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표적인 간식거리인 떡볶이라는 메뉴를 고급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떡볶이용 가래떡에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한 인삼을 부재료로 첨가하여 떡을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가래떡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인삼분말 첨가량에 따른 떡의 수분함량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삼가래떡의 색도 L값, a값, b값을 측정한 결과, 인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떡의 명도(L값)는 낮아지고 떡의 황색도(b값)는 인삼의 갈색화 반응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시간이 늘어날수록 명도(L값)는 감소하여 떡의 품질이 변질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유의적인 경향을 찾을 수 없었다. 조직감 측정 결과 제조 직후 조리전 상태의 떡에서는 인삼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떡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떡의 부착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떡의 응집성과 씹힘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래떡의 관능적 특성은 인삼분말 무첨가군과 1% 및 3% 첨가하였을 때 맛, 향, 색에서 비교적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나 5%의 인삼분말 첨가 가래떡은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조직감 특성에서는 인삼분말 첨가량이 가장 높은 5% 첨가군이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마찬가지로 5%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조리 특성은 인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과 고형물용출량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에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한 인삼분말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떡의 수분함량에는 차이가 없었고,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부착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른 노화를 지연시켰으며, 조직감에 대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맛과 향, 색에 대한 기호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떡볶이로 양념 조리한 후의 가래떡은 5% 첨가군이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므로, 인삼분말 5% 첨가 가래떡은 떡볶이용 가래떡의 기능성과 노화 지연에 따른 저장성 부여 측면에서 요즘의 트렌드와 한식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단색광이 인삼속 식물의 광합성과 잎표백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nochromatic Light on Photosynthesis and Leaf Bleaching in Panax species)

  • 이성식;;최광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7
    • /
    • 1999
  • 인삼속 식물의 광질별 광합성과 잎표백화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공시재료로 고려인삼 및 미국삼을 사용하여, 각종 단색 광원하에서 개엽의 동화량 및 잎표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인삼의 광질별 광합성은 측정한 전온도 및 광도에서 공히 적색광 > 황색광 > 청색광 > 백색광 > 녹색광 순으로 높았으며 미국삼도 같은 경향이었다. 광질별 잎표백화 정도는 미국삼의 잎에서 근적외광 > 적색광 > 백색광 > 청색광 > 황색광 > 녹색광 순으로 근적외광에서 표백화가 가장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보아 인삼포의 해가림 자재는 청색광 및 황색광 자재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고려인삼의 광합성 최적온도는 $25^{\circ}C$ 부근 이었으며 미국삼도 같은 경향 이었다. 인삼잎의 호흡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특히 $3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25^{\circ}C$에 비해 잎호흡량이 고려인삼이 $80\%$이상, 미국삼이 $73\%$이상 급격히 증가 되었다. 광합성능은 미국삼이 $3.54\~4.04\;mg\;(CO_2{\cdot}dm^{-2}{\cdot}hr^{-1})$로 고려 인삼 $2.08\~2.59\;mg\;(CO_2{\cdot}dm^{-2}{\cdot}hr^{-1})$보다 높았다.

  • PDF

장기저장 홍삼의 품질안정성과 항산화효과 (Quality S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ed Ginseng Stored for Long Periods)

  • 최강주;이광승;고성룡;장진규;박종대;김만욱;성현순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99-107
    • /
    • 1988
  • 한국전매공사에서 년차별로 제조 포장된 홍삼시료를 실온조건($12-18^{\circ}C,\;RH\;55-68\%$)으로 1년에서 9년까지 장기저장하여 품질 안정성 및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조성, 여러 용매별 추출물의 수율 및 사포닌의 TLC와 HPLC 패턴은 거의 변화가 없고 안정하였다. 지방질과 지방산에 대한 TLC 및 GLC 패턴도 거의 변화가 없었고, 특히 불포화도가 높아 산화되기 쉬운 linoleic acid(C18 : 2) 및 linolenic acid (C18 : 3)도 매우 안정하였다. 홍삼갈색도는 저장기간이 경과되면서 뚜렷한 증가 경향을 보였고, 물 추출물의 pH 값은 다소 감소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장기저장중 일어나는 갈색화반응 때문이다.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환원성 및 초산에칠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도 증가되었는데 이와 같은 활성의 증가는 비효소적 갈색화반응 생성물들의 증가에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홍삼의 제조과정이나 장기 저장기간중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에 의해서 점진적으로 형성된 항산화 물질들은 전반적으로 홍삼의 품질을 안정시켜 줄 뿐만아니라 노화억제 약리효능과도 상관성이 매우 깊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홍삼가루, 수분 및 당 첨가량에 따른 인절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jeulmi by Different Ratios of Red Ginseng Powder, Water and Sugar)

  • 한민수;최에스더;김미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404-441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홍삼 분말(0, 5, 10 %), 물(12, 16, 20 %), 설탕(4, 8, 12 %)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최적의 배합비를 찾기위하여 실시하였다. 인절미 제조에 있어서 수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홍삼가루 첨가에 따른 생균수는 5% 첨가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10% 첨가군에서는 생균수가 감소하였다. 홍삼 첨가량에 따른 굳기의 변화는 홍삼 무첨가군은 수분첨가량 20%를 제외한 실험군에서 24 hr이후에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홍삼 5% 첨가군에서는 수분 및 설탕 첨가량에 상관없이 굳기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홍삼 10% 첨가군에서도 수분 첨가량 12% 이외에는 굳기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홍삼 첨가 10%군은 홍삼 특유의 향미와 맛이 너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홍삼 첨가 5%군은 향, 맛, 색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균수 측정, 조직감 측정과 관능검사의 결과에서 홍삼인절미의 최적의 배합비는 찹쌀가루에 대해 홍삼가루, 수분, 설탕이 각각 5, 16, 8%로 나타났으며 홍삼가루 첨가는 인절미의 저장성 향상효과가 있었다.

열처리 방법에 따른 가공 인삼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extracts of processed ginseng based on different heat treatments)

  • 강윤한;저우뤠이;김효진;김지은;신일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5-163
    • /
    • 2018
  • 본 연구는 고온 고압의 autoclaving 조건에서 2시간 내외로 증삼한 인삼과 그 용출액으로 2단계 열풍건조법으로 제조한 홍삼을 분말로 하여 그 열수추출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 시료로 사용한 홍삼의 제조는 고온 고압으로 증삼한 용출액을 건조시 증삼 표면에 바르고 건조하여 외형이 흑삼 모양으로 변하였다. 홍삼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산성다당체, 조사포닌 등의 함량을 분석하고, 색차계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미 성분을 측정하였다. Autoclave를 이용한 홍삼 열수추출물(AR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3.38 mg NE/g, 총당 35.22 g/100 g, 산성다당체 10.90 g/100 g, 조사포닌 10.22 g/100 g으로 나타났다. 본 홍삼제조법에 의해 얻어진 홍삼을 이용한 열수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조사포닌 등의 최종 함량이 다른 홍삼 제조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고온 고압으로 단시간에 얻은 증삼액인 용출액은 진세노사이드 조성이 다양하였다. Rb1을 포함한 인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은 ARG에서 가장 낮은 10.69 mg/g으로 나타났으며 가공 조건이 홍삼 특유의 진세노사이드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었다. Autoclave로 얻어진 홍삼 및 용출액은 홍삼성분의 저분자량으로의 변환을 통해 색의 강화 등 향미성분이 개선되어 식품 뿐만 아니라 비식품의 소재 및 제품을 위한 수요가 기대된다.

인삼을 가해하는 큰검정풍뎅이(Hozotrichia morose Waterhouse)의 산란선호성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Larger Black Chafer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Damaging Ginseng Plants)

  • 김기황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74-177
    • /
    • 1989
  • 인삼의 주요 해충의 하나인 큰검정풍뎅이의 발생요인을 구명하여 효율적인 방제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몇 가지 환경요인에 대한 산란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큰검정풍뎅이는 지피식물이 없는 나지에는 전혀 산란하지 않았고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 쑥. 망초, 바랭이, 쇠비름 등에는 잔디나 달맞이꽃에 비해 산란수가 많았으며, 토끼풀에는 산란하지 않았다. 지피식물이 바랭이일 때 지피도 높은곳, 토양경도가 낮은 곳에서 산란수가 많았다. 지피물이 볏짚인 곳은 산란수가 있어 나지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볏짚은 산란유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토양내의 부숙볏짚 역시 산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과건 또는 과습토양에서는 산란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from Fermented Red Ginseng Concentrate with Increased Ginsenoside Content by Enzyme Treatment

  • Kim, Hyo-Wo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2-38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lly made from fermented red ginseng concentrate (FRGC) that can be easily absorbed and digested for the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The pH of the jellie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FRGC. Soluble solid content has significantly higher value when added more than 2%,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sample was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FRGC was added 4%. As the amount of FRGC was increased, the total color difference increased, and the hardness of samples de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s of the FRGC was 45.50 mg/g. As the concentration of FRGC increased, the content of polyphenol and flavonoids increased. The increasing pattern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showed a similar trend. As the content of FRGC increase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nd in the control, the minimum value (62.6 AEAC) and the 4% sample were highest (116.2 AEA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like that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 and 4% red ginseng jelly.

숯검은밤나방유충의 발생과 가해기에 관한 연구 (The Abundance and Damaging Period of the 'Dark grey cutworm' (Agrotis tokionis B.))

  • 김상석;부경생;오명희;손준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8-172
    • /
    • 1981
  • 한국의 거세미류중에서 숯검은밤나방이 과연 우점종인가를 밝히고 그 가해기간 및 가해기의 유충령기를 조사하였다. $1979\~1980$년의 조사결과 숯검은밤나방유충이 봄철에 채집된 거세미류중 약 $80\%$ 이상을 차지하며 밭작물의 피해초기에는 대부분이 $5\~6$령충으로 가해기간은 약 $1\~l.5$개월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 해충의 영명을 'dark grey cutworm'으로 명명하였다.

  • PDF

스마트팜 생산 새싹인삼의 유기산 처리 및 포장 용기에 따른 품질 평가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ginseng sprout produced smart farm according to organic acid treatment and packing containers during storage)

  • 송해원;김훈;김정실;하호경;허창기;오임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49-16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처리과정과 포장 용기에 따른 새싹인삼의 물리적 품질 및 미생물 변화를 10일 간 저장하면서 평가하였다. 전처리 방법(ascorbic acid, citric acid, peroxyacetic acid) 및 포장용기(expanded polystyrene (EP),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 polyethylene + cast polypropylene(PP+PE+CPP))에 따른 품질 변화를 물성(texture)검사, 일반세균수검사, 수분함량 및 색도 측정으로 평가하였다. 전처리 종류에 따라 비교한 결과, citric acid처리군에서 가장 낮은 텍스쳐 변화 및 세균 증식 억제에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처리 중 가장 효과가 높은 citric acid 처리군을 용기별로 저장 후 품질을 평가한 결과, PP용기에 10일 저장한 경우, 유의적인 텍스쳐 감소 및 색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저장기간 증가에 따라 일반세균수가 가장 낮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citric acid 전처리군 및 PP용기에서 저장했을 때 새싹인삼의 품질 손상이 가장 적게 나타나 새싹인삼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토양에서 배수등급별 6년근 인삼의 생육특성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s Content of 6-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by Drainage Class in Paddy Field)

  • 이성우;박진면;김금숙;박기춘;장인복;이승호;강승원;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7-183
    • /
    • 2012
  • To develop the practical cultivation for paddy field,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paddy soil,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6-year-old ginseng, Cheonpung variety between poor drainage class (PDC) and imperfect drainage class (IDC). Groundwater level in PDC showed monthly small changes of 20~30 cm, while IDC showed monthly great changes of 28~71 cm depending on rainfall. Soil moisture content in PDC and IDC was 17.2%, 22.5%, respectively. Air temperature in IDC was lower than $0.3^{\circ}C$, while soil temperature was higher than $0.8^{\circ}C$ compare to PDC, respectively. Main soil color of PDC was grayish olive, while IDC was brownish olive. PDC showed yellowish mottles only at underground of 20~40 cm, while IDC showed that at underground of 30~90 cm. IDC showed lower pH, EC,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but higher organic matter, phosphate, and iron content than that of PDC, respectively. All of EC, organic matter,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were decreased, but iron content was increased at the subsoil layers of PDC. All of EC, organic matter, phosphorus, and potassium content were decreased, but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were increased at the subsoil layers of IDC. Root yield in IDC was more increased by 33% than that of PDC. The moisture content and rusty ratio of ginseng root in IDC were lower than that of PDC. Ginsenoside content in IDC was higher than that of PDC because the ratio of lateral and fine root showing relatively high content of ginsenoside was higher in IDC than that of P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