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o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2초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6-Shogaol-rich Extract from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 Ok, Seon;Jeong, Woo-Si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66-171
    • /
    • 2012
  • 6-Shogaol, a dehydrated form of 6-gingerol, is a minor component i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has recently been reported to have more potent bioactivity than 6-gingerol. Based on the thermal instability of gingerols (their dehydration to corresponding shogaols at high temperature), we aimed to develop an optimal process to maximize the 6-shogaol content during ginger extraction by modulating temperature and pH. Fresh gingers were dried under various conditions: freeze-, room temperature (RT)- or convection oven-drying at 60 or $80^{\circ}C$, and extracted by 95% ethanol at RT, 60 or $80^{\circ}C$. The content of 6-shogaol was augmented by increasing both drying and extraction temperatures. The highest production of 6-shogaol was achieved at $80^{\circ}C$ extraction after drying at the same temperature and the content of 6-shogaol was about 7-fold compared to the lowest producing process by freezing and extraction at RT. Adjustment of pH (pH 1, 4, 7 and 10) for the 6-shogaol-richest extract (dried and extracted both at $80^{\circ}C$) also affect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inger and the yield of 6-shogaol was maximized at the most acidic condition of pH 1. Taken together, the current study shows for the first time that a maximized production of 6-shogaol can be achieved during practical drying and extraction process of ginger by increasing both drying and extracting temperatures. Adjustment of pH to extraction solvent with strong acid also helps increase the production of 6-shogaol. Our data could be usefully employed in the fields of food processing as well as nutraceutical industry.

Study on the hypochlolesterol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tyramine derivatives from the root bark of Lycium chenese Miller

  • Cho, Sung-Hee;Park, Eun-Jung;Kim, Eun-Ok;Choi, Sang-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5호
    • /
    • pp.412-420
    • /
    • 2011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and potential of tyramine derivatives from Lycii Cortex Radicis (LCR), the root bark of lycium (Lycium chenese Miller) in reducing lipid peroxidation. The activities of enzymes, hepatic 3-hydroxy 3-methylglutaryl (HMG) CoA reductase and 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and LDL oxidation were measured in vitro and animal experiments were also performed by feeding LCR extracts to rats. The test compounds employed for in vitro study were trans-N-p-coumaroyltyramine (CT) and trans-N-feruloyltyramine (FT), LCR components, N-(p-coumaroyl)serotonin (CS) and N-feruloylserotonin (FS) from safflower seeds, ferulic acid (FA) and 10-gingerol. It was observed that FT and FS at the concentration of 1.2 mg/mL inhibited liver microsomal HMG CoA reductase activity by ~40%, but no inhibition of activity was seen in the cases of CT, CS, FA and 10-gingerol. Whereas, ACAT activity was inhibited ~50% by FT and CT, 34-43% by FS and CS and ~80% by 10-gingerol at the concentration of 1 mg/mL. A significant delay in LDL oxidation was induced by CT, FT, and 10-gingerol. For the animal experiment, five groups of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high fat diets containing no test material (HF-control), 1 and 2% of LCR ethanol extract (LCR1 and LCR2), and 1% of extracts from safflower seed (Sat) and ginger (Gi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Saf, LCR2 and Gin groups, and HDL cholesterol level was lower only in Gin group when compared with HF-control group;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among the five experimental groups. The level of liver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LCR1 and LCR2 groups than HF-control Serum levels of TBARS were significantly lower only in LCR2 group when compared with HF-control group. From the observed results, we concluded that LCR can be utilized as a hypocholesterolemic ingredient in combination with ginger, especially for functional foods.

Maltodextrin을 처리한 생강 절편의 탈수, 건조 및 열풍 건조와 동결건조된 생강과의 비교 (Dehydration of Sliced Ginger Using Maltodextrin and Comparison with Hot-air Dried and Freeze-dried Ginger)

  • 김민희;김민기;유명식;송영복;서원준;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6-150
    • /
    • 2009
  • Maltodextrin 30, 50, 80%의 농도로 생강 절편을 처리하여 탈수, 건조하였는데 maltodextrin 농도가 높을수록 탈수효율이 좋았으며 80% maltodextrin 처리된 생강은 최종 수분함량이 9.21%로 가장 탈수율이 좋았다. Maltodextrin 처리로 건조한 생강을 복원율, gingerol 함량, 색도, 관능평가 측면에서 열풍, 동결건조된 생강과 비교한 결과, maltodextrin 80% 처리한 생강의 복원율이 7.91 g/g로 열풍, 동결건조한 생강보다 복원율이 뛰어났다. Gingerol 함량은 maltodextrin 농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많았는데 maltodextrin 80% 처리한 것이 1.19 mg/g로 가장 뛰어 났다. 색도의 L, a, b값은 maltodextrin 농도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대조구와 비교해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에서도 색도, 향, 조직, 외관, 종합적 기호도에서 maltodextrin 처리 시료가 다른 건조 방법에 비해서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 maltodextrin을 처리하여 탈수, 건조하는 방법이 생강 절편의 건조에 있어서 복원율 등 품질과 비용 측면에서 열풍건조나 동결건조 방법보다 우수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생강 분획의 gingerols 분석 및 초임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Comparison of Gingerols in Various Fractions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 Ginger)

  • 이은주;양선아;최희돈;임효권;황기;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9-474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생강 에탄올 추출물의 극성에 따른 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생강의 유용성분을 분석하였으며, 초임계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oil을 추출한 후 남은 박을 다시 에탄올로 추출하여 각각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DPPH,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색하였다. 알려진 생강의 유용성분 중 6-gingerol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n-hexane층에 약 25% 존재하여 6-shogaol 보다 7배 이상 높은 것을 확인했다. 항산화 성분 측정 결과, 생강 박 에탄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생강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생강의 오일 추출 후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초임계 오일에서 높았으며 특히, 45$^{\circ}C$ 이상의 온도 및 200 bar 이상의 조건에서 추출한 오일에서 우수한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오일뿐 아니라 박 에탄올 추출물은 온도와 관계없이 압력 100 bar에서 항산화능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55$^{\circ}C$, 100 bar에서 20.17${\pm}$0.83 ${\mu}g/mL$로 강한 소거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임계 오일은 고온, 고압에서 추출 시 많은 양의 항산화 성분이 용출되며, 박 추출물의 경우에는 낮은 압력에서 얻은 박에 많은 양의 항산화 성분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초임계 추출법이 항산화 성분 추출에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며, 생강 특유의 향과 고농도의 6-gingerol을 함유하는 초임계 오일뿐만 아니라 향 성분이 제거된 박 추출물도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천연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Quantitative Analysis of Compounds in Fermented Insampaedok-san and Their Neuroprotective Activity in HT22 Cells

  • Weon, Jin-Bae;Ma, Jin-Yeul;Yang, Hye-Jin;Ma, Choong-J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58-63
    • /
    • 2011
  • Insampaedok-san is a traditional medicine used for the treatment of colds. We investigated several compounds in Insampeadok-san, and tested their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fter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The amounts of four marker compounds (ferulic acid, hesperidin, 6-gingerol and glycyrrhizin) and unidentified compounds in Insampaedok-san (IS) and fermented Insampaedok-san (FI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an established HPLC-DAD method. Neuroprotective activity of IS and FIS extracts was evaluated and compared after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HT22 cells. Anti-oxidative activity of IS and FIS was also compared in DPPH free radical, hydroxyl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assays. Contents of two compounds, ferulic acid and glycyrrhizin were decreased while 6-gingerol was increased by fermentation. FIS showed more potent neuroprotective activity than IS. DPPH, hydroxyl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was slightly increased by FIS when compared to IS. In conclusion,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can vary the amounts of the marker compounds in IS and improve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IS.

증숙 과정을 통한 소청룡탕의 뇌신경세포 보호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Neuroprotective Activity of So Cheong Ryong Tang with Steaming Process)

  • 원진배;양혜진;이보형;윤보라;마진열;마충제
    • 약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451-455
    • /
    • 2011
  • So Cheong Ryong Tang (SCR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the bronchial asthma.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teaming process on changes in 11 major compounds (homogentisic acid, ephedrine HCl, paeoniflorin, cinnamic acid, cinnam aldehyde, glycyrrhizin, 6-gingerol, schizandrin, methyleugenol, gomisin A and gomisin N) content and neuroprotective activity of SCRT were evaluated. Major compound content was slightly different with steaming produce. The contents of paeoniflorin, cinnamic acid, cinnam aldehyde, 6-gingerol and methyleugenol were decreased and homogentisic acid, ephedrine HCl, glycyrrhizin, schizandrin and gomisin A were increased by steaming process. The neuroprotective activity of steaming SCRT was determined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by MTT assay. As a result, neuroprotective activity of a steaming SCRT was higher than that of a non steaming SCR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neuroprotective activity of SCRT can be improved through steaming process.

증숙에 따른 소시호탕의 활성 변화 (Enhancement of Bioactivity of Sosihotang with Steaming Process)

  • 원진배;마진열;양혜진;이보형;윤보라;마충제
    • 생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1-275
    • /
    • 2011
  • Sosihotang is a herbal medicine traditionally used to treat chronic liver disea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aming Sosihotang at a $121^{\circ}C$ on its major compounds and neuroprotective activity. We evaluated quantitative changes of 6 major compounds in Soshihotang, saikosaponin A, homogentisic acid, baicalin, ginsenoside $Rg_3$, glycyrrhizin and 6-gingerol using HPLC-DAD. After steaming produce, saikosaponin A, homogentisic acid, baicalin, glycyrrhizin and 6-gingerol in Sosihotang were decreased and ginsenoside $Rg_3$ was increased. The neuroprotective activity of steamed Sosihotang was determined by MTT assay, comparing to Sosihotang. The steamed sosihotang showed a higher neuroprotective activity than Sosihotang. In conclusion, steam produce could improve neuroprotective activity of Soshihotang.

열풍 및 동결건조에 따른 숙성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Hot-air and Freeze Dried Aged Black Ginger (Zingiber officinale))

  • 김훈환;이수정;정윤호;김성희;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3-161
    • /
    • 2018
  • 흑생강의 기능성 극대화와 산업화를 위하여 건조방법과 혼합비를 달리한 흑생강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의 조제는 열풍 및 동결건조시킨 흑생강 분말과 이들의 혼합비에 따라 각각 시료 "A" (8:2), "B" (5:5), "C" (2:8), "D" (10:0) 및 "E" (0:10)로 구분하였다. 시료의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는 동결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동결건조 시료의 비율이 클수록 수분흡수지수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갈색물질의 함량은 동결건조에 비해 열풍건조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시료의 색차는 모든 시료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열풍건조에 비해 동결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혼합시료 중 총당은 동결건조 시료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결건조보다 열풍건조 시료에서 많았으며, 혼합시료에서도 열풍건조 시료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Gingerol과 shogaol 함량은 혼합시료 "A"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6-gingerol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동결건조 시료 "E"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가 적었으나,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은 열풍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혼합시료에서는 "A"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열풍건조된 흑생강은 동결건조에 비해 품질이나 기능성 측면에서 우수하였으며, 특히 열풍 및 동결건조 시료를 8:2(w/w)로 혼합한 경우 기능성이나 산업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Different Part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 이혜련;이종헌;박철성;라경란;하진숙;차미현;김세나;최용민;황진봉;남진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69-1379
    • /
    • 2014
  • 생강을 기능성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생강 부위별 각종 영양성분 분석 및 용매 추출을 달리하여 항산화능 비교 분석, 유효성분으로 gingerol류, shogaol류 및 catechin류를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생강 잎, 줄기, 뿌리 모두 탄수화물과 회분이 주된 구성성분이었으며, 생강 뿌리에 비해 잎, 줄기에서 조섬유의 함량이 4~5배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그리고 환원당 함량은 뿌리에 비해 줄기에서 약 3배 정도 높았다. 조사포닌 함량은 줄기<뿌리<잎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뿌리보다 잎에서 1.7배 높았다(P<0.05). 무기질 조성 및 함량은 생강 부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줄기의 Sr, Ca, K 함량은 뿌리보다 4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잎의 Ca 함량은 뿌리보다 5배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Gingerols, shogaols 및 capsaicin 함량은 생강 뿌리에서 7종 성분 모두 확인되었으며, 잎과 줄기에서도 6-gingerol, 10-gingerol, 8-shogaol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8-shoaol은 뿌리보다 잎에서 5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함량 및 조성분석에서는 지방산 중 capric acid는 생강 뿌리에서만 검출되었으며, arachidic acid는 잎, 뿌리에서만 검출되었다. 잎은 줄기, 뿌리에 비해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의 필수지방산 함량이 높았고, 뿌리보다 약 5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페놀함량 측정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뿌리<잎<줄기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분획에서 잎은 물층에서 43.9 g/kg, 줄기는 에틸아세테이트에서 65.5 g/kg, 뿌리는 헥산에서 187.2 g/k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 줄기의 모든 분획물은 뿌리의 분획물 함량과 비슷하거나 높은 함량을 보였다. Catechin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뿌리<잎<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줄기는 뿌리에 비해 약 30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생강의 잎, 줄기에서도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인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 결과로 보아 생강은 뿌리 단독보다는 뿌리와 잎, 줄기를 모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잎의 경우 식용으로 인정되어 있지 않아 이를 활용하기 위한 허가 추진 및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