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ical Approaches for Enhancement of Geotourism in the Haegeumgang Geosite in Geoje Island

거제도 해금강 지오투어리즘 정착을 위한 정책적 접근

  • 박민영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박경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2.04.20
  • Accepted : 2012.05.26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Geotourism is an essential sector of geopark, as it stimulates sustainable development, local socio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educational effects, from which geo-scientific knowledge can be communicated between the local people and the public. It is also a rapidly growing paradigm of nature-based tourism and is attractive in terms of its year-round accessibility to the sites. Passing over a decade history, it is necessary to present how it can establish a platform for furthe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cross the country.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to develop geotourism model that is effectively applicable to Korean environment based on the enhancement of geotourism. We apply the general geotourism organization model to Haegeumgang in Geojedo Island in this study. Although this area is well known for its small boat tours, privately-guided-tour on the boa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delivering geologic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from the geotourism perspective.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desirable Korean geotourism model, boat tours at Haegeumgang have to be supported professionally by the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geotourism department and the partnership with the stakeholders.

지오투어리즘은 지오파크 활동의 핵심 영역 중 한 부분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교육적 측면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계절적 제약이 적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는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학문적 접근과 국내 정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정립 및 국내 정착 방안 고찰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국내 외 지오투어리즘 관련 논문을 통해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 지오파크 및 지오투어리즘 운영 사례가 부족하여 해외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모델에 반영하였다. 새로운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 모델을 거제도 해금강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거제도 해금강의 유람선 관광이 바람직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을 마련하고, 각 분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Keywords