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asin structures in Yanggu and Hwacheon and their application to Geotoursim purposes

강원도 양구, 화천 일원의 분지 지형과 지오투어리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Kyeong (Dep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KIM, Chang Hwan (Dept. of Geography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경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김창환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2.12.10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re exist plenty of geomorphological resources in Haean Basin, Yonghwasan Mt., and Gandong Basin in Eastern DMZ area in Gangwon Province which can be used as geotourism resources. Meticulous strategie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geotourism bases in such a mountainous region. Potential geosites including Yongneup and Simjeog wetlands are nearby, so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se geosites when planning geotourism courses. The values of these sites coinciding with the goal of geopark are as follows: this region shows contrasting landforms derived from distinctive rocks such as gneiss and biotite granite, and there are many landforms derived from differential weathering of granite too. They can be used to explain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numerous basin structures in entire Korean peninsula.

해안분지, 용화산과 간동분지를 포함한 강원도 동부 DMZ지역은 다양한 지형 지질학적 자원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관광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지역의 지오투어리즘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접근성이 부족한 산간지역 특성에 적합한 지오투어리즘을 모델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해안분지 주변으로 용늪과 심적습지 등의 다양한 지형 경관자원이 인접하여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인접한 지오사이트 등을 연결하여 지오투어리즘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공원의 지정 목적에 부합하는 이 지역의 가치는 편마암과 분지내의 흑운모화강암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또한 화강암 산지 내에서 용화산의 정상부는 돔형의 암산이며 또한 심층풍화된 지형을 절리계의 밀도 차이나 단층선 등 구조적 요인에 따른 차별적 풍화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반도에 발달한 대부분의 침식분지의 발달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