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tourism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지오투어리즘을 적용한 태안해변길 제 5코스 탐방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Interpretive Program for Taean Haebyeongil Course 5 by Applying Geotourism)

  • 김도희;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7-129
    • /
    • 2017
  • This study is to develop a Geotourism program focused on Taean Haebyeongil course 5 (coastal walkway) and to introduce an explanation board to revitalize an effective Geotourism program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Generally Geotourism program is developed by analyzing topography, geology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Taean Haebyeongil course 5. An explanation board, which is revitalizing an effective Geotourism program can be used when explaining each trekking courses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servable geological features to the visitors. This study suggested a new method of explaining geological features and cultural resources to visitors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Additionally, developing a new program of Taean Haebyeongil, is believed to provide a diversity of locational contents to visitors. Hopefully this new program will boost the tourism business of Taean Haebyeongil.

태안해변길 제 6, 7코스를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Geotourism Using Taean Haebyeongil Course 6 and 7)

  • 김도희;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1-95
    • /
    • 2018
  • Taean Haebyeongil is a coastal walkway designed by Taeanhaean National Park Office. This study is to present a geotourism program using Taean Haebyeongil course 6, 7 and to introduce explanation boardsto promote an effective geotourism program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Generally, geotourism program is developed by analyzing geomorphic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Taean Haebyeongil course 6, 7. As a result of this study, authors suggest the following programs. In course 6(Saetbyeol-gil) from Byeongsul bay to north of Saetbyeol beach, experiencing fishing-village culture in the Byeongsul bay village may be a key geo-activity. In course 7(Baram-gil) is from south of Janggok beach to Baramarae beach, visiting Gonam Shell Mound Museum.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method of explaining geological features and cultural resources to visitors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Authors wish this new program will boost tourism of Taean Haebyeongil.

거제도 해금강 지오투어리즘 정착을 위한 정책적 접근 (Strategical Approaches for Enhancement of Geotourism in the Haegeumgang Geosite in Geoje Island)

  • 박민영;박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5-187
    • /
    • 2012
  • 지오투어리즘은 지오파크 활동의 핵심 영역 중 한 부분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교육적 측면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계절적 제약이 적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는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학문적 접근과 국내 정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정립 및 국내 정착 방안 고찰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국내 외 지오투어리즘 관련 논문을 통해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 지오파크 및 지오투어리즘 운영 사례가 부족하여 해외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모델에 반영하였다. 새로운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 모델을 거제도 해금강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거제도 해금강의 유람선 관광이 바람직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을 마련하고, 각 분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Geotourism in Korea)

  • 전영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69
    • /
    • 2010
  • 우리나라 지오투어리즘의 현황 파악과 향후 전망을 위해 국내외 문헌을 비롯해 지오투어리즘 산업의 인프라에 관해 살펴보았다. 특히 탐방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육이 비교적 잘 준비되어 있을뿐더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태안국립공원 등 몇 곳의 탐방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여 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내 지오투어리즘 인프라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나 지형의 형성과정이나 지질 관련 해설판이 매우 적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운영 중인 탐방프로그램은 주제별 특성이 부각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 운영방식, 운영주체 등을 특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국립공원관리공단 조직 내에 지형경관 및 지질교육 분과를 신설하여 지형경관 및 지질해설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시킬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내 지오투어리즘 전담부서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리학 및 지질학 등 관련 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탐방 프로그램의 질적인 제고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 관련 정부 부처, 대학 간의 민·관·학의 상호협력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다섯째, 지오투어리즘의 활성화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수려한 국내의 자연경관을 전 세계에 홍보함으로써 국가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 제고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정부차원의 재정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지역의 문화, 역사 등과 연계한 스토리를 개발하여 우리나라만이 가지는 세계적인 지오투어리즘 자원을 발굴해낼 필요가 있다.

홍도 지형 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Geotourism using the Geographical Resources on Hong Island)

  • 박미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9-121
    • /
    • 2011
  • 지오파크(Geopark)는 세계유산 및 생물권보전지역과 더불어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3대 보호 지역 중의 하나로, 단순한 감상 수준의 관광이 아니라 지형 지질 자원에 대한 지식을 통해 자연의 가치를 이해하고 보존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지오파크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지오파크의 필요 조건인 국내 지오투어리즘 사례 지역으로 흥도 유람선 선상해설 작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오파크 국내 도입을 제안하고자 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주민의 지형 지질 교육을 통해 자연 경관 자원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 보호할 수 있는 방안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지질유산의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과 활용 -국내 백악기 공룡화석산지를 중심으로- (Touristic Aspects of Geological Heritages -Cretaceous Dinosaur Fossil Sites-)

  • 백인성;김숙주;허민;이수재;김현주;임종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4-27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근래 들어 국내외적으로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지질유산의 개념과 국내외 지질유산의 유형 및 특성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지질유산을 활용한 지질관광의 대표적 지역 중 하나인 서호주 지역 지질유산 설명시설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룡화석산지를 비롯한 국내 백악기 지질유산을 대상으로 하여 학술적 가치, 학술 및 관광학적 인프라, 지질유산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정서, 지질유산 보존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 경제적 가치, 관광자원으로서의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광자원 활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는 발달규모의 광대함이나 다양성에 있어서 국제적인 수준의 지질유적지와 비교할 때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경쟁력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으나 접근의 편리성, 각각의 지질유적지가 지니고 있는 국제적인 수준의 고유한 지질학적 특성, 상대적으로 낮은 여행경비 등을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장점으로 적극 활용한다면, 외국 유명 지질관광유적지와 비교해 볼 때 경쟁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는 도시에서 편리한 체류를 하면서 비교적 저렴한 경비로 단기간에 공룡시대의 독특한 체험을 원하는 국내외 지질관광객들에게는 매우 적절한 여행지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의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이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에 의해 지속가능하게 이루어진다면, 이는 국내 지질관광산업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지질학 관련 전문인력의 고용창출 효과 또한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금호분지 내 지리관광자원의 자연지리학적 배경 (Physical Geographical Background of Geotourism Resources in Gumho River Basin)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2-21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금호분지를 6개의 지형단위(보현산지, 팔공산지, 비슬산지, 영천분지, 경산분지, 대구분지)로 구획한 후, 각 지형단위 내에 분포하는 지리관광자원의 자연지리학적 배경과 분포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금호분지 내의 지리관광자원은 지형환경(32개, 78%)을 많이 반영하며, 다음으로 지질환경(7개, 17%)을 반영한다. 보현산지 내에는 3개의 지형자원이 분포하며, 팔공산지 내에는 8개의 지형자원이 분포한다. 비슬산지 내에는 5개의 지형자원과 1개의 문화자원이 분포한다. 그리고 영천분지 내에는 2개의 지형자원과 1개의 지질자원, 1개의 생물자원, 그리고 2개의 문화자원이 분포하는데, 생물자원 1개와 문화자원 1개는 지형환경을 반영한다. 정산분지 내에는 1개의 지형자원과 1개의 생물자원, 3개의 지질자원이 분포하며, 생물자원 1개는 지형환경을 반영한다. 대구분지 내에는 8개의 지형자원과 2개의 지질자원, 3개의 생물자원이 분포하는데, 생물자원 2개는 지형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PDF

속리산국립공원 내 화양구곡(華陽九曲)의 보존과 활용방안 (Preserv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Hwayang-Gugok(華陽九曲) in Songnisan National Park)

  • 전영권;한승희;김용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83-696
    • /
    • 2013
  •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 가치를 지니는 화양구곡에 대한 지형경관 및 탐방로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화양구곡은 다양하고도 수려한 화강암 지형경관의 발달이 탁월하다. 2) 성리학 발전단계를 가장 모식적인 지형경관으로 설정해둔 화양구곡은 세계문화유산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3) 화양구곡의 활용방안에 지오투어리즘이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또한, 지오투어리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구곡 관련 해설판을 작성함은 물론 많은 숙련된 가이드 양성이 필요하다. 4) 화양구곡의 지속가능한 지오투어리즘을 위해서는 구곡의 지형경관에 대한 보존과 경관 복원은 물론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강원도 양구, 화천 일원의 분지 지형과 지오투어리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in structures in Yanggu and Hwacheon and their application to Geotoursim purposes)

  • 박경;김창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97-108
    • /
    • 2012
  • 해안분지, 용화산과 간동분지를 포함한 강원도 동부 DMZ지역은 다양한 지형 지질학적 자원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관광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지역의 지오투어리즘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접근성이 부족한 산간지역 특성에 적합한 지오투어리즘을 모델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해안분지 주변으로 용늪과 심적습지 등의 다양한 지형 경관자원이 인접하여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인접한 지오사이트 등을 연결하여 지오투어리즘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공원의 지정 목적에 부합하는 이 지역의 가치는 편마암과 분지내의 흑운모화강암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또한 화강암 산지 내에서 용화산의 정상부는 돔형의 암산이며 또한 심층풍화된 지형을 절리계의 밀도 차이나 단층선 등 구조적 요인에 따른 차별적 풍화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반도에 발달한 대부분의 침식분지의 발달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

한국에서의 지오투어리즘(Geotourism) 연구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s and Tasks of Geotourism Studies in Korea)

  • 김범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6-493
    • /
    • 2013
  • 2000년부터 지금까지 지오투어리즘(Geotourism) 관련 연구 활동은 지형학, 지질학, 관광학 등을 비롯한 제 학문간 각각의 논리적 전개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다. 2013년 5월 현재 국내 전문 학회지 등을 통해 발표된 지오투오리즘 관련 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은 모두 172편이다. 이들 연구는 자원개발(자연자원개발, 인문자원개발, 지오파크 개발), 보존 관리, 교육개발, 지오투어리스트, 주민참여 및 홍보 마케팅, 정책적 접근 등 크게 6개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자원개발을 다룬 논문이다. 이 분야는 가치 있는 지형 및 지질경관자원 개발과 관광자원으로의 활용방안, 문화지형과 연계한 스토리텔링 개발, 지오파크 가입을 위한 콘텐츠 개발 등을 주로 다루고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지오투어리즘 연구동향은 지형학 등 지리학계의 활동이 지질학계보다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이들 주제들 역시 특정분야에 편중되어 왔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들 주제들 간의 연구 비중에 있어 균형을 이루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 그리고 더욱 다양한 새로운 연구 주제 개발도 요구된다. 이와 함께, 지역주민들의 참여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주민-지자체-학계가 공동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