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ed brown ric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1초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pigmented giant embryo rice (Oryza sativa L. cv. Keunnunjami)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 Chung, Soo Im;Lee, Sang Chul;Yi, Seong Joon;Kang, Mi 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5호
    • /
    • pp.365-370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Oxidative stress is a major cause of canc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and non-germinated Keunnunjami rice, a blackish-purple pigmented cultivar with giant embryo, on selected human cancer cell lines and on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of mice fed with a high-fat diet. MATERIALS/METHODS: High fat-fed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either distilled water (HF) or extracts (0.25%, w/w) from brown (B), germinated brown (GB), Keunnunjami (K), and germinated Keunnunjami (GK) rice.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brown rice extract, Keunnunjami extract showed higher anticancer effect against cervical and gastric cell lines but lower anticancer activity on liver and colon cancer cells. Mice from the HF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pid peroxidation and lower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igh-fat diet markedly decreased in B, GB, K, and GK groups as compared with the HF group. CONCLUSIONS: Germination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anticancer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Keunnunjami rice and extracts from germinated Keunnunjami rice may serve as a therapeutic agent against cervical and gastric cancers and oxidative damag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ant Embryo Brown Rice (Keunnunbyeo)

  • Choi, In-Duck;Kim, Deog-Su;Son, Jong-Rok;Yang, Chang-Inn;Chun, Ji-Yeon;Kim, Kee-Jo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95-100
    • /
    • 2006
  • Brown rice with a giant embryo (GE) was observed on the quality parameters of the enlargement of embryo,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in comparison to normal embryo brown rice (NE). Also, the effects of germination on the quality parameters were examined. GE embryo was approximately 2.68 times larger than of NE rice. Total free sug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E rice (71.96 vs. 41.17 mg/100 g), and germinated rice increased in fructose, but decreased in sucrose and maltos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ineral contents was found in GE and NE rice and their germinated rice, whereas a significant increment was observed on reducing sugars and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contents in GE rice. The lower water absorption index (WAI) of GE rice resulted in relatively lower pasting viscosity, whereas the increased WSI in germinated rice might be attributable to the significant increment of soluble components in GE rice.

현미와 발아현미 혼합 비율을 달리한 설기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Sulgi with Different Mixed Ratio of Brown Rice Flour and Germinated Brown Rice Flour)

  • 김정옥;신말식;노희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91-598
    • /
    • 2013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quality properties of Sulgi with different mixed ratio of brown rice flour (BRF) and germinated brown rice flour (GBRF) by rheometer and sensory evaluation. Moisture contents of Sulgi with different mixed ratio of BRF and GBRF were 44.3~46.0%. In textural properties of Sulgi by rheometer, the higher BRF mixed level, hardness of those were higher. The higher GBRF mixed level,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of those were higher. In sensory evaluation properties of Sulgi, the higher BRF mixed level, flavor, firmness and graininess of those were higher. The higher GBRF mixed level, surface color, off-flavor,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of those were higher. Correlation between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properties, hardness and firmness, graininess, cohesiveness and moistness, gumminess and surface color, gumminess and off-flavor, were correlated positively(p<0.01). Hardness and surface color, hardness and cohesiveness, hardness and overall quality, springiness and firmness, springiness and graininess were correlated negatively (p<0.01).

발아시간과 압출성형온도가 발아현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Time and Extrusion Temperature on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 김미환;;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36-642
    • /
    • 2007
  • 본 연구는 식미가 뛰어난 압출성형 발아현미 식품소재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원료 발아현미와 압출성형 발아현미의 물리적 특성, 페이스트 점도, 색도 및 항산화성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아는 24 hr, 48 hr 동안 $30^{\circ}C$에서 실시하였으며, 현미 및 24시간, 48시간 발아현미를 시료로 하였다. 쌍축 동방향 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수분함량 20%, 배럴온도는 $100^{\circ}C$$120^{\circ}C$로 조절하여 압출성형하였다. 압출성형물의 발아시간에 따른 팽화율은 배럴온도 $100^{\circ}C$에서는 증가, $120^{\circ}C$에서는 감소하였으며, 밀도는 $100^{\circ}C$에서 감소, $120^{\circ}C$에서 증가하여 팽화율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발아시간에 따른 파괴력은 배럴온도 $100^{\circ}C$에서는 증가하였으며, $120^{\circ}C$에서는 감소하였다. 페이스트 점도는 발아현미는 발아시간에 따라 페이스트 점도가 감소하였으나, 압출성형물은 발아시간에 관계없이 배럴온도 $100^{\circ}C$$120^{\circ}C$보다 약간 높은 페이스트 점도를 나타내었다. 색도의 명도는 압출성형물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갈색도는 배럴온도 $100^{\circ}C$에서는 24 hr 발아현미가, $120^{\circ}C$에서는 48 hr 발아현미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gamma$-Oryzanol의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였으며, 압출성형에서는 배럴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ic compound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압출성형물에서는 발아시간이 증가하고 배럴 온도가 증가할수록 polyphenolic compound 함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BA Rice Yogurt

  • Park, Ki-Bum;Oh, Suk-H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18-522
    • /
    • 2005
  • Yogurt containing high ${\gamma}$-aminobutyric acid (GABA) was developed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germinated brown rice. Lactobacillus acidophilus, L. plantarum, and L. brevis OPY-1 strains were inoculated into Lactobacillus MRS broth for use as yogurt starter. After treatment with 5% monosodium glutamate in MRS broth, L. brevis OPY-1 strain isolated from Kimchi produced GABA concentration of 8,003.28 nmol/mL. Starter was inoculated into fermentation substrate mixture containing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and blend of powdered whole milk and skim milk. Samples were incubated, and viable cell colonies were counted. Highest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reached between 16 and 20 hr. Concentrated rice milk fermented with high GABA-producing strain contained GABA concentrations of $137.17\;{\mu}g/g$ D.W., whereas concentrated fermented milk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 contained GABA of $1.29\;{\mu}g/g$ D.W. Sensory evaluation panelists gave favorable ratings to fermented rice milk containing high GABA concentration.

키토산과 글루탐산의 병용처리에 따른 발아현미 중의 수용성 단백질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in the levels of Water Soluble protein and flee Amino Acids in Brown Rice Germinated in a Chitosan/Glutamic Acid Solution)

  • 오석흥;이인태;박기범;김병주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15-519
    • /
    • 2002
  • 발아현미를 생산하기 위하여 현미를 물에 침지, 키토산을 젖산에 용해하여 침지, 키토산을 글루탐산에 용해하여 침지 하였으며, 발아시키지 않은 현미와 아미노산 및 총 단백질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키토산을 50 ppm 되게 5 mM glutamic acid에 용해하여 침지액으로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alanine, serine,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함량의 증진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증진을 보였다. 또한 total soluble protein의 함량은 발아하지 않은 현미에 비하여 발아한 현미가 모두 낮았다. 특히 CG구는 물발아나 CL 발아시 현저히 감소되던 serine의 함량을 오히려 증진시겼다. 모든 발아구에서 aspartic acid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발아 과정에 의해 aspartic acid가 alanine,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등으로 전환된 것에 기인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미발아시 키토산을 글루탐산에 용해하여 침지액으로 사용하면 유용한 아미노산인 alanine, serine 및 필수아미노산인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함량을 현저히 증진시킬 수 있어 영양성이 보강된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아에 따른 현미의 아밀로펙틴 중합도와 식감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mylopectin and Texture Analysis Test of Brown Rice After Germination)

  • 이경하;윤순덕;이정희;원용재;최인덕;박혜영;우관식;오세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8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벼 품종들 중 일부 품종들에 대하여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아밀로펙틴 중합도와 식감관련 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아밀로펙틴은 단쇄비율이 높고 장쇄비율이 낮은 품종이 밥맛이 우수한 특성을 나태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결과 발아현미가 일반현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하이아미와 진보가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단쇄비율이 높고 장쇄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감측정결과 진보의 경우 현미의 경도(hardness)와 탄력성(toughness)이 각각 84.6과 51.8에서 발아과정을 통해서 50.2와 30.2로 감소하였으며 찰기(stickiness)와 부착성(adhesiveness)은 발아현미밥의 60.6와 42.9에 비하여 현미밥에서 27.8과 30.8로 나타나 발아현미밥에서 찰기와 부착성이 각각 2.18, 1.39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감과 아밀로펙틴 중합도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도, 탄력성, 찰기, 부착성과 아밀로펙틴 중합도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발아현미에서 단쇄비율이 많을수록 경도와 탄력성이 감소되고 장쇄 비율이 높을수록 경도와 탄력성, 부착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벼 품종들의 현미에 대하여 발아 전과 후의 아밀로펙틴 중합도와 식감관련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발아과정에서 현미의 조직변화가 나타나고 발아 후 식감이 부드러워지고 찰기가 증대되어 밥맛이 향상된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식감과 아밀로펙틴 중합도 특성과의 관계는 발아현미에서 뚜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본 연구가 아밀로펙틴의 길이와 식감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Addition on the Flavor and Functionality of Yogurt

  • Kim, Mi-Hye;Ahn, Sung-Il;Lim, Chan-Mook;Jhoo, Jin-Woo;Kim, Gur-Y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08-51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ogurt, supplement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GBR) containing γ-aminobutyric acid (GABA), during storage. GBR was produced by soaking brown rice at 30℃, and saccharified germinated brown rice (SGBR) was produced by treating brown rice with α- and β-amylase for 1 h, at 80℃ and 60℃, respectively. Yogurt was manufactured using a commercial starter (YC-X11, CHR. Hansen, Denmark) at 37℃ for 12 h. The fatty acids and GABA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GC and HPLC, respectively. The fatty acids in the cereal samples consisted of oleic, linoleic, and palmitic acid. The portion of oleic acid was the highest, at 35.65% in GBR, and 32.16% in SGBR. During germination, the oleic acid content increased, whereas linolenic and palmitic acid contents from GBR tended to decrease. Although the 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stearic and myristic acid,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hat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nd linoleic aci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supplementation of BR, GBR, or SGBR in the yogurt. The yogurt, supplemented with cereal samples, showed a tendency of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GABA with an increase in the supplementation of the cereal samples. However, yogurt supplemented with GBR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GABA, regardless of the supplementation of the cereal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yogurt supplemented with BR, GBR, or SGBR could be a promising dairy product.

발아현미 첨가 밥의 취반 및 산화방지 특성에 미치는 취반방법의 영향 (Effect of cooking methods on cook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rice supplemen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erminated brown rice)

  • 이경하;김현주;이석기;박혜영;심은영;조동화;오세관;이정희;안억근;우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11-3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취반방법이 발아현미밥의 산화방지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발아현미 첨가비율별(0, 10, 20, 30, 50 및 100%)로 제조한 발아현미밥의 기능성분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살펴보았다. 호화특성은 발아현미 비율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 최저점도, 강하점도, 최종점도, 치반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발아현미의 경우 일반 밥솥으로 취반했을 때 $20.54{\pm}0.79-20.03{\pm}0.77$로 나타났으며, 압력밥솥은 $9.76{\pm}0.26-9.27{\pm}0.43$으로 나타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현미 첨가비율이 10, 20, 30, 50 및 100%로 증가할수록 백미를 기준으로 1.18, 1.39, 1.56, 1.90 및 2.91배 증자하였다. 또한 같은 발아현미 비율일 때 10% 발효알코올을 첨가하여 일반밥솥으로 취반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취반 시 발효알코올의 첨가와 압력밥솥으로 조리하였을 때 경도의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페놀성분과 radical 소거활성의 증가는 발효 알코올의 첨가와 일반 밥솥으로 취반하였을 때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취반방법에 따른 현미밥의 생리활성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발아조건 및 건조방법이 발아현미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 김선림;손영구;손종록;허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1-228
    • /
    • 2001
  • 1. 현미를 상온저장시 2주까지는 발아율에 차이가 없으나, 저장 3주후부터는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되어 발아율이 80%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발아현미의 재배를 위해서는 도정후 2주 이내의 현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24시간 침종처리가 무침종에 비하여 현미의 초기발아율이 약 2-3%증가되었고, $25^{\circ}C$는 현미의 발아율과 생육상태가 좋았을 뿐만 아니라 부패발생도 적었다. 3. 동결건조된 발아현미는 열풍건조된 발아현미와는 달리 호분층 및 내배유부분의 분리현상이 발생되었고, 배유의 전분 저장세포뿐만 아니라 전분립간의 균열현상이 관찰되었다. 4. 열풍건조는 동결건조 보다 유리하였고, 55$^{\circ}C$로 48시간 건조시 발아현미의 불쾌취가 제거되었다. 5. 조단백 및 amylose는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함량의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조회분, 조섬유 및 유리당은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었고, 조지방과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6. $\alpha$-amylase활력은 발아 5일부터 급격히 증가하다가 발아 8일부터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7. 유리당의 함량은 발아기간(0-8일)중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sucrose와 glucose의 감소가 현저하였고 발아 5일 이후 fructose와 maltose는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